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낚시와 떡밥낚시의찌맞춤.

저는 떡밥낚시와 생미끼라고해봐야 지렁이정도, 그런데 낚시티비을보다보면 대물낚시하시는분들을보면 떡밥보다는 찌맞춤을무겁게맞추는것같은데 어떤 차이점이있을까요.? 저는그냥 영점에서 케미가보일정도로맞추는데 대물과떡밥의 찌맞춤어떻게하는게 맞는지 여쭈어봅니다...

1.채비의 안정적안착
아무래도 양어장보단 자연지에선 바닥이 깨끗하지못할때가 많습니다 . 올림낚시에선 봉돌의 안정적 안착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예신에서 본신으로 이어지는 입질 파악이 쉽습니다
2. 잡어 치어의 성화
큰고기 골라잡는 낚시에서 가벼운맞춤은 미끼에 달아논 참붕어 지느러미질에도 찌가 올랐다내렸다..치어가 올렸다 내렸다(이경우엔 큰바늘로 바꾸는게 더 효과가 큼) 피곤한 낚시가 될 공산이큽니다.
3.찌올림
자연지에선 영점 또는 표준 맞춤이 개인적으로 찌올림이 가장 좋더군요
손맛터의 경우는 고기를 잡았다 놓아주고 잡이터보다 고기가 새로 투입되거나 교체되지않아 일종의 학습효과로 약아지는경우와 바닥의 떡밥축적으로인한 뻘층 형성 주둥이가 짧은 짱깨붕어등이 약한 입질을 유발합니다. 아무래도 작은 바늘과 얇은 줄 가벼운 찌맞춤으로 미세한 입질을 파악하는게 중요하겠죠
저는 약간 생각이 틀립니다. 자연지 갔으면 대물을 보면 좋겠지만 1~2마리 조과를 보자고 힘들게 날밤 새면서 고생해야 되나 싶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의견입니다.

몇년동안 양어장 낚시만 다니다가 몇일전 기회가되서 경북쪽에 작은 저수지에서 생전처음 자연지 낚시를 해봤습니다.
평일이라 조사님 세분정도 다대편성해서 하시더라구요.

전 최상류 쪽에서 수심 1미터 정도...
소좌피고 외대로... ㅡㅡ;;
혹시몰라 지렁이와 옥수수는 준비해갔습니다.

찌맞춤은 캐미꽂이 하단 딸깍 맞춤이구요. (스위벨채비)
지렁이 달고 던저보니 바로 입질하는데 가지고만 놉니다.
몇번 챔질시 헛챔질 발생... 계속 시도 하니 치어가 한마리 나오더라구요.
그 이후 옥수수 교체 또 찌가 이리저라 왔다갔다... 흠... 치어예상됨
이때든 생각이 그래서 자연지에선 무겁게 맞추는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가 어두워지고 미끼만 지렁이, 옥수수, 글루텐, 떡밥, 도로로 다사용해봤는데 반응이 없더군요.
그래서 흔들이를 어분보쌈으로 던저보니 잠시후 찌가 스물스물올라오더니 중간에서 멈춰서 가만히 있더라구요.
챔질했더니 7치 정도되는 사이즈가 나와줍니다.

더하고 싶었지만 짬낚이고 또 일터에서 연락이와서 바로 접었는데
그때까지 옆쪽 조사님들 세분중에 두분이 각각 1마리씩 잡는것만 봤네요.

전 작은 치어도 있지만 총 세마리

느낀게 많은 하루였고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말이 길어졌네요. 참고바래욤~
대물낚시 평균적으로 왜 무겁게 쓰냐 하시면...
경험치로 찌놀림 까부는것이 피곤해서 이고
떡밥낚시도 버릇처럼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찌 맞춤이야 개개인 성격 취향이니 이것저것 하신후
자신의 맞춤법으로 하세요
떡밥 낚시는 보통 쌍포에 잘해야 3~4대 펴죠
다수가 쌍포일텐데
노지 대물 낚시는 대다수가 다대 편성입니다.
찌를 너무 예민하게 마추면 피곤합니다.
특히 하천쪽은 대류나 물흐름등에 의해 찌가 잘 흘러갑니다. 가벼운 마춤해놓으면 정말 피곤합니다. 한두대 펼친거면 회수하고 던지고 반복하면 되는데
10대 이상 펼쳤다면 미쳐버리는거죠, 낚시가 힐링이 아닌 노가다가 되는 순간이죠
그래서 노지에는 무거운 풍덩 채비가 선호되는듯합니다.
입질도 양어장에 비해 시원한감도 있죠

