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칸 쌍포 떡밥낚시 하는데요 투척하고 몇분지나면 떡밥이 풀리면서 찌가 두칸 가까이 올라와요 고수님들 해결방법좀 알려주세요
목록 이전 다음 떡밥 풀리면서 찌가 올라와요 andrew74아이디로 검색14-10-25Hit : 10099 본문+댓글추천 : 0댓글 32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월척지식/전통바닥낚시/떡밥-풀리면서-찌가-올라와요 URL 복사 3.2칸 쌍포 떡밥낚시 하는데요 투척하고 몇분지나면 떡밥이 풀리면서 찌가 두칸 가까이 올라와요 고수님들 해결방법좀 알려주세요 추천 0 andrew74아이디로 검색 14-10-25 01:02 수심은 4미터구요 7호봉돌 써요 방랑자채비구요 바늘달고 케미완전 노출로 찌마춤하고 있어요 추천 0 신고 수심은 4미터구요 7호봉돌 써요 방랑자채비구요 바늘달고 케미완전 노출로 찌마춤하고 있어요 기일손아이디로 검색 14-10-25 01:28 추가 가벼운 겁니다 두톱 정도면 가장 작은 좁살봉돌 반 개 만큼 더 다세요 추천 0 신고 추가 가벼운 겁니다 두톱 정도면 가장 작은 좁살봉돌 반 개 만큼 더 다세요 낚시禮讚아이디로 검색 14-10-25 02:43 너무 예민하게 찌 맞춤하신거 아닌가요? 마이너스 채비 하신것 같은데요? 마이너스 채비가 아니라면...아랫봉돌이 완전히 바닥에 안착할수 있도록 2마디 정도 내놓고 해보세요. 아래 봉돌이 바닥에서 떠 있는것 같네요. 추천 0 신고 너무 예민하게 찌 맞춤하신거 아닌가요? 마이너스 채비 하신것 같은데요? 마이너스 채비가 아니라면...아랫봉돌이 완전히 바닥에 안착할수 있도록 2마디 정도 내놓고 해보세요. 아래 봉돌이 바닥에서 떠 있는것 같네요. 협이다아이디로 검색 14-10-25 05:51 헐... 찌맞춤을 어떻게 하셨길래 ㅎㅎ 떡밥 없이 바늘만 달아서 던지면 봉돌이 바닥에서 뜰 정도로 마이너스 맞춤을 하신 듯 합니다. 지금 찌맞춤은 바닥낚시가 아닌 내림낚시 찌맞춤을 하신 것 같습니다 ^^ 추천 0 신고 헐... 찌맞춤을 어떻게 하셨길래 ㅎㅎ 떡밥 없이 바늘만 달아서 던지면 봉돌이 바닥에서 뜰 정도로 마이너스 맞춤을 하신 듯 합니다. 지금 찌맞춤은 바닥낚시가 아닌 내림낚시 찌맞춤을 하신 것 같습니다 ^^ 대빵왕초아이디로 검색 14-10-25 06:46 방랑자 찌맞춤(제가 하는 방식) 바늘과 좁쌀 봉돌 모두 단 상태에서 수평맞춤ᆢ 낚시할 때 ᆢ 찌 한 목 내어놓고 낚시ᆢ 가장 좋은 조과를 올리는 조합이라고 생각합니다ᆢ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ᆢ 추천 0 신고 방랑자 찌맞춤(제가 하는 방식) 바늘과 좁쌀 봉돌 모두 단 상태에서 수평맞춤ᆢ 낚시할 때 ᆢ 찌 한 목 내어놓고 낚시ᆢ 가장 좋은 조과를 올리는 조합이라고 생각합니다ᆢ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ᆢ 스렘레드아이디로 검색 14-10-25 08:23 수심깊은 사선입수라서 그런거에요. 가장 좋은 방법은 반스윙으로 쳐서 찌랑 바늘이 직선으로 서게 던지는게 쉽고 정석이구요. 