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낚시는 모든 곳에서 가능 하지만 특히 보가 형성된 보 윗부분에서 많이 합니다 .
포인트 찿을때 유속이 심하지 않고 갈대 . 부들 .말 .기타 이런 것들이 조금 이라도 있는곳을 찾아
낚시를 하면 대물낚시처럼 무겁게 채비를 하지 않더라도 가능 합니다 .
수초가 밀생 하지 않는 곳이라면 굿이 아주 무겁게 채비를 운영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유속이 빠른 곳이라면 꼭 그곳에서 밖에 할수 없는 상황 이라면 상위와 상반 되지만 찌가 떠내려 가지 않을 만큼
좁살 봉돌을 물리세요 . 다 올려 줍니다.
특히 일반 저수지에는 지렁이 입질이 대부분 깔끔하지 못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지만 강낚시에서 제 경험으로는
찌가 오르는 폭은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깔끔하게 올라 옵니다 .
바늘 2개 달고 한쪽은 지렁이 한쪽은 글르텐 or 새우짱 .보리보리 .찰떡밥 기타 이런 종류로 집어제로 만들어 하시면
손풀이 가능 하시리라 믿으며 짧은 소견을 마칩니다 .
강낚시 ~ 오래전에는 거의 보을 막지않아 강가에 많은 어자원들이 회유을하고
수질도 오염이 심하지 않았는데 ... 환경을 생각하고 어종에 회유로는 만들고 보를 막는지 ...
기상이변 홍수도 한몫하겠죠 ~ 애기가 삼천포로 ...
강낚시 ~ 무시할수 없는것이 유속입니다 예전에 강낚시는 보가 아닌 ~ 강이 굽히쳐 돌면서
자연적으로 생긴 지형이 안쪽으로 들어간곳에서 많이 하신곤 했습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신데로 유속을 생각하셔 상류로부터 짦은대 하류로긴대 편성 중요하며
찌도 중요하시만 유속 때문에 채비투척도 상류쪽을 보고 어느정도 각도로 투척해야지
유속으로 흐르면서 정면으로 안착이 됩니다 또한 미끼 또한 조금은 단단하게 사용하며
미끼에 크기도 크게 다는것이 유속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즐거운 강낚시하시고 답변이 잘 되었는지 모르겟습니다
꼭 기억하셔야 할것이 있습니다 !
강은 만약 많은량에 비가 온다면 생각하는것보다 수위변화가 급격합니다 안전출조하세요
저는 형산강에서 낚시을 많이 합니다
먼저 저의 채비법을 올려볼께요
원줄 2.5호 이구요 찌는 다루마형 수심1.5미터 이상사용때는 찌길이 60센치 이상
1.5미터 이내는 60센치 이하 로 사용합니다
봉돌은 7푼내지 9푼까지 사용하구요 항상 찌보다 한푼 높게 사용합니다
찌거 7푼이면 봉돌은 8푼으로 사용하는거구요
이상황에서는 찌가 흘러가면 끝보기로 전환 해야 합니다
윗분중에 한분 말씀처럼 유속윗쪽은 짧은대 부터 편성하구요
그래야 엉킹이 없습니다
미끼는 지렁이 떡밥을 많이 사용하나 요사이는 지렁이 보다 떡밥하고 글루텐을 더 잘먹히더군요
크기는 평상시보다 조금더 크게 다시구요
(참고하실것은 강이고 유속이 있으니 평상시 보다 자주 미끼 확인 해야 합니다
또한 낚시대 뒤꼿이는 반드시 브레이크 장치는 필수입니다
강고기가 힘이 좋다보니 한눈팔면 낚시대 끌고가 버립니다
이상 미천하나마 저의 채비법이었습니다
전 한달에 약 15번은 출조 합니다
일전에 한번은 자꾸만 떠내려가길래 좁쌀봉돌을 채웠는데
그래도 흘러가더군요
유속이 빠른곳이라면 차라리 끝보기낚시를 구사하는것이 옳을듯싶네요.
안전 출조 하세요
포인트 찿을때 유속이 심하지 않고 갈대 . 부들 .말 .기타 이런 것들이 조금 이라도 있는곳을 찾아
낚시를 하면 대물낚시처럼 무겁게 채비를 하지 않더라도 가능 합니다 .
수초가 밀생 하지 않는 곳이라면 굿이 아주 무겁게 채비를 운영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유속이 빠른 곳이라면 꼭 그곳에서 밖에 할수 없는 상황 이라면 상위와 상반 되지만 찌가 떠내려 가지 않을 만큼
좁살 봉돌을 물리세요 . 다 올려 줍니다.
특히 일반 저수지에는 지렁이 입질이 대부분 깔끔하지 못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지만 강낚시에서 제 경험으로는
찌가 오르는 폭은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깔끔하게 올라 옵니다 .
