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강낚시(냇가, 보..등등) 시즌포인트에 물이 없습니다...

회원님들의 무탈함을 기원드립니다... 시즌도 다가오고 궁금한 게 있어서 박사님들께 질문드립니다. 1. 시즌때마다 시골집 가까운 강가포인트(냇가, 보 포인트입니다)가 있습니다.(잔손맛은 볼 수있고 해년마다 4짜도 출현한 곳입니다^^) 어종은 붕어, 잉어, 동자개, 메기, 자라 등 강포인트답게 다양합니다^^ 1. 낚시 못 간지 몇 주되어서 근질근질하던 차에 일요일에 한 바퀴 돌아보고 왔습니다. 멀리 출조 못 나갈때 시골집에서 가까운 곳이라서 자주 가는 곳인데, 엄청 놀랐습니다. 면단위만 틀린 강가인데, 둘러본 곳 모두가 물이 거의 없었습니다. 바닥공사를 하는 것도 아니고... 1. 지나가시는 어르신 말씀이 겨울철마다 수문을 열어놓아서 바닥을 본다고 합니다. 다행히 누가 들어가서 그물질을 하지는 않는답니다. 1. 둘러본 곳 세군데 다 아랫보가 있지만 요즘 말하는 어로가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윗보에서는 물이 졸졸 흐르고 있습니다. 강가 전역이 물이 거의 없고, 가운데 쪽만 개울물처럼 졸졸 흐릅니다. 한 겨울에는 아예 바닥이라고 합니다. 궁금한 점 질문드립니다... 1. 붕어 생명력은 이곳 지식에서 많이 봤습니다만...이렇게 겨울철에 강가 바닥을 봐도 어종자원이 계속 가나요?? 1. 윗보, 아랫보 수문이 모두 열려버리면, 어종들이 열려진 수문을 따라서 떠내려가게 되나요?? 해년마다 손맛이 틀려지는 것 같아서 이렇게 질문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보가 달린 하천의 경우 수문을 열게되면 어류의 대부분이 물을 따라 하류로 내려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차피 그러한 성격의 하천은 하천내에서 자생적으로 알을낳고 자라서, 어자원이 형성되었다기 보다는,
봄과 가을 저수지나 댐권의 배수기철에 수로로 유입되어 들어오는 어자원이 대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배수기때 저수지나 댐권이 물빼는 것 때문에 저조황일때 역으로 하류권 수로는 새 물고기들이 유입되면서 조황이 좋아지는게 통상적입니다.
이 특수성 때문에 이 시기만을 골라서 파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S모그님 답글 감사합니다...물고기는 상류로 거스르는 본능이 있다고 배워서...^^
배수를 해버리면 상류로 거스르다가 막혀있는 보때문에 자원이 고갈될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요...
괜히 자주 가는 포인트 걱정만 했나봅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날라보자님 안녕하세요

질문하신내용에대해 s모그님께서 잘설명을해주셨네요
일반저수지와는 달리 강이나하천은 담수형이아니기때문에 그렇습니다
일반저수지는 배수를한다하여도 저수지의중앙에는 어느정도 물이남있고 뻘또한
강이나하천보다 빠져들어가는깊이가 있다보니 완전히 배수가되어도 다음우기때까지
붕어나기타어류들이 살아남을수 있다는것입니다
다만
하천같은곳에서도 형태에따라 조금씩다를수는있습니다
제가 사는곳이 유구천에 가까운곳이다보니
유구천에서도 예전에는 그러한일들이 비일비재했습니다
겨울에 동네청년들이 보에있는물을모두빼고 그물질들울하여 고기를잡아내도 다음해에는
그곳에서 월척급은아니지만 준척에급에가까운 붕어들이 나오더군요
이러한경험은 비단 저뿐만이아니라 어렸을적 시골에사셨던 분들이라면 공감하리라보여지네요
보의물을뺐어도 고기가남있지못하고 하류로내려가는곳이 있습니다
그러한곳은 바닥층이 돌이나자갈 아니면 모래로형성되어 있는곳이대부분입니다
결론적으로 물이빠졌을때
바닥층의 유형에따라 그리고 보의형태에따라 고기가있느냐없느냐를 어느정도 구분이 되어진다고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말씀드린내용은
제가어릴적 부터 유구천에서 낚시를하고 환경을 지켜본경험치입니다
지금은 유구천도
준설작업이니 하천정비니하는공사로하여
낚시할곳이 그리많아남아있지않아서 마음이아프네요
하나만주라님 답글감사합니다.
자연의 섭리며 조상들의 경험이라지만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렸는데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유구천도 화보와 조행기로 많이들었었는데 꼭한번 가보고싶네요...복받으시고 건강하세요 하나만주라님.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