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를 고수님으로부터 들었습니다.
갈수록 개체수가 줄어드는데다 큰놈들은 물가로 잘 안나온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꾸 사람들이 장대 선호가 많아진다고하네요.
개인적으로도 장대 별로 안좋아하고 40대로 며칠 낚시한 후 팔 아파서 고생한 기억도 있는데, 더 긴 장대를 사야하나 고민중입니다.
개개인마다 낚시대 길이의 효과에 대해서 생각하는바도 틀리고, 선호하는 바도 틀립니다만..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게 정답이라고 보여집니다.
붕어는 기본적으로 먹이활동을 위해서 연안으로 나오게되어있습니다.
대물이라고 연안으로 나오지않는게 아니라, 연안의 불빛이나 소란등의 이유로 경계심을 가져서 접근이 덜한것입니다.
대물낚시할때처럼 까탈스럽게 조용히 기다리면 오히려 짧은대에서 대물입질이 잦습니다.
제 경우 독조를 많이 즐겼었는데, 경험상으로도 오히려 연안으로 붙여놓은 짧은대에서 의외로 수확이 괜찮았습니다.
이 낚시가 나오면서 낚시패턴이 많이 변하긴 했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낚시 기법은 대물낚시와 동일합니다.
지금은 안내병채비를 밀고있지만, 한때 유행했던 서찬수님의 "갓낚시" 를 기억하시는지요?
계곡지 둑방에서 받침대도없이 연안 1미터 안쪽을 노리는, 그런 식의 낚시지요..
장대로 맞은편 연안, 수심 50센티를 공략해서 4짜를 잡아내는 영상을 보고 상당히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때를 잘 짚어서, 상황에 맞는 포인트에 정숙하게 앉아서 기다리면 대물은 그만큼 가까워집니다.
반면 독조가 아닌 상황에서 혼자 뚝 떨어진 포인트가 아니라면 가급적 긴대가 유리할수도 있습니다.
특히 수심이 완만한 평지형, 그것도 배스터라면 그런 경향이 좀더 뚜렷해지는것 같더군요..
그렇다고 깍아지르는 계곡지에서 40칸 장대를 휘두를 필요는 당연히 없겠지요?
40대 이상 잘 펴지 않습니다.
저부력찌 몇번 날리다 팔에 엘보와서 고생 했습니다.
그렇다면 아예 40대 이상을 포기 해야 하느냐면 그것도 아닙니다.
생각해낸게 약간의 옥내림 고부력찌를 이용해서 방랑자 채비로 줄 좀 짧게 매고 44,48까지 앞치기 합니다.
제가 다니는 곳은 배스터로 한방을 노리기에 추운날씨에는 재방쪽에 자리하고 수심 깊은곳을 노립니다.
날이 따뜻해지면 40대 이상은 잘 펴지 않습니다.
그러다 다시 한 여름이 되면 깊은 수심을 노리구요.
행복한낚시꾼님 안녕하세요!
저는 장대매니아 분들처럼 긴대를 많이 쓰지는 않습니다만 꼭 필요할때가 가끔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조사님들도 가지고는 있으나
잘 안쓰게 된다고 하시는것 같네요 ㅎ
장단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이런 장단점은 쓰시면서 아시게 될 것이고 조과도 직접 써보시면 알듯 합니다^^
제 경우는 36,38,40,42 대에서 거의 입질을 받습니다. 포인트 마다 확실한차이가 나지만, 거의 그렇더군요. 긴대에 가벼운 채비로 수심맞춘포인트에 넣기가 어려워 앞치기는 거의 하지 않아요. 저도 48까지 있습니다만 44위론 안개낀 밤에 전자캐미라도 불빛보기 어렵죠. 제 경우는
필요없다에 한표하겠습니다. 이빠이 44칸정도면 맥스라고 보여지네요.
저는 장대있지만 별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길면길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인생역전 한방짜리터 주로가는데
긴대에서 재미많이 본거같네요 50대
노동력이 상당하겠죠....
저는 비추입니다.
