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직은 많이부족한 학생 초보조사입니다.
장비병이생겨서 이것저것 구매하여 대물낚시?를 하고있습니다.
처음에는 떡밥낚시를 주로 했습니다.
일반 노지에서도 양어장처럼 계속집어하고 예민하게햇죠
만만치않은 떡밥값에 두손두발들고 안쓰던 낚시대 총동원해서
글루텐으로 대물낚시처럼 흉내내는 쪽입니다.
운이좋아서인지 월척을 여러번 만났네요.
3호줄을 사용하는데 3미터정도되는 수로에서 강제진압 가능햇고
수초에 있는것들도 죽죽데리고옵니다.
하지만 조금팔랑귀인지라 원줄5호 목줄 3호 이런글들을보면
내채비에 대한 의심?이생기더라구요.
저는 낚시대로 떡밥 지렁이 이런저런 낚시하는데
새우나 참붕어는 한번도 써본적이 없습니다.
생물미끼를 쓰는경우에 3호줄이면 약한건지 궁굼합니다.
또 대물낚시는 이거다 말해주실분 없나요?
참붕어나 새우를 쓸경우 예민한채비이면
참붕어나새우의 움직임이 찌에 표현되는지도 궁굼합니다.
주절주절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새볔에 추운데 안출하십시요^^
대물낚시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
- Hit : 1085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31
대물낚시 월척이상할 확율이 높은낚시를
말하는거아닐까요
그러기 위해선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하죠..
일단 잔챙이를 걸러내고 입질을 받으려면 바늘을 크게써야겠죠..덩어리들은 잔챙이들에비해 더 예민하므로
수초나 부들..일반 수생식물이나 육초등 사이에 찔러 넣기식이나 바싹 붙여야 만나기 쉬운경우가 많으므로 5호줄.4호줄등등을 많이 사용하십니다..힘들게 한번 받은입질에 수생식물에 감겨 터트린다면 그것또한 허무한일이 아닐수 없습니다..물론 빈바늘이 걸려서 터져도 채비를 다시해야하는 수고도 덜어야하니깐요.
걸림이 없는 맹탕지역에서는 2호나3호로도 충분할듯합니다..
본인의 낚시스탈이나 기법등을 고려하셔서 채비하심됩니자..
전 괴기구경은 못해도 항상 그림위주로 하다보니 눈만호강하고 손맛은 거의 없는 열혈조사입니다 ㅋㅋ
미세한 움직임이야 약간 잇을수 있으나 그것도 채비투척후 잠깐입니다..
떡밥낚시가 쌍포로 집어하며 잡아낸다고하면
전 대물낚시는 그냥 다대편성낚시가아닌가생각합니다..
집어보단 다대편성하므로써 회유하던 고기가 회유하다 미끼를 발견?! 이랄까요 ㅎㅎ
그렇게 발견확율을 높여서 잡아내는낚시가 아닐까합니다..
다대편성하면서 집어도안하고 미끼한번달면 캐미꺽거나 입질이오거나하는 특별한경우는 제외하고 미끼교체도안합니다..
그래도 많이는 못잡았어도 월이도보고 붕애도보고 나오더라구요
제가 생각하는 대물낚시는 다대편성낚시가아닐까합니다 ㅎㅎ
아 저도 3호 줄사용하는데 약하다강하다는 개인차아닐까요 ㅎㅎ
저는그냥 제 채비에 믿음을가지고합니다..
3호줄로도 바닥에 걸려서 채비날린적은있어도 아직 고기걸어서 채비해먹은적은없어서 ㅠㅠ
3호줄 그냥 끈어버리는고기 만나면 그때 올려볼까요
반박하시는 분들이 상당하거든요.
대물낚시에 대한 오해나 몇가지 말씀드리고 가겠습니다.
대물낚시도 낚시대 한두 대 서너 대 정도만 펼 때도 많습니다.
큰 붕어가 아니라, 새우 참붕어로 잔씨알+중치급 100여 마리 넘게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떡밥 미끼로도 회유목을 기다리는 낚시를 많이 합니다.
하룻밤 10여 차례 이하로 투척하면서요.
지렁이 미끼로도 수초를 제거하고 길목을 노리는 낚시를 합니다.
대물낚시의 정통성... 글쎄요.
채비만 무겁거나 두껍고 질기고 바늘이 크다고 해서 대물낚시도 아니다.
생미끼만 쓴다고 해서 대물낚시도 아니다.
다대편성한다고 대물낚시냐.
결론은 내가 어떠한 크기의 붕어를 마음으로 새기고, 그 목적어(대상어)에 맞게 모든 채비와 장비를 준비하고,
그 대상어가 필요로 하는 미끼를 꿰어, 마음 속 그 씨알의 붕어가 내가 던져둔 미끼를 삼키고 찌를 넘어뜨리는 것 까지 해주면 더 이상의 카타르시스는 없겠다 하는, 그게 그냥 세상에서 제일 편하고 신뢰할 수 있는 마냥 좋은 나만의 낚시방식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십여년전월척특급방송후 대물낚시가유행하게됐죠. 4*5호원줄에7*8호이상의봉돌
지금은어떻습니까
해결사채비나방랑자채비등 예매한채비로바껴가고있습니다
대물낚시 정석은없습니다 다대편성에 생미끼쓰면대물낚시일까요
낚시는경험이중요합니다 터저보고 눈앞에서4짜도놓처보고. 그러면 답나옵니다
왜 5호원줄에 경질대를써야하는지요
낚싯대는 6대이상 경질대, 원줄은 4호이상 목줄은 카본 2호 이상 합사 1.5호 이상 바늘은 감성동 5호 이상 붕어 7호 이상 등등 일반 떡밥낚시보다는 높게 쓰고 있습니다.
