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선.후배 조사님..
밤새 고생하고 힐링이 아닌 스트레스 만 받가와
집에 도착하자 마자 여쭈어 봅니다..
주말이면 항상 다니던 가까운 수로에서 낚시를
하고합니다..
수심은 6~80 정도 나오는 곳입니다..
줄곳 생미찌 낚시를 즐기는 편입니다
이번에도 영락이없이 지렁이 로 낚시를 했는데
분명 찌가 중후하게 올라와서 채임했는데
후킹이 안된 헛 채임이 되더라고요..
조금 급했나싶에 한 텐보 늦게 채임 해봐도 또
같이 헛 채임이 되는데 이유를 모르겠네요..
좀 조언좀 부탁드려요..
언제나 안출하시고 항상 건강에 유의하세요
답변 기다려 봅니다..
밤새 그렇게 놀다가 왔네요..지금도 무엇이 문제
였는지 답을 찿을수가 없네요..
답답한 마음에 여쭈어 봅니다
-
- Hit : 861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4
목줄의 길이를 너무 짧거나 바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
고부력 찌를 너무 민감하게 맞춘 경우에도 그런 현상이 있는 듯 합니다.
일단은 잔챙이, 잡어의 지저분한 입질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몽월님의 의견처럼 목줄의 길이, 바늘 크기 등이 문제일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평소에 자주 다니시던 수로이고 찌가 중후하게 올라와서 챔질 시기를 달리해서 했음에도 헛챔질이 많았다면,
위에 언급한 몇 가지 항목(목줄, 바늘, 찌 등)을 고려하셔서 채비를 조금씩 다르게 운영하면 답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밑을 한번 잘보세여~ 물방개 돌아다니는지....^^
안출들 하시고..5짜 상봉하세요
챔질하면 꽝이요
주범은 세놈중에 한놈 징거미 물방게 참게 세번이상 헛챔질이면
포인트를 옮기는게 답입니다
지렁이미끼는 헛챔질을 유발하는 이유가 엄청 많아져서, 답을 내리기가 힘듭니다.
물속에 사는 동물이라면 모두가 지렁이를 탐하거든요.
거머리, 우렁이, 조개류 부터 시작해서
각종 물자라, 장구애비, 물방개, 새우, 징거미등과 같은 수서곤충류~~~
대형급 물고기까지....
지렁이 미끼가 헛챔질 되면, 물고기가 아닌가보다 생각하는게 거의 맞다고 봐야죠.
활동 많이 합니다.
다른생물이거나 요즘 대류현상이 심한탓 으로
생각해봅니다
붕어는 아닌거로 사료되네요
저도 게때문에 고생한적이있어서요
붕어보다 더 붕어처럼 올려주죠
지렁이를 어떻게 다느냐의 차이가 있기도 하고,
돌로된 바닥일때도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크게 연연하지 마시고,
붕어의 찌 올림만 생각 하십쇼.
붕어라면, 붕어만의 입질엔 분명 잡히실겁니당
즐기는 것이 답이라고 생각됩니다
밤새 헛챔질도 없이 돌아오는 경우도
있으니, 개인소견입니다
찌 참하게 올려줍니다. 붕어학교 다녔는지 붕어보다 더 멋집니다.
옆에 선배가 한잔 묵고 본인은 낚시 안하시고,,,,,
야,,,채 채 채... 헛방...야,,,비켜봐,,임마 그것도 못잡냐... 본인이 하십니다....
헛..이쌍허네...술을 먹어서 그렁가,,,또 헛방...
밤새 댄통 당하고,,,
아침에 현지 동네 나이 지긋하신 냥반이 보시더니,,,음마,,,징거미 구마잉,,, 그짝은 틀려부렀소,,,,안댕께,,,쩌~~ 짝으로 쪼까 옹기시요 잉....
고 싸가지 읍는거시,,찌는 잘 올려분당께요. 외지냥반들 오믄 밤새 채부요. 밤새도록.
나 가,,낚싯대 뿐질러 부는 냥반도 봤당께 ............
삼고 또 주말을 즐거운 마음으로 기다려 봅니다
월님 선.후배님 건강하시고 안출하세요
붕어치어는 수로에서 찾아보기 힘듭니다
수로의 정석은 글루텐이나 요즘은 옥수수도 곧 잘 먹습니다.
미끼를 바꾸시면 해결될것 같습니다
바늘의 크기와는 상관없습니다
그리고 밤새 지렁이 미끼만 고집했고 잡어나 붕어가 올라오지 않았다면 조건이 맞지 않거나 어류들이 가기 싫어하는 장소 일것입니다
해보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아닐까 생각 합니다
결국 올라온놈이 대형 징거미ㅠ미끼는 옥수수 였습니다.
서너번 헛챔질 끝에 찌가 옆으로 쓰러질때까지 놔뒀더니 결국은 그 작은 입에도 바늘이 걸리더군요...ㅋㅋ
요즈음 징거미 때문에 고생을 많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