무거운 찌맞춤으로도 해결은 되는대 생각보다 많이 무섭게해야하기 때문에(쇠링 대자 3개정도?) 추천하고 싶지는 않네요.. 추천 3 신고 수심깊은 사선입수라서 그런거에요. 가장 좋은 방법은 반스윙으로 쳐서 찌랑 바늘이 직선으로 서게 던지는게 쉽고 정석이구요. 무거운 찌맞춤으로도 해결은 되는대 생각보다 많이 무섭게해야하기 때문에(쇠링 대자 3개정도?) 추천하고 싶지는 않네요.. 스렘레드아이디로 검색 14-10-25 08:24 ㄴ 많이 무섭게ㅋㅋㅋㅋㅋ 가 아니고 무겁게 ㅋㅋㅋ 추천 1 신고 ㄴ 많이 무섭게ㅋㅋㅋㅋㅋ 가 아니고 무겁게 ㅋㅋㅋ 중화영웅아이디로 검색 14-10-25 08:42 스렘레드님 말씀이 맞습니다. 추천 0 신고 스렘레드님 말씀이 맞습니다. 송애아이디로 검색 14-10-25 09:25 그렇게 찌맟춤 하시면 두마디 내놓고 하셔야 합니다. 수평맞춤 하시면 됩니다. 가벼워서 찌가 올라옵니다.^*^ 추천 0 신고 그렇게 찌맟춤 하시면 두마디 내놓고 하셔야 합니다. 수평맞춤 하시면 됩니다. 가벼워서 찌가 올라옵니다.^*^ 스모그아이디로 검색 14-10-25 10:19 원줄이 물보다 가벼운 경우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속에 강제로 입수되는 원줄길이가 길어져서 찌를 밀어올리는 부력이 증가되어 수심4미터라면 충분히 그정도의 부력오차가 생길수 있습니다 추천 0 신고 원줄이 물보다 가벼운 경우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속에 강제로 입수되는 원줄길이가 길어져서 찌를 밀어올리는 부력이 증가되어 수심4미터라면 충분히 그정도의 부력오차가 생길수 있습니다 andrew74아이디로 검색 14-10-25 10:20 사선입수 의심되서 투척후 20~30센티 뒤로 땡겨놨다가 다시 밀어 놓는데 찌가 올라오거나 하진 않구요 그렇게해도 찌가 시간지나면 올라올때가 있어요 추천 0 신고 사선입수 의심되서 투척후 20~30센티 뒤로 땡겨놨다가 다시 밀어 놓는데 찌가 올라오거나 하진 않구요 그렇게해도 찌가 시간지나면 올라올때가 있어요 잡았다놔주자아이디로 검색 14-10-25 11:30 100% 사선 입수에요~ㅎㅎ 수심 4미터면.... 찌가 서기전에 낚시대 뒤로쭉~ 당기고 있다가 찌가 서면 또뒤오 쭉~ 당기고 있고 낚시대 원위치 시켜도 찌가 안움직였을때가 사선이 아니에요 ㅎㅎ 2미터 정도 수심에서도 30센티 뒤로 땡겨도 사선이 생깁니다 ㅎㅎ 4미터는 그냥 그 포인트에 떡밥과 를 같이 들어가게 반스윙이나 끈어 던져서 집어를 하셔야되는게 맞죠. 항상 똑같은 자리에 들어가게요 ㅎㅎ 추천 0 신고 100% 사선 입수에요~ㅎㅎ 수심 4미터면.... 찌가 서기전에 낚시대 뒤로쭉~ 당기고 있다가 찌가 서면 또뒤오 쭉~ 당기고 있고 낚시대 원위치 시켜도 찌가 안움직였을때가 사선이 아니에요 ㅎㅎ 2미터 정도 수심에서도 30센티 뒤로 땡겨도 사선이 생깁니다 ㅎㅎ 4미터는 그냥 그 포인트에 떡밥과 를 같이 들어가게 반스윙이나 끈어 던져서 집어를 하셔야되는게 맞죠. 항상 똑같은 자리에 들어가게요 ㅎㅎ 무위조사아이디로 검색 14-10-25 12:00 찌맟춤 다시하면 되는거 아닌가욤. 