양어장에서 모노1호줄로 잉어,향어 걸어내는데 월척급 붕어 못걸어내겠습니까?다만 낚시터 현장상황에 맞게,사용하는 미끼에맞게 채비가 달라져야하겠지요.
단 한대로 예민한 채비라도 내가 대물만 노린다그것도 대물낚시죠.단지 확률을 높이기위해 다대편성하는것뿐입니다.남들하는대로 무조건 따라하려면 많이 피곤합니다.본인 스타일에 맞게 하심됩니다.^^
잔챙이나 마릿수보다
오로지 덩어리를 잡았을때만 만족하는 낚시가 대물낚시라 생각합니다.
떡밥낚시가 집중된 집어를 통해 붕어를 불러모으는 낚시기법이라면,
대물낚시는 월척급이상의 큰 붕어를 낚기위한 회유로를 지키는 낚시기법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수초지역에서 붕어가 다닐만한 회유로에 미끼를 놓아두며,
잔챙이의 성가신 입질을 피하기 위해 큰지막한 미끼로 유혹을 합니다.
따라서 떡밥 낚시에 비해 둔탁한 채비를 사용하며, 떡밥낚시보다 더 많은 인내력을 필요로 합니다.
그렇다고 떡밥낚시가 쉬운 낚시라는 것은 아니며, 낚시를 구사하는 스타일에 따라 서로 비슷한듯 하지만,
다른 낚시기법이기에 따로 분류를 하는듯 합니다.
대물낚시가 진정한 낚시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즐길 수 있는 낚시가 진정한 낚시며, 자연을 오염시키지 않는 사람이 진정한 낚시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수로가면 도래추가해서 씀니더 불편 업심더 풍덩 물고가면 당긴다 무갑다 무조건 대물 아입니더 (지생각)^^^^^^^^^^^
30.3cm를 넘어가는 붕어를 단지 많이 잡는게 대물낚시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많죠.
일반낚시 모임에서는 잡은 고기중 가장 큰 2~3마리중 길이합산으로 순위를 결정하는 곳이 많지만,
대물낚시 모임에서는 예를 들어 38cm 100마리 잡은 사람은 2등이고, 39cm 한마리 잡은 사람이 1등입니다.
왜인지는 아시죠?
예를 들어 바늘은 감성돔바늘 3호이상
오직 외바늘 채비.
미끼는: 새우.옥수수.지렁이.참붕어.매주콩.
대편성은: 다대편성. 10대이상.
뭐이런 장비나 채비를 대물낚시라고 칭하는걸까요..?
저도 가끔은 상황에 봐서 다대편성도 해보지만 평균적으로 볼때
5섯대정도에 쌍바늘 채비(떡밥.글루텐.지렁이.)이런 낚시를 좋아합니다.
떡밥낚시는 꽝이 없어도 새우나 참붕어 낚시는 꽝이 많습니다.
그래서 상황에 맞게 낚시를 하는것이 진정 대물낚시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수초대 튼튼한 채비로 큰 새우나 참붕어를 써도 대물낚시
그런데 감성돔 6호써도 잔챙이 붙으면 대물낚시인가요?
떡밥 달아 잔챙이 잡으면 소물 낚시인가요..
헌데 어느정도 세월이 지나니까 밤새 캐스팅하는게 힘들어서 대물낚시 시늉을 내고 있네요..
저같은 경우.. 어찌보면 편한낚시를 선호하다가 대물낚시로 전향한듯합니다..
그런데 그만큼 장비등등... 경비가 많이 들어가네요 ㅎㅎ;
고로 신선의 경지에 이른 분이 아니라면 모두 대물을 꿈꾸므로
낚시꾼의 99.9%는 대물 낚시를 한다고 보셔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이곳 월척에도 신선들이 좀 있지요?? ㅎㅎ
반대로 그나머지 45% 아~~아쉬움... 통합100% 낚시의 매력 자연을느끼는 매력아니던가요..
그리고 라인3호 4호 5호 여러포인트의 경우 상황은 다르긴하겠지만 생미끼낚시 3호줄이 약하다할수없겠죠..생미끼한다고해서
생각하기론 대물이 걸린다는 확실한것도 없을테니까요..그리고 채비가 가벼운만큼 생미끼란말 자체로 움직임을 표현하니까 가벼운채비만큼 찌에 움직임이 표현되겠죠..
초저녁 과 새벽 시간대, 해가 뜬 오전시간대, 한마리도 못잡고 꽝치는수가 다반사 이며,기다림의낚시,,를 해야 되는데 몇시간씩 기다린다는것이 익숙하기 전까지는 힘들것 같습니다,그래서 저는 대물낚시는 도전하지 않습니다.
사실 틀린말도 아니지만..
대물낚시란 잔챙이를 피하는 낚시. 저수지의 상황에 따라 떡밥낚시도 대물낚시라고 할수 있다고 봅니다(베스터)
무조건 생미끼만을 고집하는건 아닌것 같습니다. 현재 낚시하고 있는 저수지에 잡고기가 많다면 잡고기를 피할 수 있는
미끼운영, 한방터인 베스터라면 떡밥을 사용한 예민한 채비도 대물낚시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