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칸쌍포, 2.9쌍포, 3.0쌍포의 비교적 길지않은 6대의 대편성에 ~
2대는 사슬채비, 4대는 원봉동채비였습니다.
(부력은 3그램초반대 )
긴목줄은 합사1호, 짧은목줄은 당줄 2호
모처럼 처음으로, 토종대물터인 조일낚시터에 다녀왔습니다. (월요일휴무라서 월-화 밤낚시를 하였습니다.)
사슬채비와 원봉돌채비모두 영점찌맞춤에 토종터라서 오링대자를 하나씩 더끼웠습니다.
(찌입수때도 보니 평소와는 좀다르게 무거운느낌이 들어서 따로 현장찌맞춤은 하질않았습니다.)
낮에는 옥수수와 글루텐미끼에 두번정도 입질이 들어왔었고, 저녁식사를 하고 본격적인 밤낚시를 시작했는데 9-10시까지는 입질이 전무하다가 밤11시가 넘어가니 띄엄띄엄입질이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밤12시가 넘어 새벽으로 가면서 입질빈도수는 20-30분에 한번꼴로 자주들어오는편이었습니다.)
확실한 찌올림을 보고 챔질을 했는데, 계속 헛챔질이 나오더군요. ;;
한번은 잠깐 휴대폰을 보는데 찌가 다올라와서 동동거리는 상황에서 챔질을 했는데도 헛챔질 ㅠㅠ
토종터인데도 생각보다 찌올림이 중후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냥 중국수입붕어찌올림정도 ??
글루텐을 크게달아서 물속에서 풀어진 끄트머리를 물고늘어지나해서 바늘만 감쌀정도로 작게도 달아보았는데, 또 헛챔질 ㅠㅠ
밤이새도록 새벽5시까지 20회정도의 입질과 찌올림을 보았는데 전부다 헛챔질이었습니다.
아무리생각해도 이해가 가질않네요. ;;
혹시 원인이 무엇일까요 ??
(배스나 블루길같은 외래어종은 없는 낚시터입니다.)
참, 맨왼쪽대에서 3마리의 우렁이가 나오긴했습니다만 우렁이가 찌를 그렇게 올려줄까요.. ??
끌고 틀어가는 입질은
경험이 있네요~ㅎ
우렁이 요놈이
새우 옥수수 떡밥
다 먹드라구요!
미끼는 글루텐을 사용했습니다 ~~
과감하게 바늘 호수를 줄여보심이...
오링도 더 추가해보시고...
절대 빠지지 않던 답변중에 하나가
"그거 입질이 아니라 대류 때문에 찌가 올라온겁니다."인데
그게 없어서 보기 좋습니다.
작은 물고기나 곤충들이 많은게 아닙니까?
찌맞춤이란게 거의 무중력상태로 만드는 것이라
매우 작은 수서 곤충종류만 되어도 찌를 들어 올리는게 쉬운일이죠.
새끼 손가락만한 살치 새끼들이나 버들치 몇마리만 꼬여도, 편한낚시 못하죠.
확실하게 이유를 알 수 있을만한 지렁이나, 옥수수 같은 것을 끼워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지렁이 끼워도 그런 현상이 나타나면, 슬며시 빼보고 지렁이가 씹힌 상태를 보셔도 되구요.
옥수수를 끼웠는데 찌에 반응이 아예 없어지면,
옥수수알갱이도 한입에 못넣는 꼬마 미끼도둑들 소행이라고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물방개입니다
(채집망 던져 놓아보시며 물방개 틀림없이 몇마리 들어와 있을겁니다)
미꾸라지 입질도 20번 챔질하면 한번은 나옵니다
제 생각엔 붕애들이 입질해서 그런 표현이 나타나는거라 생각됩니다,
전 그래서 떡밥을 딱딱하게 사용하니까 헛챔질하는 입질이 좀 덜 하더라구요. 조황은 좀 떨어져도 찌 올림도 확실하구요
한번 해보셔요!
자생새우 채집해서 써보세요.
찌맞춤 그대로 하시고요.
우렁이와 붕어 잔챙이 많은곳입니다.
바늘 끝을 손톱으로 그어서 비끄러지면 저는 바꾸는 편이여서요~
1.예민한...
2.찌맞춤으로...
3.이러한 상황이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4.이럴때는...
5.좁살봉돌 하나 정도 부착하여 사용 하십시요.
6.도래 하나도 좋습니다.
7.잡어...수서곤충.등등
찌가 두마디때.찌가 빨릴때까지 기다릴때!
이상황에서 챔질해도 고기가 없다면
90%이상 3.4cm되는 치어.미꾸라지 입니다.
붕어나잉어가 예민할때는 정입질에 고기 없습니다.
밤새 케미가 깜빡깜빡 하는 입질에 붕어.잉어가 나올때도 있습니다.
예민한 붕어는 챔질 타이밍을 달리해야 됩니다.
이런 경우가 아니면 치어 개체수가 엄청 많은가
봅니다.
찌가 올라오는 중에,
찌가 두마디때,
모두챔질했는데 빈바늘이었습니다 ~ ;;
사진속바늘 허리가 짧고 폭이넓은것으로 일반
뱅에돔 바늘로 보입니다
바다에서 감성돔낚시할때 먺성 좋을때
많이 사용합니다
저의 경험으로
1바늘 교체
벵에돔바늘<=> 감성돔바늘
더크거나 작은것으로
쌍봉에서 외바늘
2미끼 변화
곡물 <=>동물성
3목줄 길이의 변화
4 찌부력 조정
더 무겁게<=>더 예빈하게
5 그래도 안되면 포기하고 취침
아침에 주변 조사님들께 현지 정보 수집후
다시 도전
모든미끼 다 끌어올리던데요ㅣ
그중 새우미끼가 가장 으뜸입니다
낚시터 사장한테 치어잡이 했는지 물어보세요.
그리고 채비를 풍덩으로 하시고 바늘을 벵에돔
7~8호 목줄20cm 챔질 타이밍을 길게 가져보세요.
밥도 딱딱하게.아니면 새우
이리해도 입질에서 고기가 안나오면
치어나 잡어 입니다.
치어 개체가 만으면 큰붕어 오기전에
치어가 다 먹어 치웁니다.
거의 30년전쯤 구미근처 저수지에 우연히 혼자 밤낚시를 한적이 있었습니다.
처음가본 저수지였는데 미끼로 보리밥 사용했었습니다.
해는지고 입질은 자주오는데 어찌된게 아무리 챔질해도 걸리지가 않더군요.
올리는입질, 끌고들어가는입질, 옆으로 둥둥 떠가는입질
아무리 챔질해도 안걸리길래 나중에는 물귀신인가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그러다 한순간 뭔가 걸리는느낌이들며 걸려나온것은 손가락만한 징거미였습니다.
그당시에 징거미가 뭔지도 몰랐고 모양은 분명히 새우인데 앞다리가 몸길이만큼 길고
그 끝에 집게까지 달려있는 왕새우를보고 많이 놀랐습니다.
물이 오염되서 돌연변이가 생긴건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만 나중에 알고보니
징거미라고 하더군요. 당시에는 많이 놀랐습니다. ^^
입질에 챔질타이밍 바꿔가며 여러번 챔질해도 안잡히면 징거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저도 징거미가 범인인것 같습니다 ~~~ ;;
저도 징거미가 범인인것 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