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물에서 물고기는 대체로 물 흐르는 반대쪽으로 고개를 두고 있고 그럼 상황에서 미끼부터 초릿대까지 유격이 없다시피한 끝보기로 오는 입질 전달력은 끝보기가 뛰어납니다
입질전달력만을 예민성으로 보자면 끝보기가 예민하지만
이물감이나 입질의 끊김까지 고려하면 찌낚시에서의
채비의 종류 찌맞춤과 같이 끝보기에서도 봉돌과 초릿대의 궁합, 목줄채비, 대의 휨새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납니다
끝보기도 주욱 당기는 입질 이전에 왔다갔다하는 본신이 있습니다 주욱 당기는건 찌낚시에서 찌가 누워서 질질 끌려가는것과 비슷한 반자동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끝보기가 찌보기에비해
조황이 좋다는건 말도 안되는거고
초릿대 끝은 안움직이고 찌가 올라오는게 대부분인데..
무슨 끝보기가 찌보기보다 조황이 좋다고?
과장들 어지간히 하십시요..
끝보기는 거의 자연 빵에 해당하는건데..
흐르는 물이라서 어쩔수 없이 하는거지
어디 찌보기와 견줍니까?
유속이 약하면 찌보는 맛에 중통 외통을 해보세요
찌마춤의 예민성에서 본다면 끝보기로는 고기를 잡을수 없지요.. 그렇지만 끝보기 낚시를 해보면 시원시원한 입질이 잘 들어옵니다.
아무리 작은 치어라도 초릿대로 어신을 전달해서 챔질할수 있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제가 다양한 채비를 해보면서 느끼는 것은 예민성보다는 줄이 정렬상태가 고기의 경계심 유발에 영향이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합니다.
끝보기나 중통은 줄이 사선집니다.. 찌낚시는 수직지요 수직으로 꽅꽅히 서있는 채비에는 분명히 고기들의 경계심이 월등히 심합니다..
중통 끝보기 좀 해보신분들은 아실껍니다.. 입질 패턴의 크기나 조과가 올림채비보다는 월등하다는 것을요..
다만 찌맛은 계속보아도 좋은데.. 중통과 끝보기는 재미가 덜하죠..
끝보기로 낚시합니다 마릿수 조황이 찌보다 2배이상 나옵니다
물이 전혀 흐르지안아도 찌보다 끝보기가
조황이 2배로좋습니다
이때 주의할점은 바늘끝을 항상 확인하셔야합니다
조금이라도 무뎌저있으면 조황이 현져히 떨어짐니다
입질전달력만을 예민성으로 보자면 끝보기가 예민하지만
이물감이나 입질의 끊김까지 고려하면 찌낚시에서의
채비의 종류 찌맞춤과 같이 끝보기에서도 봉돌과 초릿대의 궁합, 목줄채비, 대의 휨새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납니다
끝보기도 주욱 당기는 입질 이전에 왔다갔다하는 본신이 있습니다 주욱 당기는건 찌낚시에서 찌가 누워서 질질 끌려가는것과 비슷한 반자동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속이 없는 곳에서 찌보다 끝보기에 입질표현이 시원한 경우가 있습니다.
중통외통채비가 아닌 찌만 제거한 고정봉돌 채비에도 입질이 잘 들어옵니다.
조황이 좋다는건 말도 안되는거고
초릿대 끝은 안움직이고 찌가 올라오는게 대부분인데..
무슨 끝보기가 찌보기보다 조황이 좋다고?
과장들 어지간히 하십시요..
끝보기는 거의 자연 빵에 해당하는건데..
흐르는 물이라서 어쩔수 없이 하는거지
어디 찌보기와 견줍니까?
가까운 곳에 던지는 자동빵 낚시...
물고기가 줄을 당기지 않으면 먹이 흡입을 해도 입질을 파악할 수 없는.
끝보기낚시는 팔을 쭉뻗어 최대한 멀리 투척하여 사선지게하는 사선낚시입니다!!
찌낚시는 투척 후 몸쪽으로 30~40cm당겨 사선을 방지해야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