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떡밥 쌍바늘낚시할때 바늘 두개를 서로 편차를 두면 어떤지요?

근래들어 떡밥낚시로 쌍바늘로 밤엔 새우낚시하면 외바늘로 교체해서 사용합니다.. 떡밥낚시할때 쌍바늘로 하면 서로 콩알만한게 미끼를 끼우면 서로 자주 얽히더군요.. 그래서 하난 길게하고 하난짧게 하고...이렇게 사용하는데 조과에 영향이 있을까요? 혹시 이렇게 사용하는분도 계시나해서요???? 아 그리고..경상도식 채비라고 옛날 어릴때 가지바늘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요즘에도 채비 사용하는분 계시나요?? 가지바늘사용하면 가지바늘 혹은 봉돌아랫바늘에 따라 입질형태가 달랐던기억이 새록나네요...

바늘을 직접 매어 사용하시면 찌멈춤고무 두개를 먼저 끼우고

바늘을 매시고 매듭을 하신 후 멈춤고무를 매듭쪽으로 밀어 주시면 덜

엉킵니다.
찌멈춤고무 아니면 수축튜브 이용하시면 엉킴이 덜할껍니다..
단차의 차이에 따른 어획량 차이는 크게 차이가 없다고 보며.. 본인 편한대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주로 엉키는 이유는 목줄의 선택에 있어 문제가 발생합니다. 너무 가늘고 낭차이는 줄은 피하시기 바랍니다.

경상도식 가지채비는 중학시절 부터.. 낚시책 및 고향 하양 근교 낚시터에서 많이 접한 채비입니다.
이방밥은 봉돌 위쪽에 가지 형태로 바늘 덧 달아 사용하는데.. 바닥에 이끼나 침전물, 낙엽이 많을 때...
미끼가 바닥에 숨겨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활용합니다. 문제는 붕어가 미끼를 흡입 후 입질 형태가..
변화무쌍합니다. 때로는 예쁘게 찌가 떠오르기는 하지만 상당수의 입질이 빨리거나 경고망동입니다.

이론적으로도 합이 안맞는 채비입니다.
찌와 봉돌간의 함수 관계에.. 바늘과 미끼가 부착되니 부력이 깨지게 됩니다.
ㅎㅎ따라서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일시 활용하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습니다.
ㅎㅎ답변이 되었나 모르겠네요.

그리고 이와 비슷한 채비가 또 있습니다.
그 당시 어른들께 배우기를 닻추낚시 기법이라고 현재는 서찬수씨께서 안내병 채비라 하지요.
닻추채비와 아주 비슷하며 원리도 비슷합니다. 이런 채비 자체가 모두 가지채비라 보시면 됩니다.
전통올림낚시와는 약간의 거리감이 있기는 하지만 단순이 붕어를 포획하는 차원에서는 크게 뭐라할 이유는 없지요.
ㅎㅎ일종에 릴낚시채비라 하겠습니다.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저도 떡밥낚시하는데 서로 바늘 편차를 두고 합니다 긴바늘에 집어용떡밥 짧은바늘에 미끼용떡밥 달아서 투척합니다 그리고 두가지 미끼를 사용할때도 어디쪽이 더 잘먹는지 알수잇습니다 그리고 엉킴이 훨씬 덜합니다
가급적이면 단차를 주는것이 좋습니다.

좋다는이유가 조과가 좋다는건 아닙니다.

단차를 주던 주지않던 조과에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단차를 줌으로인해서 좋은점은 바늘이 붙어있지않고 위아래에 있기에 미끼를달때 수월하고

어떤미끼에 먹고나왔는지 알수 있기때문입니다.

그외에는 미세한 단차는 조과에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단차를 주면서 바늘의 사이즈를 달리 해도 괜찮을까요?
바늘사이즈를 같은사이즈를 하시건 다른사이즈를 하시건 그건 각씨붕어님 마음입니다.

그렇게 하신들 머라하신분들도 없고 틀린것도 아니고 정답도 아닙니다.

