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관리형 저수지에서 편대 채비를 사용 못하게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최근 관리형 저수지를 자주 다니는데 편대채비를 사용 못하게 하는곳을 보았습니다. 혹시 고기를 너무 많이 잡아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편대가 고기를 상하게 하여서 그런건가요? 편대 채비를 사용 못하게 하는 이유가 궁금하여 선배님들께 질문 드립니다.

목줄위치가 한바늘이 입에걸리면 다른바늘이 붕어의 다른부위를 건드려서 안된다고 낚시터사장님들이 못하게 하시는분도 계십니다 그치만 봉돌에 다는 일반적인 두바늘채비도 흔치않게 하나는 입에 하나는 다른부위에 걸려나오기때문에..글쎄요 저는 그냥 이분할채비로 편대하시는분옆에서 낚시를 해보면 실력차도 있겠지만 편대가 조금더 유리해보이는 느낌을 받습니다 잡이터라면 사장님이 더 예민할수도 있겠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조사님들이 잡이터에서 많이 잡으면 낚시터 사장 입장에서 더 좋아 해주고 또 오시라고 그리고 광고 많이

해달라고 부탁까지 할것 같은데.....

많이 들 안그런것 같아요....한심한것 같아요...

다대 편성 못하게 하는 이유도 위 내용이 아닐까 싶네요...슬로프낚시도 못하게 하는 낚시터가 대부분입니다..

고기 많이 잡는다고...............더 한심하죠...
아...결론은...잘잡혀서군요...
답변주신 조선펜더선배님, 이종태선배님 감사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