추천 0 신고 찌맟춤 다시하면 되는거 아닌가욤. dlwkdnjs아이디로 검색 14-10-25 13:08 그냥 투척 후 찌가 안착할때까지 낚시대를 뒤로 당겨서 들고 계시다가 안착 후 앞으로 밀어 받침대에 놓으시면 아주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추천 0 신고 그냥 투척 후 찌가 안착할때까지 낚시대를 뒤로 당겨서 들고 계시다가 안착 후 앞으로 밀어 받침대에 놓으시면 아주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일월일수아이디로 검색 14-10-25 13:17 원줄이 카본줄인가요? 그렇다면 가벼운 찌맞춤에 사선입수 인것 같습니다. 링을 더 달아 가면서 영점 맞춤을 해보세요.. 원줄이 모노줄이라면 모노줄의 부력 때문일수도 있어 보입니다.. 떡밥이 있는 동안은 떡밥 무게로 웬만큼 버티다가 떡밥이 풀리면 줄이 바늘을 땡기고 원줄도 땡기고 찌도 올라오고... 수심이 4m라는 것이 약간 걸리기도 합니다.. 추천 0 신고 원줄이 카본줄인가요? 그렇다면 가벼운 찌맞춤에 사선입수 인것 같습니다. 링을 더 달아 가면서 영점 맞춤을 해보세요.. 원줄이 모노줄이라면 모노줄의 부력 때문일수도 있어 보입니다.. 떡밥이 있는 동안은 떡밥 무게로 웬만큼 버티다가 떡밥이 풀리면 줄이 바늘을 땡기고 원줄도 땡기고 찌도 올라오고... 수심이 4m라는 것이 약간 걸리기도 합니다.. 붕어간지아이디로 검색 14-10-25 21:23 수심문제입니다. 던지고나서 낚시대 뒤로 뺐다가 안착후 원위치해보세요 추천 0 신고 수심문제입니다. 던지고나서 낚시대 뒤로 뺐다가 안착후 원위치해보세요 슈와악아이디로 검색 14-10-26 22:35 떡밥을 너무 크게 다셧거나..ㅋㅋ 찌맞춤이 가볍거나 바닥지형이 경사지형이면 그런 현상이 나타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하나씩 체크해도 문제가 생긴다면.. 위의 세가지 경우의 수가 동시에 포함 경우입니다 >.< 머리에 쥐나죠 ㅎㅎ 추천 0 신고 떡밥을 너무 크게 다셧거나..ㅋㅋ 찌맞춤이 가볍거나 바닥지형이 경사지형이면 그런 현상이 나타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하나씩 체크해도 문제가 생긴다면.. 위의 세가지 경우의 수가 동시에 포함 경우입니다 >.< 머리에 쥐나죠 ㅎㅎ 별이빛나는밤에아이디로 검색 14-10-29 10:14 말씀대로라면 2마디 내놓고 운용하면 그리 가벼운건 아니고요 만일 유동찌 채비라면 투척쉽게 찌를 봉돌쪽으로 내려쓰시면 수심이 깊어서 풀스윙 확률이 높고 그러면 떡밥무게 때문에 사선입수가 될것이고,풀리면 스물스물 올라온다고 보여집니다 반스윙이 답일것입니다 추천 0 신고 말씀대로라면 2마디 내놓고 운용하면 그리 가벼운건 아니고요 만일 유동찌 채비라면 투척쉽게 찌를 봉돌쪽으로 내려쓰시면 수심이 깊어서 풀스윙 확률이 높고 그러면 떡밥무게 때문에 사선입수가 될것이고,풀리면 스물스물 올라온다고 보여집니다 반스윙이 답일것입니다 요단강뱃사공아이디로 검색 14-10-29 11:13 수심깊이,내려가는속도와부력(찌,원줄)의 차이 찌와봉돌이 수직이아닌 사선으로 착지된걸로 봅니다. 