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릿대 매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는데
이 방법은 초릿대실을 일반매듭을 짓고 사용해야만 합니다
줄과 낚시대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가장 약한 부분은 바로 매듭 부위입니다
무매듭법으로 원줄을 초릿대실에 묶었다 하더라도 초릿대실에 있는 매듭 부위가 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구나 초릿대실은 시간이 오래 지날수록 약해지는 특성이 있고 매듭이 있어서 더욱 약해지는 경우가 많고
또한, 원줄이 1호 이하일 경우 3번 돌려서는 파마현상이 나면서 풀어지게 되므로 원줄의 굵기에 따라
돌리는 횟수가 달라져야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법과는 조금 다르군요
저는 원줄을 8자매듭으로 묶어주고 하트모양으로 만든후 초릿대실에 매듭이 없이 U자로 구부러진 형태로
원줄의 하트모양 고리에 두번 넣어서 당겨서 서로 엮이게 하여 사용합니다
이 경우 오랜시간 사용해본 결과 밑걸림으로 잡아당겨야 할 경우에는 원줄의 8자 매듭부터 약 10센치 가량 앞부분이 터집니다
그렇다 해도 초릿대실의 매듭부위가 터지는 것과 원줄이 터지는 경우라면 저는 후자를 택하겠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별로 추천하고 싶지않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내림중층에서 사용하는 진정한 무맵듭법입니다.
훈상이 자주가는곳님...예...결국 매듭에서 터질때도 있습니다. 그래도 편하고 빨라서 저는 계속 애용하고 있습니다.
엠디엠님...채비를 처음에 할때 사용하시면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겁니다.
저의 경우는 봉돌에 바로 직결하지 않고 원줄 - 핀도래 - 봉돌 - 목줄로 사용을 하니 그나마 편하더군요
아무쪼록 미천한 내용 관심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 방법은 초릿대실을 일반매듭을 짓고 사용해야만 합니다
줄과 낚시대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가장 약한 부분은 바로 매듭 부위입니다
무매듭법으로 원줄을 초릿대실에 묶었다 하더라도 초릿대실에 있는 매듭 부위가 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구나 초릿대실은 시간이 오래 지날수록 약해지는 특성이 있고 매듭이 있어서 더욱 약해지는 경우가 많고
또한, 원줄이 1호 이하일 경우 3번 돌려서는 파마현상이 나면서 풀어지게 되므로 원줄의 굵기에 따라
돌리는 횟수가 달라져야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방법과는 조금 다르군요
저는 원줄을 8자매듭으로 묶어주고 하트모양으로 만든후 초릿대실에 매듭이 없이 U자로 구부러진 형태로
원줄의 하트모양 고리에 두번 넣어서 당겨서 서로 엮이게 하여 사용합니다
이 경우 오랜시간 사용해본 결과 밑걸림으로 잡아당겨야 할 경우에는 원줄의 8자 매듭부터 약 10센치 가량 앞부분이 터집니다
그렇다 해도 초릿대실의 매듭부위가 터지는 것과 원줄이 터지는 경우라면 저는 후자를 택하겠습니다
무매듭법에 관한 동영상 설명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팔자매듭 불편함을 느꼈는데 좋은것배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