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500평 산속 둠벙 수심층 질문드립니다

조그만 계곡지 둠벙인데 3칸기준 수심이 거의 4m권 나오는데요 3.2칸은 4m가 넘습니다 이렇게 평균 수심이 깊은 형태의 둠벙은 아침이나 낮낚시를 공략할때도 2.5칸이하 짧은대로 공략하는게 나을까요 ??

이런곳은 흔히말하는 갓낚시로 치는게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능력되시는한 가능하면 긴대로 좌우로 째고 중앙부도 넣게 다하면 짧은대로 치시면 될것같네요..

수심은 80~ 1.5메터 권으로 그룹별로 편성하여 어떤 그룹에서 주로 입질을 하는지 파악하시는게 좋을 것같아요..
연안과의 거리와 대길이와는 무관합니다.. 수심을 내가 강제로 정하고 거기에 맞게 펴시면 될것같습니다.
실전븅어님 글에 한표

여건이 안맞으면
둠벙뚝에서 떨어져서
위와같은 방법으로도
가능합니다
자리 이동하세요.

새물 들어오는 상류쪽으로 ㄱㄱ
둠벙...
1.낚시대: 25칸...
2.(연안)...
3.(갓낚시)로 하십시요.
3칸 기준 4m 에서도 붕어 잘 나옵니다.

다양한 수심대에 편성하심이 좋을것 같습니다.

물색이나 기타 여건을 보지도 않고

"아침과 낮낚시"에

갓낚시를 추천 하는 용감함이란...
깊은 수심대라두 꼭 연안으로만 먹이활동 하는건아니므로 다양하게 편성하셔서 손맛보시고 안전한출조 하시길 바랍니다
수심 차이 있을까요 평균수심 깊은곳 그냥 편한자리 물색찾아 하심좋을듯 합니다
산속 작지만 깊은 계곡형 저수지...극과극을 달리는 저수지 같네요. 이런곳을 제일 좋아하지만 경험상 11월에 좋은 조과가 있습니다. 물이 빠지고 수문을 닫았을 때 가장 좋은데 저수지 주인이 아닌이상 타이밍 잡기가 거의 불가능 합니다. 소나기 한방만 내려도 10일이상 흑탕물에 입질이 전혀 없습니다. 대게 이런곳은 징거미와 새우에 시달리다가 '여기 고기없다' 포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깊은 수심 5미터권에서도 고기 잡은적 있습니다
찌 맞춤 짱나서 그렇죠
배스 있고 깊은 수심계곡지 수심 깊은데서 입질 들어와요
강심장이십니다.
멋모를 때는 이런데만 찾아다녔는데 지금은 멧돼지 단골옹달샘일것 같아 저라 겁나서 피합니다.
저라면 낮엔 깊은 수심 중심으로, 저녁땐 갓낚시로 서너대를 포함하여 펴겠습니다. 물론 나머지는 밤까지 깊은 수심도 공략합니다. 그나저나 그런 곳을 아신다니 부럽습니다.
어딘지 알려주시면 제가해보고
결과알려드리겠습니다.^^*
아침과 낮엔 갓낚시 효과 없어요
수심 4미터라도 믿음을 가지고 해보십시요..창념 모저수지에서 전체적으로 수심깊은 저수지입니다만 그곳엔 깊은 수심에서 입질 오더군요
저라면 제일 긴장대로 4칸대로 중앙 두대 던지고
갓낚시로 좌우 각 3대씩 던져둡니다.
생미끼...참붕어나 새우로
자리는 뒤로 2미터 정도 떨어져서 앉아 잇고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