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단단한 떡밥과 말랑한 떡밥

단단한 떡밥에 찌올림이 더 좋나요 아니면 말랑한 떡밥에 찌올림이 더 좋나요. 그냥 생각에는 떡밥이 단단하면 금방 뱉어버릴거 같은데... 다르게 생각하면 꿀꺽 삼키기 힘들어서 움직임이 커지니 찌올림이 더 좋을거 같기도 하고... 경험을 듣고 싶습니다.

일부 대물낚시용 떡밥이 아니라면.. 떡밥 딱딱하면 안좋아요
말랑한게좋겠죠
사람도된밥보단죽이먹기편하듯이ㅋ
채비 투척 될 때까지
바늘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무를수록 좋습니다.
수심이 얕으면 최대한 무르게 3m이상이면 좀 단단하게...수심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합니다^^
딱딱한 떡밥보다는 부드럽고 무른떡밥이 입질이 시원하고 찌올림 폭도 큽니다
떡밥은 물성이라고 했습니다. ^^
바늘에서 오래붙어 이탈이 안되는 한도에서 부드럽게 하심이 최고입니다.ㅋ
당근 말랑이죠 ^^
떡밥을 겔때 초보자 들은 딱딱하거나 푸석하거나 합니다.
여기서 더 발전하면 말랑말랑 해지죠.
떡밥을 말랑말랑하게 잘 배합되면 느낌이 옵니다. 잘되었다는...ㅋ
그럼 대박!
떡밥은 무를수록....ㅎ
근데, 딴딴하게 사용할때가
가끔은 있죠^^
강,수로에서 단단, 그외에는 조금 물렁, 입질이 뜸하면,단단,등이지요.
그 때 그때 달라요....하지만 물렁이 입질이 빠릅니다.
글루텐의 경우는 들어가면 다 똑같습니다. 섬유질이 잘 살아있도록 저어서 그 섬유질을 최대한 살려 바늘에 붙여 쓰시면 좋습니다. 물 속에 들어가면 어차피 풀어지기는 마찬가지지요. 단단하게 뭉친다고 꾹꾹 눌러서 던진후 바로 들어보면 섬유질도 걸리지 않고 빈 바늘만 올라오는 것보다야 섬유질을 잘 살려 붙이는 게 더 좋겠지요.
최대한 낚시바늘에 붙어있을정도로
말랑한게 좋습니다
저같은경우에는 말랑하게하지만 그날그날 출조나가서 물배합조절을해가며 쓰곤합니다
같은 저수지더라도 그날그날 활동성이좀다르다는게제생각이거든요 날씨의영향 을받는건지...잘은모르겠지만요.... 한번해보세요 물을0.5 ,0.6,0.7 이런식으로 배합조절해가면서하다보면 막들어올때가있더라고요 그럼그날엔 그배합이 맞는걸로..!ㅋㅋ전그렇게 낚시를합니다
단단하기보다는 부드럽게, 부드럽기보다는 단단하게!
귓볼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겁니다^^
물렁한게 좋긴 좋은데...
물렁하면 던질때 조심스럽고, 달때도 신경쓰이고
스트레스 줄이려면 <물렁할수록 좋다>는 것에서
살짝, 아주 살짝 벗어나면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상황에따라 틀리다.. 가 아닐런지요

입질을 보아가며 물성조절해주는것이 떡밥낚시의 묘미입니다.
말랑한게 더 좋치만 상황에 따라 잡어가 많을 경우 단단 한게 오히려 찌올림이 좋습니다
잡어가 많을시 말랑이면 붕어가 들어오기전 잡어가 말랑인 떡밥을 다 먹어 버리면 붕어 입질받기
힘들어 집니다 이때는 밥을 단단히 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평소에는 말랑이가 좋지요
처음에는 푸석하게 뭉치고 크게 달아서 여러번 부지런히 던져 봅니다. 입질이 오는 시점에서 크기도 작게,점성도 묽게 바꿉니다. 다만, 잡어가 극성을 부린다면 이게 좀 어렵죠. 단단하고 크게 달아 던져 놓고 큰놈들을 기다리죠.^^
떡밥은 무를수록 붕어가흡입시 부담감이적겟죠..
그러나 현장상황에따라떡밥운용이달라져야합니다
수심, 낚시당일활성도, 주로나오는씨알,등을고려해야하고
잔챙이들이집어됐을시엔 약간단단하고크게투입하면
큰씨알로 낚을수있는 선별력도기대할수있죠...
암튼 그때그때현장상황에맞춰떡밥운용을해야지 정답은없는거같습니다..^^
중간이 좋지 않을까요
바늘에서 이탈만 않하게요
글루텐 : 귓볼처럼...
집어제 : 한손 세손가락으로 눌러서 포근히 들어가는 정도...
먹이용 떡밥 : 귓볼만큼이나 귓볼보다 조금 딱딱한 정도...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