바늘 2개 달고 한쪽은 지렁이 한쪽은 글르텐 or 새우짱 .보리보리 .찰떡밥 기타 이런 종류로 집어제로 만들어 하시면
손풀이 가능 하시리라 믿으며 짧은 소견을 마칩니다 .
어느정도의 유속을 이겨내야만 합니다
끝보기가 아닌 찌를 사용 하시려거든....
먼저 찌는 오뚜기 형이 좋습니다, 물흐름에 제일 안정적 입니다
저의 경우 45cm내외의 오뚜기형의 찌를 사용하고 부력은고리봉돌기준(5-7호사이)
찌맞춤은 영점에서 부터 약간 무겁게 맞추셔도 괜찮구요
유속으로 인한 흐름을 방지하기위해 약간은 빠른 입수가 좋습니다
그리고 원줄은 카본사를 사용하시구요 대략2호 정도가 좋습니다
너무 굵은 줄을 사용하시면 채비의 흐름의 원인이 됩니다
낚시대를 편성시에는 상류쪽에 짧은대를 펴시고 하류쪽으로 긴대를 펴시면
유속으로 인한 원줄의 엉킴을 줄일수가 있습니다
미미한 정보 입니다.................
좋은글 좋은답변 잘읽어 보았습니다
강낚시 ~ 오래전에는 거의 보을 막지않아 강가에 많은 어자원들이 회유을하고
수질도 오염이 심하지 않았는데 ... 환경을 생각하고 어종에 회유로는 만들고 보를 막는지 ...
기상이변 홍수도 한몫하겠죠 ~ 애기가 삼천포로 ...
강낚시 ~ 무시할수 없는것이 유속입니다 예전에 강낚시는 보가 아닌 ~ 강이 굽히쳐 돌면서
자연적으로 생긴 지형이 안쪽으로 들어간곳에서 많이 하신곤 했습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신데로 유속을 생각하셔 상류로부터 짦은대 하류로긴대 편성 중요하며
찌도 중요하시만 유속 때문에 채비투척도 상류쪽을 보고 어느정도 각도로 투척해야지
유속으로 흐르면서 정면으로 안착이 됩니다 또한 미끼 또한 조금은 단단하게 사용하며
미끼에 크기도 크게 다는것이 유속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즐거운 강낚시하시고 답변이 잘 되었는지 모르겟습니다
꼭 기억하셔야 할것이 있습니다 !
강은 만약 많은량에 비가 온다면 생각하는것보다 수위변화가 급격합니다 안전출조하세요
넘 감사합니다 ^^ 꾸벅
낚시에 많은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항상 행복과 행운이 함께 하길 빌어 봅니다
먼저 저의 채비법을 올려볼께요
원줄 2.5호 이구요 찌는 다루마형 수심1.5미터 이상사용때는 찌길이 60센치 이상
1.5미터 이내는 60센치 이하 로 사용합니다
봉돌은 7푼내지 9푼까지 사용하구요 항상 찌보다 한푼 높게 사용합니다
찌거 7푼이면 봉돌은 8푼으로 사용하는거구요
이상황에서는 찌가 흘러가면 끝보기로 전환 해야 합니다
윗분중에 한분 말씀처럼 유속윗쪽은 짧은대 부터 편성하구요
그래야 엉킹이 없습니다
미끼는 지렁이 떡밥을 많이 사용하나 요사이는 지렁이 보다 떡밥하고 글루텐을 더 잘먹히더군요
크기는 평상시보다 조금더 크게 다시구요
(참고하실것은 강이고 유속이 있으니 평상시 보다 자주 미끼 확인 해야 합니다
또한 낚시대 뒤꼿이는 반드시 브레이크 장치는 필수입니다
강고기가 힘이 좋다보니 한눈팔면 낚시대 끌고가 버립니다
이상 미천하나마 저의 채비법이었습니다
전 한달에 약 15번은 출조 합니다
일명 빨찌^^* 참쉽죠잉^^
강낚시 특성상 어느정도 유속이 있는 건 감안하셔야 합니다.
물론 자연적으로 형성된 오목한 부분이나 인공물인 보등이 유속의 흐름을 막아주는 곳이 있지만
강낚시의 묘미는 유속을 이용하는데 있다고 봅니다.
끝보기낚시를 주로 했는데 잔챙이가 입질을 하더라도 강의 흐름이 있음으로 초리끝이 반응을
크게 함니다. 손맛도 배가 되겠지요
채비손실을 줄이려면 목줄은 원줄보다 한 두단계 낮게 사용하셔야 합니다.
즐거운 낚시 되세요.
모래채취로 인한 웅덩이같은 유속이 없는곳은 굳이 무겁게 할 필요까진 없다고봅니다
막상 재미 붙이시면 나름 재미있을겁니다.
전 입질 올땐 대의 휨새에 스릴마저 생기는거 같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