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를 직접 만들어 쓰고 싫은데 그럴 수 가 없어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제가 종종 즐겨하는 채비는 외바늘 좁쌀 채비입니다.
하지만 일반 좁쌀채비와는 달리 바늘(5호)만 바닥에 살며시 닿고, 붕어가 바늘을 들어올리면 목줄이 굽어지지 않는 상태로 찌가 올라오는 형태의 채비입니다.
즉, 바늘 하나의 무게로 최소 찌가 15cm이상은 움직여야 하는데요~~
이러한 민감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찌탑이 매우 가늘어야 하며 길이 또한 짧고 가벼운 찌여야 합니다.
(왠만한 다른 찌들은 수조 실험시 목줄만 굽어져 사각지대 발생, 초저부력 하우스 찌도 마찬가지임)
현재 여러 시중에 나온 찌 중에서 찌탑이 유난히 가는 찌(0.3파이 정도)를 파는 곳을 아시는지요??
가는 찌탑의 찌가 판매되는 곳이 있나요?
-
- Hit : 4593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가는찌를 찾고 있는데 궁금합니다..ㅋ
왠만한 봉돌3호까지 목줄 휘어짐없이찌탑끝까지 올려줍니다 일반 떡밥찌좀더 예민하게 맞춰보시기 바랍니다
보십시요
거기서본겟 같읍니다
굳이 좁쌀을 넣으신 이유가 어떤 비밀을 간직하신건지 궁금하네요
본래 좁쌀분납을 하는 이유는 찌톱이 다 드러나는 마이너스 맞춤에서
좁쌀을 추가해 바닥에 살짝 닿게 하고 좁쌀만 올리면
바로 찌올림으로 이어지면서도 긴목줄과 흡사한 이물감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채비인데,
바닥에 닿는게 주목적인 좁쌀이 목줄이 서있는 채비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면
예민성도 떨어지고, 안정성도 적을듯 한데..
지금 말씀하신 의도데로 바늘의 무게만으로 큰 움직임을 갖는 예민한 채비를 위해선 일단
좁쌀을 제거하시는게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반적인 채비의 상식에서만" 보자면 좁쌀이 수중에서 목줄이 휘도록 중심을 잡아주고 있습니다.
찌톱의 두께나 무게보다 더 우선적으로 바늘의 무게만으로 예민한 낚시로 작용하기 위해선
초저부력보다 더 저부력인 극저부력찌와 단일봉돌채비가 가장 쉬운 방법으로 보입니다.
일단 봉돌이 분할되게 되면 낚시줄의 전체적인 수중에서의 안정감이 증가합니다.
흐르는 물에서 막대찌와 길게 떨어뜨린 분납만으로도 오뚜기찌에 버금가는 안정성을
확보하는것을 보면 확실히 느낄 수 있지만, 이런 방법의 장점이 안정성인만큼 예민성에서는
단일봉돌보다는 오히려 떨어지게 됩니다.
목줄의 움직임에 직결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오히려 좁쌀분납채비보다 단일봉돌이 더 뛰어납니다.
다만, 사람이 쉽게 느끼는 채비는 붕어도 쉽게 느끼기 때문에 그 이물감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것이
좁쌀봉돌 채비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인데, 바닥에 닿지 않는 좁쌀채비는 어떤 새로운 분야를
노리고 만드시는건지 기대되네요 부디 새로운 채비를 성공적으로 맞추시고 좋은 정보 공유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인 좁살봉돌 채비로 생각했을때
바늘만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붕어의 입질이 있을때 목줄의 굽어짐 없이 찌가 반응을 한다.
그렇다면 목줄대신 다른것를 응용하신 채비인가요??
목줄을 합사나 카본, 모노줄을 사용한다면 입질 시 목줄의 굽혀짐은 분명히 생겨질 것이라고 보여지는데요..
너무나도 궁금합니다.. 꼭 한번 채비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쌍바늘 낚시에서는 바늘만 살짝 닿는 것이 바닥채비입니다. 왜냐하면 입질 받은 바늘이 당겨질 때 또다른 바늘이 지지대 역활을 합니다. 입질시 꿈뻑하고 들어갈수는 있으나 결국엔 본신에 경우 올려주죠.
혹시 새로운 채비구상중이시라면 꼭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월척에 꼭 올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