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정말 무식하게 쓰나봐요...ㅜㅜ 원줄4호에 목줄 2~2.5호.... 그래도 가져갈놀들 다가져 가는듯..
원줄은 새미플로팅타입을 사용합니다. 플로팅타입은 바람에 수면에 날림?현상및 찌부력에 영향을 주는듯 했구요... 카본사역시
찌마춤시보다 좀 무거워지더군요..줄호수가 높아서도 그럴수 있구요....목줄은 카본사쪽으로 얇으니 파머현상이 생겨서....
옥내림하면서 생미끼도 병행하구 찌랑 목줄 바늘만 바꾸고 바로 대물채비로 변경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조과에는 둔한채미만큼 둔하긴 합니다만..,,,눈에 피로도 덜하고...저희 지역은 피래미나 참붕어가 많아서 많이 피곤합니다 넘예민하면...
물놈은 물어주는듯합니다..ㅋ 찌 자체 부력차이도 많이 납니다.
예민한 낚시 하려고 옥내림을 하는데...
다들 왜그렇게 굵은 줄들을 쓰시는지요~?!... 제 기준으론 이해가 안가는 답변들이
대부분이네요~~~ 특히, 겨울철엔 더욱 예민해야 고기잡기가 쉬운데 말이죠...
보통 원줄은 1 ~ 1.2호... 목줄은 원줄보다 보통 두호수 내려서...
0.6 ~ 0.8호 쓰시면 됩니다~~~ 그정도로도 아주아주 충분하다못해 넘침니다~~
찌는 올림찌로는 입질표현이 제대로 되지를 않습니다~~~
반드시 내림찌를 사서 쓰세요~~~
그리고 잡어들이 많이 붙을때는 줄을 굵게 가져가는게 아닙니다~~~
그건 아주 잘못된 상식입니다~~~
피리같은 잡어들이 많이 달려들때는 목줄길이는 짧게 가져가거나,
바늘은 좀더 굵은 걸 쓰시던지...
아니면 찌를 좀더 고부력으로 넣는 겁니다~~~
옥내림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가끔 잉어향어같은 대물탕가면 목줄 1.2까지 씁니다.
경험상 튼튼하게 2호에 1.5호로 사용합니다.
채비의 둔함,원줄무게,목줄의 이물감....등은 그다지 문제되지 않아서요.
원주 4호에 목줄 2호로ᆞᆢ
입질 받을수 있을지는 미지수 입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그때 그때 다른것 같습니다. 꼭 굵다고 안터지는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목줄합사도 쓰고요 ...
판단은 각자의 몫이겠죠? ㅎㅎ
원줄에 너무 억매이지 않아도 됩니다.
원줄은 1.5호나 2.5호나 다 똑같은거 같네요
소쩍새우는밤님 말씀대로 "채비의 둔함,원줄무게,목줄의 이물감....등은 그다지 문제되지 않아서요"
아주 예민하게도 써봤고 둔하게도 써봤지만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3치~월척급까지 입질은 잘 들어옵니다~
원줄은 새미플로팅타입을 사용합니다. 플로팅타입은 바람에 수면에 날림?현상및 찌부력에 영향을 주는듯 했구요... 카본사역시
찌마춤시보다 좀 무거워지더군요..줄호수가 높아서도 그럴수 있구요....목줄은 카본사쪽으로 얇으니 파머현상이 생겨서....
옥내림하면서 생미끼도 병행하구 찌랑 목줄 바늘만 바꾸고 바로 대물채비로 변경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조과에는 둔한채미만큼 둔하긴 합니다만..,,,눈에 피로도 덜하고...저희 지역은 피래미나 참붕어가 많아서 많이 피곤합니다 넘예민하면...
물놈은 물어주는듯합니다..ㅋ 찌 자체 부력차이도 많이 납니다.
다들 왜그렇게 굵은 줄들을 쓰시는지요~?!... 제 기준으론 이해가 안가는 답변들이
대부분이네요~~~ 특히, 겨울철엔 더욱 예민해야 고기잡기가 쉬운데 말이죠...
보통 원줄은 1 ~ 1.2호... 목줄은 원줄보다 보통 두호수 내려서...
0.6 ~ 0.8호 쓰시면 됩니다~~~ 그정도로도 아주아주 충분하다못해 넘침니다~~
찌는 올림찌로는 입질표현이 제대로 되지를 않습니다~~~
반드시 내림찌를 사서 쓰세요~~~
그리고 잡어들이 많이 붙을때는 줄을 굵게 가져가는게 아닙니다~~~
그건 아주 잘못된 상식입니다~~~
피리같은 잡어들이 많이 달려들때는 목줄길이는 짧게 가져가거나,
바늘은 좀더 굵은 걸 쓰시던지...
아니면 찌를 좀더 고부력으로 넣는 겁니다~~~
단, 품질 좋은 줄을 쓰셔야 합니다.
3칸 정도의 낚시대는 저부력 하우스 올림찌도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