추천 0 신고 수심깊이,내려가는속도와부력(찌,원줄)의 차이 찌와봉돌이 수직이아닌 사선으로 착지된걸로 봅니다. 룰러제로아이디로 검색 14-10-29 20:28 봉돌이 바닥이 닿지않은 사선입수일 가능성도 있네요. 떡밥이 풀리면서 봉돌이 제자리로 다시 이동하면서 찌가 떠오르는가보네요.좁싹봉돌이나 찌맞춤 다시 해보심어떨지. 추천 0 신고 봉돌이 바닥이 닿지않은 사선입수일 가능성도 있네요. 떡밥이 풀리면서 봉돌이 제자리로 다시 이동하면서 찌가 떠오르는가보네요.좁싹봉돌이나 찌맞춤 다시 해보심어떨지. 가을과꾼아이디로 검색 14-10-29 22:43 방랑자채비인경우 중간목줄이 길기 때문에 사선입수가 많습니다 게다가 떡밥달면 무거워서 사선됩니다~ 제 생각도 반스윙에 원줄 가라않도록 뒤를 들고있다가 찌가 가라앉을때 앞으로 밀어서 놓아보세요~ 추천 0 신고 방랑자채비인경우 중간목줄이 길기 때문에 사선입수가 많습니다 게다가 떡밥달면 무거워서 사선됩니다~ 제 생각도 반스윙에 원줄 가라않도록 뒤를 들고있다가 찌가 가라앉을때 앞으로 밀어서 놓아보세요~ 달마기오아이디로 검색 14-10-30 07:10 채비 처음부터 다시할려면 힘듭니다 . 작은 좁살동돌 하나 이용하심이 마이너스 채비같은데.... 추천 0 신고 채비 처음부터 다시할려면 힘듭니다 . 작은 좁살동돌 하나 이용하심이 마이너스 채비같은데.... 슈퍼맨쭌아빠아이디로 검색 14-10-30 09:23 사선 입수가되서 그런듯 하네요 투척후 낚시대거치후 찌가서기전까지 낚시대를 가슴쪽으로 당겨놓고 있다가 찌가 서기 시작하면 낚시대를 내려놓아 보세요~^^ 추천 0 신고 사선 입수가되서 그런듯 하네요 투척후 낚시대거치후 찌가서기전까지 낚시대를 가슴쪽으로 당겨놓고 있다가 찌가 서기 시작하면 낚시대를 내려놓아 보세요~^^ 내가판관아이디로 검색 14-10-30 11:52 사선입수가 되는게 정답일것 같습니다.. 해결책은 많은분들이 올려주셨네요 ^^ 추천 0 신고 사선입수가 되는게 정답일것 같습니다.. 해결책은 많은분들이 올려주셨네요 ^^ 붕애랑1아이디로 검색 14-10-30 14:40 저는 그런경우 실납을 이용합니다. 추천 0 신고 저는 그런경우 실납을 이용합니다. 잉어만세아이디로 검색 14-10-30 18:25 깊은수심에서 사선입수 되면 시간이지나면 찌가 올라옵니다. 추천 0 신고 깊은수심에서 사선입수 되면 시간이지나면 찌가 올라옵니다. 소프아이디로 검색 14-10-31 12:39 정답이 다있네요.ㅎㅎ 찌맞춤은 잘되었다고 봤을때 사선입수.. 채비무너짐. 글고 원인중에 하나는, 낚시하시는 수심, 대류에 비하여 찌가 저부력일때도 그러합니다. 여러 시도를 해보시되 다안되면 찌부력도 높여보시길 바랍니다. 해당환경에[서 찌부력 자체가 가벼울때도 그러할 수 있습니다.(정밀한 찌맞춤에서) 추천 0 신고 정답이 다있네요.ㅎㅎ 찌맞춤은 잘되었다고 봤을때 사선입수.. 채비무너짐. 글고 원인중에 하나는, 낚시하시는 수심, 대류에 비하여 찌가 저부력일때도 그러합니다. 여러 시도를 해보시되 다안되면 찌부력도 높여보시길 바랍니다. 해당환경에[서 찌부력 자체가 가벼울때도 그러할 수 있습니다.