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미산하다가옥내림배오고싶어서준비중입니다. 대물낚시로 블랙부들 18_20_22_24_26_28_30
큐 34_36_38_40. 이렇게2칸단위로쌍포이상사용중인데요 저수지여건상2칸단위의필요성을느낍니다 그런데 옥내림은거희맹탕에서하는걸로아는데 보통 몇칸단위로 또는 몇칸부터몇칸까지 쓰시는지궁금합니다
그래서 여쭤보는거에용 어차피 옥내림 하면 수초 걸면 곤란하이 맹탕에서만 하려고 하는데... 굳이 2칸단위로 둘 필요가있을까요...? 26-2/28-2/30-2/34-1/36-1/38-1/40-1 이렇게 10대만 마춰보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어차피 다 투척하는게 아니라 상황에 맞게 ... 입질도 잦을테니... 5~6씩만 피려구용
가끔은 발밑에서도 야밤에 큰놈이 입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2.1칸부터 4.0칸까지 10대정도 준비해서 다니다가
맹탕지같은 경우는 긴대위주로 수초가 분포되어 있으면 짧은대 위주로
낚시대를 편성합니다..
입질이 잦을때엔 낚시대수를 줄이고
입질이 뜸한 배스터에서 8대정도의 다대편성을 하기도 합니다..
저는 처음에는 대물대(주로 32대까지 운영, 간혹 36대, 38대 사용) 그대로 사용했지만 지금은 모두 정리하고 신x향으로 32대 3, 34대 1, 36대 2, 38대 1, 40대 2로 1년 운영중인데 요즘은 44대 구입하려고 합니다. 배스터에서는 주로 긴대에서 나와서 44대구입후 익슥해서면 다시 47대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긴대에서만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요.
저의 경우 옥내림은 다대편성보다는 2대정도가 적당합니다..
왜냐하면 다대편성의 경우는 안전빵(물린붕어)으로 낚시를 할수밖에 없는 것이 잔입질은 거의 보지 못합니다(제경험상)
조과에도 오히려 다대보다는 1대나 2대일때가 훨씬 좋았습니다.(잔입질까지 다잡아냄, 집어에도 도움이됨)
대 길이의 경우에는 맹탕지역은 아무래도 깊은곳을 공략하심이 나을듯하구요..(긴대위주)
저수지형태에 따라 적당한 칸수를 사용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27, 29, 32, 34, 36, 38,40정도가 적당하구요.. 그이상은 자주투척과 챔질을 반복해야하니 무리가 가더군요...
많은 대는 필요없으며 짧은대보다는 긴대에 조과가 보장되더군요..
저는 경험상으로요...
하지만 잦은 투척과 회수 그리고 챔질이 이어진다고 봐야하기에
너무 욕심내지않으심이 좋을듯싶네요.
어차피 다 투척하는게 아니라 상황에 맞게 ... 입질도 잦을테니... 5~6씩만 피려구용
수초에 걸리는 게 좀 불편하긴 하지만 입질빈도는 맹탕과 수초지역 확실히 차이가 나더군요
맹탕이나 수초지역이나 저는 긴대보다는 주로 36칸이하 32칸~ 21칸 특히 32칸~27칸 사이에서
입질받았습니다 준월척급은 주로 32칸에서 낚았습니다
투척하기 수월하고 제일 다루기 좋고 물찌나 내림찌의 특성상 찌가 가볍다 보니 저푼수는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제자리에
투척이 힘들어요(앞치기도 마찬가지고요)
중층 18척도 양옆으로 나란히 펴 놓으니 또 그나름 대로 입질이 들어 오드군요.
물론 칸수 별로 다양하게 편성을 해도 좋겠습니다 만 옥내림이라고 많이 편다고 좋은 건 아니더군요.
그래서 3.2칸 2대와 18척 1~2대 정도를 펴니 찌가 한눈에 다 들어오니 찌보기도 수월하고 뭐 여러가지 장점들이 있더라구요.
3~4대를 폈을 때 씨알 좋은 넘이 걸리니 자꾸만 옆의 대를 걸어서 그것 푸느라 입질 다 놓지고.
그래서 가능한 두대 정도만 편성하니 상당히 편하더군요.
여러대 편성하는 것 보다 2~3대 편성하는 것이 조과면에서 헐 나아요.
저는하다가 포기했음...ㅎㅎ
문경으로 출조하실려고요..
그때문경한바뤼가겟습니다 맛잇는거해주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부력찌지만 그중에서 조금 많이나가는 찌를 선택하면 대물채비보다 잘날라갑니다
봉돌이무거울수록 멀리안날라갑니다 짦은대보단 좀긴대를 추천합니다
드림47칸도 앞치기 잘됩니다 조금짦게매세요
쓰면서 사잇대가 필요없더라구요~!!주로 다니면 맹탕위주고 수초가 붙어도 듬성듬성있기에~사잇대가 필요가 없더군요~!!
되도록이면 사잇대빼고 주력대만 구입하시길 권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2.1칸부터 4.0칸까지 10대정도 준비해서 다니다가
맹탕지같은 경우는 긴대위주로 수초가 분포되어 있으면 짧은대 위주로
낚시대를 편성합니다..
입질이 잦을때엔 낚시대수를 줄이고
입질이 뜸한 배스터에서 8대정도의 다대편성을 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32,34,40 추가 사용하기도 합니다(배스터 10대편성)
상황에 따라 대편성을 하지요
10대 편성 합니다
올라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시간대가 대부분 조용한 새벽무렵인데요
그만큼 우리가 조용히만 기다리면 붕어는
바로 발밑까지 다가와 먹이활동을 합니다.
대물이든 떡밥이든 옥내림이든 덩어리급은
내 발밑에 가장 많습니다.
왜냐하면 다대편성의 경우는 안전빵(물린붕어)으로 낚시를 할수밖에 없는 것이 잔입질은 거의 보지 못합니다(제경험상)
조과에도 오히려 다대보다는 1대나 2대일때가 훨씬 좋았습니다.(잔입질까지 다잡아냄, 집어에도 도움이됨)
대 길이의 경우에는 맹탕지역은 아무래도 깊은곳을 공략하심이 나을듯하구요..(긴대위주)
저수지형태에 따라 적당한 칸수를 사용하심이 좋을 듯 합니다.
27, 29, 32, 34, 36, 38,40정도가 적당하구요.. 그이상은 자주투척과 챔질을 반복해야하니 무리가 가더군요...
많은 대는 필요없으며 짧은대보다는 긴대에 조과가 보장되더군요..
저는 경험상으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