좀더멀리 투척할려고하는데 꼭 멀리투척할필요가없다고 생각합니다
낙시가는 저수지마다 긴대가필요한경우 잘은대가요긴하게 필요데가많이 있읍니다
제가알기로는 장대가필요한 겨절은 10월부터12월중순까지로 알고있읍니다
노지가시면 대부분 앞치기로 투척해야하는데 40대이상은 힘이너무 들듯합니다.^^
위분 말대로 그렇게까지 해야할 이유가.....
붕어가 거기에 있으면 해야되겠지만 ㅎㅎㅎㅎ
처음에는... ㅎㅎ
저도 신체조건상 4카대까지만 활용하는데, 작년 아무도 모르지에서
동료가 4.7 5.1칸대로 4짜 3수 5짜 2수 뽑아내는데, 저는 옆에서 뜰채만
대주다가 왔습니다..
그래서 저는 수중좌대를 구비했습니다.. 올해 복수전 해야지요...
갈수록 개체수가 줄어드는데다 큰놈들은 물가로 잘 안나온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꾸 사람들이 장대 선호가 많아진다고하네요.
개인적으로도 장대 별로 안좋아하고 40대로 며칠 낚시한 후 팔 아파서 고생한 기억도 있는데, 더 긴 장대를 사야하나 고민중입니다.
40이상은 노동이더군요.
더 긴대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시면 좌대나 낚시발판을 구입하는게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노지에서 활용도도 뛰어나고 4.0칸대로 4.4칸대의 투척거리를 확보할수 있으니까요
노지에서 장대 사용시 특히 옥내림이란 장르는 스트레스가 상당합니다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게 정답이라고 보여집니다.
붕어는 기본적으로 먹이활동을 위해서 연안으로 나오게되어있습니다.
대물이라고 연안으로 나오지않는게 아니라, 연안의 불빛이나 소란등의 이유로 경계심을 가져서 접근이 덜한것입니다.
대물낚시할때처럼 까탈스럽게 조용히 기다리면 오히려 짧은대에서 대물입질이 잦습니다.
제 경우 독조를 많이 즐겼었는데, 경험상으로도 오히려 연안으로 붙여놓은 짧은대에서 의외로 수확이 괜찮았습니다.
이 낚시가 나오면서 낚시패턴이 많이 변하긴 했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낚시 기법은 대물낚시와 동일합니다.
지금은 안내병채비를 밀고있지만, 한때 유행했던 서찬수님의 "갓낚시" 를 기억하시는지요?
계곡지 둑방에서 받침대도없이 연안 1미터 안쪽을 노리는, 그런 식의 낚시지요..
장대로 맞은편 연안, 수심 50센티를 공략해서 4짜를 잡아내는 영상을 보고 상당히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때를 잘 짚어서, 상황에 맞는 포인트에 정숙하게 앉아서 기다리면 대물은 그만큼 가까워집니다.
반면 독조가 아닌 상황에서 혼자 뚝 떨어진 포인트가 아니라면 가급적 긴대가 유리할수도 있습니다.
특히 수심이 완만한 평지형, 그것도 배스터라면 그런 경향이 좀더 뚜렷해지는것 같더군요..
그렇다고 깍아지르는 계곡지에서 40칸 장대를 휘두를 필요는 당연히 없겠지요?
정답은 없습니다.
상황에 맞는 편성만이 정답입니다.
그리도 장대 쓰실때, 가급적 앞치기말고 스윙을 하시기 바랍니다.
팔에 엘보옵니다...^^
저부력찌 몇번 날리다 팔에 엘보와서 고생 했습니다.
그렇다면 아예 40대 이상을 포기 해야 하느냐면 그것도 아닙니다.
생각해낸게 약간의 옥내림 고부력찌를 이용해서 방랑자 채비로 줄 좀 짧게 매고 44,48까지 앞치기 합니다.
제가 다니는 곳은 배스터로 한방을 노리기에 추운날씨에는 재방쪽에 자리하고 수심 깊은곳을 노립니다.
날이 따뜻해지면 40대 이상은 잘 펴지 않습니다.
그러다 다시 한 여름이 되면 깊은 수심을 노리구요.
팔에 엘보오기 딱 입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긴대가 40대 입니다
(거의 사용은 하지 않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잘못하면 고질병됩니다.