(정밀한 찌맞춤에서) 투니버스아이디로 검색 14-11-01 19:01 혹시 외봉이 아니라 2봉 방랑자채비 아닌가 싶네요 목줄길이가 한개는 길고 한개는 짥은 거 아닌가요 찌맞춤이 가벼워서 위바늘이 떡밥이 풀리면 떠오르는 현상이지 싶네요 길은 바늘은 바닥에 닫아 있을 겁니다 참고 하세요 제 생각입니다 추천 0 신고 혹시 외봉이 아니라 2봉 방랑자채비 아닌가 싶네요 목줄길이가 한개는 길고 한개는 짥은 거 아닌가요 찌맞춤이 가벼워서 위바늘이 떡밥이 풀리면 떠오르는 현상이지 싶네요 길은 바늘은 바닥에 닫아 있을 겁니다 참고 하세요 제 생각입니다 설봉산아이디로 검색 14-11-02 12:38 사선입수 인것. 같습니다 투척후 손잡이대를 앞으로 15-20센티정도 당겼다가 찌가 내려갈때 앞으로 밀어 놓으시고 낚시하실때 찌는 두목정도 내놓으시고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추천 0 신고 사선입수 인것. 같습니다 투척후 손잡이대를 앞으로 15-20센티정도 당겼다가 찌가 내려갈때 앞으로 밀어 놓으시고 낚시하실때 찌는 두목정도 내놓으시고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TG봉돌아이디로 검색 14-11-02 22:13 사선입수 한표~~ 추천 0 신고 사선입수 한표~~ 장교수아이디로 검색 14-11-02 22:27 현장에서 수평 찌맞춤한 후 한두마디 내놀고 다시 해 보세요 추가 가볍습니다. 위에서 정답들이 나왔는데 귀찮아도 찌맞춤을 다시 하는 것이 정신 건강과 조과에도 좋습니다. 추천 0 신고 현장에서 수평 찌맞춤한 후 한두마디 내놀고 다시 해 보세요 추가 가볍습니다. 위에서 정답들이 나왔는데 귀찮아도 찌맞춤을 다시 하는 것이 정신 건강과 조과에도 좋습니다. 백수향아이디로 검색 14-12-01 19:25 제가 볼땐 아주 바람직한 채비 같은데요^^ 떡밥이 바늘에 달려 있는지 빈바늘만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 채비 보다는 100번좋은 채비 같습니다. 떡밥이 풀려 바늘에서 떨어지면 다시 떡밥 달아주는것이 정상적인 붕어 떡밥 낚시죠. 쓰리꼬미로 잉어 낚시 하는 것도 아닌데... 아주 좋은 채비네요.^^ 다른 사람들보다 조과가 좋을 듯합니다. 추천 0 신고 제가 볼땐 아주 바람직한 채비 같은데요^^ 떡밥이 바늘에 달려 있는지 빈바늘만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 채비 보다는 100번좋은 채비 같습니다. 떡밥이 풀려 바늘에서 떨어지면 다시 떡밥 달아주는것이 정상적인 붕어 떡밥 낚시죠. 쓰리꼬미로 잉어 낚시 하는 것도 아닌데... 아주 좋은 채비네요.^^ 다른 사람들보다 조과가 좋을 듯합니다.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낚시禮讚아이디로 검색 14-10-25 02:43 너무 예민하게 찌 맞춤하신거 아닌가요? 마이너스 채비 하신것 같은데요? 마이너스 채비가 아니라면...아랫봉돌이 완전히 바닥에 안착할수 있도록 2마디 정도 내놓고 해보세요. 아래 봉돌이 바닥에서 떠 있는것 같네요.