본인이 편하신데로 하고싶으신데로 하시면 그게 정답인거죠
단차낚시에 대해서 설명이 없는것 같아 다음과같이 적어 봅니다

단차를 주면서 긴바늘이 큰것이 좋습니다 그이유는 양바늘다 떡밥낚시를 해도 무방 합니다

짧은 바늘엔 미끼용 작게 긴바늘엔 집어용으로 약간 크게 사용하면 됩니다

특히 짧은 바늘은 떡밥 긴바늘은 지렁이를 사용할때 좋습니다

새우는 비추 입니다 새우는 외바늘을 사용 하시기 바랍니다

그이유는 새우는 챔질시간이 길기 때문 입니다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 합시다
약간의 단차는 별다른 영향은 없지만 단차를 많이 주면 몸통걸림 확률도 증가하네요 ....
윗분들말씀에 정답이 있는듯하네요^^
저는 언젠가 부터 바늘하나길이정도의 편차를 두는데요,,,

편한부분이 많습니다..

우선, 미끼를 짝밥으로 쓸때(글루텐과 떡밥) 어느것을 먹고 나와는지 확인하기 편하고요,,,

두번째는 고기를 바늘에서 뺄때 편하더구요
전 미늘없는 바늘을 사용하기에,,
손으로 바늘만 잡고,,,(설명이 어렵네요,,)기울이면 고기가 쉽게 바늘에서 이탈이 됩니다.
그때, 바늘길이가 같으면 손에 다른 바늘이 잘 찔리거나 걸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요런 이유로 전 바늘 1개정도의 단차를 주고 하고 있습니다.
잔챙이 잡을때는 조과가 월등 합니다.... 다만 제가 모자라서인지 바늘에 찔리는 경우가 많더군요
답변들 감사합니다.. 단차를 두고 떡밥낚시를 해봤는데도 두바늘이 얽히더군요.. 목줄이는 10센티 내외입니다. 원줄보다 낮은 호수의 목줄 합사줄을 사용해서그런건지?? 꼭 합사줄을 사용안하고 원줄보다 낮은호수의 모노나 카본줄 사용하시는분들도 계시나요?
저같은 경우 찌맟춤을 아랫바늘만 바닥에 닿게 맞추고 바늘하나 단차로 이본 떡밥낚시를 즐겨하는데 거의 윗바늘에 걸려 나옵니다.
모노줄을 목줄로 사용하면 미끼의 함몰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어 대물낚시에서도 모노줄을 목줄로 사용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카본 원줄 3호면 모노 2.5~3호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새우낚시에서 가지바늘채비가 의외로 효과를 발휘할 때가 있습니다. 새우들이 수초에 붙어있는 것을 붕어들이 잡아먹는데
이 습성을 이용하여 가지바늘 채비를 사용하면 윗바늘도 입질을 많이 합니다.
릴낚시 채비인 시까끼 낚시를 해보면 바닥바늘보다 윗바늘에 더 많은 붕어가 잡히는데 이걸보면 떠 있는 미끼도 매우 잘 먹는걸 알 수 있습니다.
옥내림 조과만 봐도 알 수 있고요.
저같은 경우엔 편차를 주는 편입니다.

그리고 떡밥을 달때 집어용은 무조껀 짧은쪽 미끼용은 긴쪽에 답니다.

조과에 큰영향이 있을진 모르겟구요..

단.. 고기를 걸어 냈을때 고기가 어떤 미끼를 물었는지를 확인 차.. 편차를 주어 ^^ 목줄을씁니다.
저는 긴바늘에 먹이용 짧은바늘에 집어용 이렇게 씁니다.이유는 바닥에 가라앚은후 집어용 떡밥이 풀리면서 약간 앞으로 오는데 그때 미끼용이 집어용 밥이 있던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입하다가 입에쏙^^.약 1센티정도 단차를 주면 효과 좋읍니다.
저는 주로 외바늘만 사용하는데, 조과에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짝밥을 쓰야할때만 쌍바늘 사용하는데요...긴쪽은 구루텐, 짧은쪽은 지롱이...뭐 꼭 어느것을 물고 나온다고 하기보다는 그건 붕어 맴이 아닐까요?
저도 바늘을 차이를 두고 묶는데요
다그런거 아니었나요??
바늘을 묶어서 사용하시는 분들은 누구던지
같은길이의 바늘과 조금의 단차를 둔 바늘을 메어쓰셔 보았을줄 압니다.
어느것이 좋은것이냐는 본인이 느끼시고 그렇게 좋은쪽으로 메어쓰게 되겠지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