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형 저수지만 다닙니다. 제가 자주 가는곳은 32칸까지만 허용이다보니
32칸쌍포 말고는 전혀 쓸일이 없네요.. 문제는 놀고 있는 36칸, 40칸인대요.
앞으로도 관리터만 다닐 예정이라 36, 40 둘중 하나를 올리던 내리던 해서
쌍포로 만들까 하는대 어느게 더 활용도가 높을까요.
아직 여러 관리터를 다녀보지못해 허용칸수라던가 깊은 수심 포인트등 정보
부족으로 선택에 어려움이 있네요.
관리형저수지 칸수 구성 문의드립니다.
-
- Hit : 815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9
낚시대 많이 핀다고많이 잡히나요
나머지 노는건 팔아서 용돈에 충당 하세요
보통 양어장이 3.2칸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하기는 하지만요.
제가 다니는 용인, 화성쪽 관리형저수지(양어장 아님)는 대수나 칸수 길이에 제약을 두지 않습니다.
저도 양어장 다닐 때 3.2칸 위에 있는 것 뭐 쓸데있을까 싶어서 대부분 처분했는데 관리형저수지 위주로 출조를 하다가 보니까 3.6칸이나 4.0칸도 자주 피게 되더라구요.
저같으면 그냥 소장하고 있겠습니다.
저도 같은 경험자인데...
수축고무로 칸수가리는 방법 ㅎㅎ
줄을 짭게해서 칸수 맞추는 방법 등으로 해결하시기를~~~
관리자가 낚시대만 안쳐다봅니다..
혹~ 하시다가 말하면 낚시대가 놀고 있어서 32대주력대와 싸이즈 맞췄다고 하면
태클 안걸겁니다 ㅎㅎㅎ
36 혹은 40 사이즈의 낚시대로 밑밥작업하다보면 한나절 후, 손바닥이 얼얼하지 않을까 싶네요.
일단 가능하시다는 전제하에서 구지 36 혹은 40 쌍포를 쓸 필요가 있을까 싶네요. 2대를 그 상태로 쓰심이 어떨까 싶네요.
재산이라고 생각하고 그냥소장하세요
줄을 짧게하면 칸수를 낮출수 있지만 36대로 필요시 더 길게하면 많이 불편할것 같네요
소장하시면 좋겠지만 정리하고 싶은경우 입니다 ^^
저는 29쌍포 또는 32쌍포 사용합니다.
32칸 이상은 떡밥질 힘들어서 사용 안하게 되더군요.
휴가철이어서 그랬는지 붕어들이 상태가 안좋더라구요. 그래서 양주의 기산지라는곳을
가봤더니 수심 6~7미터권의 포인트가 있기에 놀고있는 긴대활용을 문의드렸던거구요.
소중한 의견들 감사드립니다. 우선은 그냥 소장하고있다가 필요시에 바톤대 구입해서
40쌍포로 만들어야겠네요.
관리터도 자주 다니다 보면 언젠가는 노지나 잡이터
가게 될날이 오게 됩니다..
그때 아주 요긴하게 쓰입니다.
낚시 입문 후 15 17 19 20 21 24 25 28 29 32 36 풀셋은 아니나 쌍포로 맞췄습니다.
저도 관리형 저수지만 다닙니다.
지금은 25 28 32 쌍포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장터에 날렸습니다.
나머지 대들은 1년에 한번 쓸까 말까 하더군요
36 40 팔아서 그 이하대를 더 살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