지난주 토요일 중고로 채비째 구입한 낚시대로 출조했는데. 채비가 너무 가볍더라구요 아무 생각없이 그냥하다가 정말 피곤해서 봉돌을 모두 추가했습니다.
대물낚시: 소물이 와서 입질해도 크게 반응이 없게 둔하게 맞춤(일명 솎아서 잡는 낚시방법)- 찌맞춤법은 서서히 가라앉거나 케미 꼿이가 수평이 되계 맞춤)

떡밥낚시: 대물 ,소물 가릴 것없이 생명체는 무조건 잡을수 있는낚시(예민성 강조) - 케미까지 장착 또는 바늘까지 장착하고 케미꼿이 밑 딸깍맞춤 정도로 가볍게 맞춤)

중간 맞춤- 떡밥과 대물 혼용낚시- 케미만 장착 시키고 케미꼿이 밑에 맞춤(3g~4g)정도의 중,중저 부력 정도로 모든 낚시 혼용사용==떡밥신공이 사용하는 방법
대물낚시 찌마춥 꼭 무겁게 안하셔두 됩니다
수초와 지저분한 바닦에 안착시켜야하기때문에 봉돌을 무겁게 쓰고 목줄또한 길게쓰는것이지요
바닦만 깨끗하다면 영점찌마춥으로 하셔두됩니다
어느정도 예민함이 좋은 것 같습니다 ^^
캐치앤 릴리즈가 많다보니 제가 다니는 왠만한 저수지는 양어장과 다를바 없는 것 같네요 ...
대물낚시여서 무겁게 쓴다기보단
포인트와 상황에 따라
수초대 공략이나... 유속이 있다면 무겁게
맹탕지에 안착이 잘되면 예민하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참고로 저는.. 귀찮아서 그냥 합니다 ^^
나올놈은 나오겠죠 ^^
자연노지에서는 예민한 맞춤이나 무거운맞춤이나 조과차이를 못느껴서 전 안착좋고 찌보기 편안한 무거운맞춤 합니다. 무겁게 맞춰도 7치 이상붕어는 찌 끝까지 잘 올립니다.
같은 봉돌인데 캐미끝노출이냐 캐미 밑부분 노출이냐 쟁점이 이거인거 같은데 전 그렇게 않봅니다 조금 덜 깎았다고 해서 수초에 걸리던 봉돌이 바닥까지 내려갈가요? 찌맞춤보다 대물낚시는 지 자체를 고부력으로 쓰는게 좋죠 그래야 말 그대로 무거우니까 바닥에 안착이 잘되지 같은 봉돌을 조금 더 깍고 덜깍고가 무게에서 그렇게 차이 나지는 않습니다 다만 입질 표현에서는 차이가 좀 날거에요 대물낚시하실거면 고부력찌를 쓰시는게 좋아요
대물낚시 무거운 찌맞춤은 잔챙이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함이죠
잔챙이가 찝쩍거려도 대물낚시에선 찌반응이 전혀없어서 좋아요
떡밥낚시였음 ... 벌써 잔챙이입질에 연신 헛챔질이 이어지고 있었겠죠
대물낚시에서 찌가 올라오면 최하 8치입니다
그리고 헛챔질 0%구요 100발 백중 걸어냅니다
무겁게도 가볍게도 해 보시고 7호 부력이면 8호 봉돌도 달아보시고 큰바늘 작은바늘 긴 목줄 짧은목줄 굵은줄 가는줄~~등등 경험치가 생길때까지 여러방법으로 해 보셔요
참고로 저는 하절기 수초 낚시 전용 체비로는 나루예 대물대어 고리추 8호 정도의 부력찌를 9호 봉돌 달고 사용합니다
입질이 환상적이고 중후하고 우아한 찌올림이네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