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낚시터에 가보면 많은분들이 같은 칸수를 펴놓습니다.
이러한 세팅방식을 "쌍포"라 하더군요. 대포도 아닌데 왜 "포"자가 있는지...
32칸 쌍포가 폼은 나지만 제 경우에는 32, 29칸 펼때와 비교해서 조과의 차이가 없고
오히려 32, 29칸이 더 좋을때가 많았습니다. 29칸과 32칸은 대길이 54cm, 낚시줄까지
포함하면 약 1m...붕어 회유 길목을 두개나 지키고 있어서 그런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제 경우에는 잡이터 가서도 밤낚시때 32, 29칸대를 폈다가 입질이 잦지않으면 두대다 펴놓고
입질이 잦으면 좀 더 자주 오는대만 남기고 한대는 접습니다...
월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쌍포 조과와 다른 칸수 두대를 폈을때의 조과 비교말입니다....
32칸 쌍포와 32칸,29칸 조과 비교
-
- Hit : 1310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8
몇번은 짧은 25칸에서만 소나기 입질 받아
잡은적도 있구요~
찌보기편하고 집어하기 좋고 그런 이유가 많을겁니다^^
쌍포에도 한대만 유독 입질 잘들어올때가 있습니다 ^^
현장 상황에 맞게 그때 그때 다르긴 하지만~,
자주 가는 곳은 포인트를 알아서 입질이 빈번한 곳에만 찌를 세우는데,
처음 가는 곳은 떡밥 낚시 임에도 많은 대를(5-6) 펼쳐서 지켜 본 후,
입질이 잦은 곳만 집중 하고, 나머진 걍 방치 하거나 접습니다.
양어장이 아닌 노지에서는 붕어 회유로를 찾는게 중요 하겠죠...
일단 찌보기가 편하고,
같은 지점에 떡밥을 집중투척해서 집어에도 유리할뿐더러,
투척이 살짝 빗나갈경우에도 회수하지않고 낚싯대 위치만 바꾸면 되므로 좋습니다.
다른 칸 수를 사용하는 것과 조과는 거의 비슷합니다
손맛터라면, 항상 그자리에서 펴던 낚시칸수를 사용해야 더 많이 잡죠 ㅎㅎ
29대 이상금지인 손맛터에서 밤에 32대 펴도 입질없어요 ㅎㅎ
그만큼 밥이 덜 들어가고, 바닥도 거친 그대로이고 ㅎㅎ
그자리에서 자주핀 칸수가 집어도 빠르고, 입질도 잘들어옵니다.
붕어도 습관처럼 그자리에 오고, 학습을 하거든요
한대 펼치고 하는 편이었는데, 지금은 32대를 새로 장만해서 32대를 2대피고 합니다.
여겨지는것에 대하여 말씀드리자면
초창기 유료터는 요즘처럼 손맛터가 아닌 대부분 잡이터로서
지금처럼 짧은시간에 많은 마릿수의 조과를 올리기가 상당히 어려운 시절이었습니다
밤시간대에는 짧은대에도 잘나와주었지만 낮시간이나 조사님들이 많은시간대에는
고기가 잘 나오지않아 사람들이 경쟁적으로 장대를 사용하기시작하였습니다
주로 많이쓰이던 장대가 50대(오공대)였으며
50대를 쓰면 왠만해서는 꽝을치지 않았기에 한동안 장대열풍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았었고 그로인해 조구사에서도 주문생산하던 방식에서
일부 양산하기도하였으며 그여파로 지금은제가알기로 10칸(열칸)짜리낚시대까지 나온
걸로 알고있습니다. 아무튼 돌아와서 고기를 잡은만큼 가져가던 잡이터시절에도
장시간 50대를 쓴다는건 상당한 노동이기도하었고 잡은고기를 가져가던 분위기에서 점차 릴리즈를
하는 시대로 바뀌기도하었으며 고기를 많이잡아가던게 목적이던때와 달리 즐기는 낚시로 바뀌어가면서
낚시대도 점차 짧아지기 시작하여 제자리에 앉아서도
앞치기가 가능하고 두찌가 나란히있기에 예민한 입질표현도
쉽게 포착이 가능학 옆사람에 비해서도 짧지가 않기에
여러모로 편리하고 불리하지 않은 대의길이가 32대가
최적인지라 지금처럼 32대를 많이들 쓰십니다 저역시도
32쌍포를 즐겨사용하었으며 요즘에는 25대 한대만 사용하고있습니다
근무시간이 다되어 여기서 마무리해야겟네요
휴대폰으로 쓴지라 오타가 많습니다 양해해주세요
같은 좌대에서 밤새고 아침에 철수할때 보면 차이가 없읍니다.
몇번을 같은 결과가 나와서 이젠 편하게 2,9대 폅니다.
조금 손해 보는것 같지만 결과는 비슷하게 나오니까 조급해 하지 않게 됩니다.
손맛터는 입질이 대길이와 상관없이 골고루 잘 나와 준다면 편하게 짧은대를 폅니다.
손맛보기는 2,5대 정도면 딱 좋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수심이 대충 3M이내면 28펴고 넘어가면 32 펴고 합니다
00 동영상에서 그러더라고요.
뭐, 그날 그날 다르지만 본인 편한칸수가 답이 아닐지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