제가 어디에 올리지 몰라 가장 많은 분들이 방랑자채비와 옥내림을 비교하셔서 여기에 고견들 듣고싶습니다.
저는 다대편성낚시를 합니다.....
찌맞춤은 수조통에서 아무런 채비를 달지않고 천천히 내려가는 마춤 대부분에 보통이라고 하시죠...
방랑자채비를 해도 멋지 찌올림이 나오지 않을가 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아래사진처럼 좁살 봉돌 바늘과의 거리는 약 1~2Cm로 단차를 주려구 합니다... (바늘이 1~2cm 짧게하려구 합니다)
그리고 찌는 전에 사용하던 일조수심1을 그냥 사용할려구 합니다.. ^^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님의 찌맞시에는 미끼의 무게만으로도 짧은 목줄은 바닥에 닿게됩니다.
그림처럼 좁쌀이 바닥에 닿고 짧은 목줄이 뜨게하시려면 짧은목줄에 쓰고자하시는 미끼를 달고 한마디든 두마디든 내어놓은
찌맞춤을 하세요. 그리고 낚시할때도 마찬가지로 찌맞춤한만큼 내어놓으시거나 약간 덜내어놓고 하시는게 맞을듯합니다.
참고로 좁쌀과 짧은바늘의 단차는 5센티정도를 추천합니다.
본인은 중층.내림.옥내림에 오링을 절대 사용하지 않고 떡내림시 외바늘에 좁쌀봉돌 채비법을 씁니다.
그냥 8자 도래에 무매듭으로 직결하여 묶어도 채비터짐 없고 채비교환 시간도 1분 정도면 충분합니다.
본인은 옥내림에 최대 4대까지 편성하는데 이것도 입질시 옆의 대를 걸게 되어 가능하면 두대 정도만 편성합니다.
그리고 옥내림 채비는 그냥 채비도 대로 하면 제일 좋아요.
저같은 경우에는 8자매듭 사용하구요 두줄이 최대한 꼬이지 않게 사용할려고 8자매듭 위에
찌스톱퍼를 삼각으로 3개 넣어서 사용하면 조금 꼬이는 것을 줄일수 있고 쉽게 꼬인것도 풀릴수가 있습니다..
짧은 의견입니다
찌맞춤은 현장에서 모든채비(미끼빼고)후 케미가 절반정도 보이게 하는게 좋을 것 같읍니다
저는 케미고무나 나올때 까지 맞추고 한마디 내놓고 합니다
그리고 바닥이 그리 지저분하지 않다면 슬러프채비(긴목줄)에 입질이 더 자주오는것 같읍니다
방랑자 채비를 쓰는 가장 큰이유가 제가 생각할때는 바닥 지저분한곳에서 힘을 발휘하더군요
바닥상황에 따라 스포퍼를 조정 하여 좁살만 바닥에 안착시키고 미끼글 그마큼 띄울때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