협이다아이디로 검색 14-10-25 05:51 헐... 찌맞춤을 어떻게 하셨길래 ㅎㅎ 떡밥 없이 바늘만 달아서 던지면 봉돌이 바닥에서 뜰 정도로 마이너스 맞춤을 하신 듯 합니다. 지금 찌맞춤은 바닥낚시가 아닌 내림낚시 찌맞춤을 하신 것 같습니다 ^^
대빵왕초아이디로 검색 14-10-25 06:46 방랑자 찌맞춤(제가 하는 방식) 바늘과 좁쌀 봉돌 모두 단 상태에서 수평맞춤ᆢ 낚시할 때 ᆢ 찌 한 목 내어놓고 낚시ᆢ 가장 좋은 조과를 올리는 조합이라고 생각합니다ᆢ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ᆢ
스렘레드아이디로 검색 14-10-25 08:23 수심깊은 사선입수라서 그런거에요. 가장 좋은 방법은 반스윙으로 쳐서 찌랑 바늘이 직선으로 서게 던지는게 쉽고 정석이구요. 무거운 찌맞춤으로도 해결은 되는대 생각보다 많이 무섭게해야하기 때문에(쇠링 대자 3개정도?) 추천하고 싶지는 않네요..
스모그아이디로 검색 14-10-25 10:19 원줄이 물보다 가벼운 경우 수심이 깊어질수록 물속에 강제로 입수되는 원줄길이가 길어져서 찌를 밀어올리는 부력이 증가되어 수심4미터라면 충분히 그정도의 부력오차가 생길수 있습니다
andrew74아이디로 검색 14-10-25 10:20 사선입수 의심되서 투척후 20~30센티 뒤로 땡겨놨다가 다시 밀어 놓는데 찌가 올라오거나 하진 않구요 그렇게해도 찌가 시간지나면 올라올때가 있어요
잡았다놔주자아이디로 검색 14-10-25 11:30 100% 사선 입수에요~ㅎㅎ 수심 4미터면.... 찌가 서기전에 낚시대 뒤로쭉~ 당기고 있다가 찌가 서면 또뒤오 쭉~ 당기고 있고 낚시대 원위치 시켜도 찌가 안움직였을때가 사선이 아니에요 ㅎㅎ 2미터 정도 수심에서도 30센티 뒤로 땡겨도 사선이 생깁니다 ㅎㅎ 4미터는 그냥 그 포인트에 떡밥과 를 같이 들어가게 반스윙이나 끈어 던져서 집어를 하셔야되는게 맞죠. 항상 똑같은 자리에 들어가게요 ㅎㅎ
dlwkdnjs아이디로 검색 14-10-25 13:08 그냥 투척 후 찌가 안착할때까지 낚시대를 뒤로 당겨서 들고 계시다가 안착 후 앞으로 밀어 받침대에 놓으시면 아주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일월일수아이디로 검색 14-10-25 13:17 원줄이 카본줄인가요? 그렇다면 가벼운 찌맞춤에 사선입수 인것 같습니다. 링을 더 달아 가면서 영점 맞춤을 해보세요.. 원줄이 모노줄이라면 모노줄의 부력 때문일수도 있어 보입니다.. 떡밥이 있는 동안은 떡밥 무게로 웬만큼 버티다가 떡밥이 풀리면 줄이 바늘을 땡기고 원줄도 땡기고 찌도 올라오고... 수심이 4m라는 것이 약간 걸리기도 합니다..
슈와악아이디로 검색 14-10-26 22:35 떡밥을 너무 크게 다셧거나..ㅋㅋ 찌맞춤이 가볍거나 바닥지형이 경사지형이면 그런 현상이 나타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하나씩 체크해도 문제가 생긴다면.. 위의 세가지 경우의 수가 동시에 포함 경우입니다 >.< 머리에 쥐나죠 ㅎㅎ
별이빛나는밤에아이디로 검색 14-10-29 10:14 말씀대로라면 2마디 내놓고 운용하면 그리 가벼운건 아니고요 만일 유동찌 채비라면 투척쉽게 찌를 봉돌쪽으로 내려쓰시면 수심이 깊어서 풀스윙 확률이 높고 그러면 떡밥무게 때문에 사선입수가 될것이고,풀리면 스물스물 올라온다고 보여집니다 반스윙이 답일것입니다
룰러제로아이디로 검색 14-10-29 20:28 봉돌이 바닥이 닿지않은 사선입수일 가능성도 있네요. 떡밥이 풀리면서 봉돌이 제자리로 다시 이동하면서 찌가 떠오르는가보네요.좁싹봉돌이나 찌맞춤 다시 해보심어떨지.
