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관리형저수지를 위주로 다니는데요.
관리터에서 주로 분할채비 계통으로 많이 쓰던데 같은 조건이라면 외봉돌 채비가 다른 채비보다 조과가 떨어질까요?
32칸쌍포에 외봉돌, 카본2호, 5호봉돌부력찌,6호바늘 이렇게 채비해서 할려고 하는데 너무 둔할까요?
조언 좀 부탁드려요^
최근에는 관리형저수지를 겨울철 하우스외에는 자알 안다니지만
예전 기억을 살려 올려 드립니다.
관리터마다 여건이 틀리지만 제 경험에 의하면 그리 만만한 낚시가 아니더군요.
외사람님의 5호 봉돌은 많이 무거운 채비인것 같습니다.
아주 활성도가 좋으면 모를까~
1~2호 봉돌 내외로 낮추시고... 관리터 위주의 낚시를 하신다고 하니..
가급적 분할봉돌 채비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봉돌의 호수가 낮으므로 투척의 어려움이 따르므로 찌는 유동식으로 바꾸시고여..
떡밥은 가급적 관리터에서 파는 떡밥으로 하시고..
떡밥의 물성은 가급적 묽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입어료를 내고 나올때 손맛을 못보면.. 조옴 허탈해 지더군요.
가능한게 아니라 원래 바닥낚시는 원봉돌로 시작하는겁니다
좀더 찌올림을 표현하고자 여러채비가 나오고 있는데
초기 입질의 표현은 분할이 예민하지만 원봉돌과 조과 차이는 미비 합니다
제 채비도 양어장 관리터 할거없이 카본 2호에 원봉돌로 충분합니다
양어장이나 관리터는 그날의 조건이나 포인트가 첫번째입니다
외바늘 가능은 하지만 관리터라면 집어가 중요 하다고 생각합니다.
외바늘로 집어는 쌍바늘보다 불리하지 않을까요?
물론 봉돌에 떡밥 달아서 하기도 하지만
마릿수 손맛이 아닌 한마리 잡아도 좋다 이쁜 찌올림 한번만 보자 하신다면 외바늘이 좋겠죠
관리터라면 카본 보다는 모노라인이 좋을것 같구여 모노라인도 1 ~ 1.2호면 왠만한 잉어 , 향어도 올릴 수 있습니다.
조과는 똑같아요~~
글루텐도 집어가 됩니다
혹 입질 뜸하면 아쿠아텍 물에 불려서 그루텐과 섞어쓰면 집어도 되고 먹이용도 되요.
물에 넣고 보시면 압니다..
예전 기억을 살려 올려 드립니다.
관리터마다 여건이 틀리지만 제 경험에 의하면 그리 만만한 낚시가 아니더군요.
외사람님의 5호 봉돌은 많이 무거운 채비인것 같습니다.
아주 활성도가 좋으면 모를까~
1~2호 봉돌 내외로 낮추시고... 관리터 위주의 낚시를 하신다고 하니..
가급적 분할봉돌 채비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봉돌의 호수가 낮으므로 투척의 어려움이 따르므로 찌는 유동식으로 바꾸시고여..
떡밥은 가급적 관리터에서 파는 떡밥으로 하시고..
떡밥의 물성은 가급적 묽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입어료를 내고 나올때 손맛을 못보면.. 조옴 허탈해 지더군요.
개인의 의견이오니 참고만 하셔요 ^^;
좀더 찌올림을 표현하고자 여러채비가 나오고 있는데
초기 입질의 표현은 분할이 예민하지만 원봉돌과 조과 차이는 미비 합니다
제 채비도 양어장 관리터 할거없이 카본 2호에 원봉돌로 충분합니다
양어장이나 관리터는 그날의 조건이나 포인트가 첫번째입니다
외바늘로 집어는 쌍바늘보다 불리하지 않을까요?
물론 봉돌에 떡밥 달아서 하기도 하지만
마릿수 손맛이 아닌 한마리 잡아도 좋다 이쁜 찌올림 한번만 보자 하신다면 외바늘이 좋겠죠
관리터라면 카본 보다는 모노라인이 좋을것 같구여 모노라인도 1 ~ 1.2호면 왠만한 잉어 , 향어도 올릴 수 있습니다.
^^; 낚시는 역시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저수온기는 예민한 채비가 유리하고 활성도가
좋을때 저부력이 피곤한 낚시가 되더란 저 개인의 의견이어니 참고만 하십옵서소..
조금 가볍게 하려면 모노줄에 4호봉돌로 해도 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