낚시고 뭐고 취미생활 접게되요~
저는 장대매니아 분들처럼 긴대를 많이 쓰지는 않습니다만 꼭 필요할때가 가끔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조사님들도 가지고는 있으나
잘 안쓰게 된다고 하시는것 같네요 ㅎ
장단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이런 장단점은 쓰시면서 아시게 될 것이고 조과도 직접 써보시면 알듯 합니다^^
거의 열에 아홉은 긴대가 유리합니다.
물런...짧은대로 4짜를 잡아도 봤읍니다만..
잡힌 붕어 중에... 제일 큰 붕어는 그중 가장 긴대에서 올라 오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자신이 감당할수만 있다면 옥내림에 장대.. 피하기 어렵읍니다.
대구리 하이소~~!!
본인이 즐겨 가는 곳은 옥내림시 3.2칸에서 입질이 잦아 궂이 3.6칸 이상을 펼 필요가 없드군요.
또 한곳은 18척 두대만 펴고 떡내림을 해도 조과가 좋드군요.
일반터에서는 4.4까지 폅니다.
필요없다에 한표하겠습니다. 이빠이 44칸정도면 맥스라고 보여지네요.
짧은대만 쓰세요^^
한방짜리 주로다니고요.
긴대로 잡으니 옆에사람 바로 장대 휘둘루던데요?
엘보 걱정 하시는분들은 아예포기를 하시는것이 맞다고 봅니다.
저수지마다 틀리지만 보통장대에서 덩어리 자주올라옵니다
스윙으로 투척하다보니 엘보걱정도 없읍니다
노지가시면 대부분 앞치기로 투척해야하는데 40대이상은 힘이너무 들어서 생미끼로 돌려서 투척해야하니 집어는 안됩니다.
주낙개념이 될것 같습니다.
갠적으로 장대 좋아하지만 비추입니다..
장대,좌대 이해 안갑니다... 낚시꾼의 욕심아닐까요...?
칸반대 두칸대 거리에 40대 투척합니다...
장대사용은 대물걸었을때 손맛때문에...
물론 짧은대가 손맛은 더좋긴하지만...??
나름 결론이지만 윗분들이 예기하신대로 포인트와 낚시대를 펴는 기술,노하우 뭐 그런거같습니다
저는 소발에 쥐를 잡은격이라 51대 밤새 휘두르시면 거기다 4치5치 연타올라오면 다른낚시 못합니다
힘들어서요 그러니 굳이 장대는 안써도 될꺼같습니다
저는 낚시 다닐때 장대쓰면 웬지 뽀대나고 낚시 잘하는것 같이 보여서..넘들이 옆에서 장대 앞치기 잘한다고 할때 약간 우쭐..ㅎㅎ
무리하게 48대 51대 앞치기 하다 어깨 윤활 주머니 염증이 생겨서..한동안 고생했습니다..
그뒤로 40대 이상은 잘 안피게 되더군요..
가끔 36이나 40쓰는데요 거의 안쓰는 정도고요
힘들게 장대쓰는 것보단 짧은대로 편하게 낚시하는 걸
좋아합니다 조과는 생각하기 나름인것 같습니다
저도 예전엔 장대 휘둘러 가면서 했었는데요 조과는 똑같아요
팔은 무지 아프고 포인트에 한번에 안들어 가면 스트레스 받죠 ㅎㅎ
그냥 짧은 대로 수초근처 공략하면 맘이 아주 편합니다
물가에 바싹 붙어앉으면 고기는 그만치 멀어진다고 배워습니다.^^*
즐길라고 하는 낚시가 ...
장대로 인해 엘보가 온다면 낚시 그만둬야 하지 않나요.?^^*
노동이 아닌 즐거운 낚시가 되겠지요^^
팔도 편하면서 조과도 생각보다 월등할때 많습니다
단, 수초부근에 붙이면 더 좋습니다
넓디 넓은 저수지에서 장대나 단대 모두 붕어가 보기엔
뭍에서 너무 가까운가 봅니다
장대 자꾸 소리치는건 결국 조구사 관계자들 뿐이라고 봅니다
단대도 써보세요 조과, 써봐야 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