가을과꾼아이디로 검색 14-10-29 22:43 방랑자채비인경우 중간목줄이 길기 때문에 사선입수가 많습니다 게다가 떡밥달면 무거워서 사선됩니다~ 제 생각도 반스윙에 원줄 가라않도록 뒤를 들고있다가 찌가 가라앉을때 앞으로 밀어서 놓아보세요~
슈퍼맨쭌아빠아이디로 검색 14-10-30 09:23 사선 입수가되서 그런듯 하네요 투척후 낚시대거치후 찌가서기전까지 낚시대를 가슴쪽으로 당겨놓고 있다가 찌가 서기 시작하면 낚시대를 내려놓아 보세요~^^
소프아이디로 검색 14-10-31 12:39 정답이 다있네요.ㅎㅎ 찌맞춤은 잘되었다고 봤을때 사선입수.. 채비무너짐. 글고 원인중에 하나는, 낚시하시는 수심, 대류에 비하여 찌가 저부력일때도 그러합니다. 여러 시도를 해보시되 다안되면 찌부력도 높여보시길 바랍니다. 해당환경에[서 찌부력 자체가 가벼울때도 그러할 수 있습니다.(정밀한 찌맞춤에서)
투니버스아이디로 검색 14-11-01 19:01 혹시 외봉이 아니라 2봉 방랑자채비 아닌가 싶네요 목줄길이가 한개는 길고 한개는 짥은 거 아닌가요 찌맞춤이 가벼워서 위바늘이 떡밥이 풀리면 떠오르는 현상이지 싶네요 길은 바늘은 바닥에 닫아 있을 겁니다 참고 하세요 제 생각입니다
설봉산아이디로 검색 14-11-02 12:38 사선입수 인것. 같습니다 투척후 손잡이대를 앞으로 15-20센티정도 당겼다가 찌가 내려갈때 앞으로 밀어 놓으시고 낚시하실때 찌는 두목정도 내놓으시고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장교수아이디로 검색 14-11-02 22:27 현장에서 수평 찌맞춤한 후 한두마디 내놀고 다시 해 보세요 추가 가볍습니다. 위에서 정답들이 나왔는데 귀찮아도 찌맞춤을 다시 하는 것이 정신 건강과 조과에도 좋습니다.
백수향아이디로 검색 14-12-01 19:25 제가 볼땐 아주 바람직한 채비 같은데요^^ 떡밥이 바늘에 달려 있는지 빈바늘만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 채비 보다는 100번좋은 채비 같습니다. 떡밥이 풀려 바늘에서 떨어지면 다시 떡밥 달아주는것이 정상적인 붕어 떡밥 낚시죠. 쓰리꼬미로 잉어 낚시 하는 것도 아닌데... 아주 좋은 채비네요.^^ 다른 사람들보다 조과가 좋을 듯합니다.
바늘달고 케미완전 노출로 찌마춤하고 있어요
두톱 정도면 가장 작은 좁살봉돌 반 개 만큼 더 다세요
마이너스 채비가 아니라면...아랫봉돌이 완전히 바닥에 안착할수 있도록 2마디 정도 내놓고 해보세요.
아래 봉돌이 바닥에서 떠 있는것 같네요.
떡밥 없이 바늘만 달아서 던지면 봉돌이 바닥에서 뜰 정도로 마이너스 맞춤을 하신 듯 합니다.
