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내림의 이해라는 아주 좋은 글을 올려 주신 분이 계시던데..
기본적인 찌나.. 기타 원래는 .. 바닥과 그냥 기본적인 지식만 있어도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다만, 3목이나, 4목으로 편납을 가감한 다음에 짧은 바늘에 옥수수 2알정도의 무게를 가진수심 측정용 고무
(꼭 고무는 아니어도.. 지우개나 기타 등등)을 달아서 수심 측정을 하라고 하시던데.. 몇번을 읽어봐도 이해가 않되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몇목을 내놓는다는걸 다 떠나서 어차피 찌 부력에 대해서는 편납으로 "0"점을 만들어 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짧은 바늘에 무거운 것(꼭 옥수수 2알 보다 훨씬 무거운 것)을 달아서
긴바늘은 완젼 바닥에 깔리고 짧은 바늘은 바닥에 다은 상태에서
찌스토퍼를 조정해서 찌의 3목이나 4목이 보이겠끔 하면 되지 않을까요?
편납 가감을 통해 3목으로 찌 0점 조정해 놓고 바닥의 수심을 알려고 짧은 바늘에 수심측정용 고무 달아서 바닥 안착 시키는 것 같은데 아닌가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ㅠㅠ
옥내림 현장 찌 맞춤 수심측정고무 달아야하나요? 지우게는 NO?
-
- Hit : 638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긴목줄이 닿고 짧은목줄의 바늘이 닿은후 찌가 일부상승하며 그이상 상승하면 목줄의 슬로프로 작용되어집니다.
경험해보면 이해가 빠르나 머리로 계산하기에는 조금 복잡합니다.
더 무거우면 사선입수로 정확한 수심측정이 안 됩니다.
지우개는 옥수수 작은거 크기 정도면 됩니다.
굳이 불편하게 지우게 끼웠다 뺏다하면서 하실필요있을까요?
그리고 미끼로서 효능이 없는 지우게를 굳이 번거롭게 가지고 다니실 필요있을까요?
그냥 고기 잡아내는데 미끼로 쓰시는 옥수수를 달고 하심이 편합니다.
또 옥수수 보다 무거운 그어떤것으로 수심찍으면 사선생깁니다.
어렵고 복잡하게 생각하실 필요 전혀없습니다~
하나유통님이 말씀 하셨지만 옥수수로 하시면 됩니다~~
지우개 끼웠다 뺐다...테클박스에 넣어놨는걸로 기억하는데 나중에 찾아보면 없음....ㅡㅡ;;대략 난감...
그냥 맘 편하게 옥수수 대충 인물좋은거 2개달아서 하시면 됩니다!!!
전 옥수수 1/2만한거 대충 손에 잡히는대로 끼워서 찌맞춤 목수 나오면 그냥 낚시합니다!!!
어차피 올릴놈은 올리고 빨놈은 빨고 들어갑니다^^ 어차피 붕어마음이니...
안출하세요...^^
일단 수심보다 짧게 해서 대를다 폅니다.
옥수수 튼튼한놈 2알 달어서 던집니다 그러면 거의 0점 찌 맞춤됩니다.
찌를 3-4목 나올때까지 올립니다 .
고기 잡습니다 .
끝입니다
바늘에 아무것도 안달고 3목 내지 약 7cm 정도 찌가 나오도록 찌맞춤을 하니까요
일반 찌 맞춤을 (-)로 했다면 현장에서 수심을 측정해야 하는데
여기서 수심측정고무 내지 지우개가 필요한데요
너무 무거운 것을 달면 사선 입수가 생깁니다.
옥내림은 워낙 저부력이라서 무게가 많이 차이가 나면 찌가 이것을 보안해주질 못하기 때문이지요
대물 같은 경우에는 왠만한 무게 차이는 찌가 고부력이다 보니까 충분히 사선입수를 찌의 부력으로 잡아주지만
옥내림은 저부력이라서 그런 현상이 생깁니다.
근데 굳이 수심측정 고무나 지우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어짜피 옥수수를 사용하실 것 같으면 윗바늘에 옥수수 2개 달고 수심측정하시면 됩니다.
질문의 내용대로라면 수심측정하기가 애매~~하게 됩니다.
그렇게 수심측정을 했다면 사선이 생겨서 정작 윗,아래 바늘에 옥수수 2알을 달고
본격 낚시를 하면 수심측정한것 보다 찌톱이 훨씬 많이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것입니다.
수심측정 그냥 옥수수 2알을 윗바늘에 달아서 하시는 것이 제일 좋을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