지금 찌맞춤은 바닥낚시가 아닌 내림낚시 찌맞춤을 하신 것 같습니다 ^^
바늘과 좁쌀 봉돌 모두 단 상태에서 수평맞춤ᆢ
낚시할 때 ᆢ 찌 한 목 내어놓고 낚시ᆢ
가장 좋은 조과를 올리는 조합이라고 생각합니다ᆢ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ᆢ
가장 좋은 방법은 반스윙으로 쳐서 찌랑 바늘이 직선으로 서게 던지는게 쉽고 정석이구요.
무거운 찌맞춤으로도 해결은 되는대 생각보다 많이 무섭게해야하기 때문에(쇠링 대자 3개정도?) 추천하고 싶지는 않네요..
수평맞춤 하시면 됩니다.
가벼워서 찌가 올라옵니다.^*^
수심 4미터면....
찌가 서기전에 낚시대 뒤로쭉~ 당기고 있다가 찌가 서면 또뒤오 쭉~ 당기고 있고 낚시대 원위치 시켜도 찌가 안움직였을때가
사선이 아니에요 ㅎㅎ
2미터 정도 수심에서도 30센티 뒤로 땡겨도 사선이 생깁니다 ㅎㅎ
4미터는 그냥 그 포인트에 떡밥과 를 같이 들어가게 반스윙이나 끈어 던져서
집어를 하셔야되는게 맞죠.
항상 똑같은 자리에 들어가게요 ㅎㅎ
그렇다면 가벼운 찌맞춤에 사선입수 인것 같습니다.
링을 더 달아 가면서 영점 맞춤을 해보세요..
원줄이 모노줄이라면 모노줄의 부력 때문일수도 있어 보입니다..
떡밥이 있는 동안은 떡밥 무게로 웬만큼 버티다가 떡밥이 풀리면 줄이 바늘을 땡기고 원줄도 땡기고 찌도 올라오고...
수심이 4m라는 것이 약간 걸리기도 합니다..
던지고나서 낚시대 뒤로 뺐다가 안착후 원위치해보세요
찌맞춤이 가볍거나
바닥지형이 경사지형이면
그런 현상이 나타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하나씩 체크해도 문제가 생긴다면..
위의 세가지 경우의 수가 동시에 포함 경우입니다 >.< 머리에 쥐나죠 ㅎㅎ
만일 유동찌 채비라면 투척쉽게 찌를 봉돌쪽으로 내려쓰시면 수심이 깊어서 풀스윙 확률이 높고
그러면 떡밥무게 때문에 사선입수가 될것이고,풀리면 스물스물 올라온다고 보여집니다
반스윙이 답일것입니다
찌와봉돌이 수직이아닌 사선으로 착지된걸로 봅니다.
해결책은 많은분들이 올려주셨네요 ^^
찌맞춤은 잘되었다고 봤을때 사선입수.. 채비무너짐.
글고 원인중에 하나는, 낚시하시는 수심, 대류에 비하여
찌가 저부력일때도 그러합니다. 여러 시도를 해보시되 다안되면
찌부력도 높여보시길 바랍니다. 해당환경에[서 찌부력 자체가
가벼울때도 그러할 수 있습니다.(정밀한 찌맞춤에서)
목줄길이가 한개는 길고 한개는 짥은 거 아닌가요
찌맞춤이 가벼워서 위바늘이 떡밥이 풀리면 떠오르는 현상이지 싶네요
길은 바늘은 바닥에 닫아 있을 겁니다
참고 하세요 제 생각입니다
투척후 손잡이대를 앞으로 15-20센티정도 당겼다가 찌가 내려갈때 앞으로 밀어 놓으시고
낚시하실때 찌는 두목정도 내놓으시고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위에서 정답들이 나왔는데 귀찮아도 찌맞춤을 다시 하는 것이 정신 건강과 조과에도 좋습니다.
떡밥이 바늘에 달려 있는지 빈바늘만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 채비 보다는 100번좋은 채비 같습니다.
떡밥이 풀려 바늘에서 떨어지면 다시 떡밥 달아주는것이 정상적인 붕어 떡밥 낚시죠.
쓰리꼬미로 잉어 낚시 하는 것도 아닌데...
아주 좋은 채비네요.^^
다른 사람들보다 조과가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