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월님들..^^
여러 사이트에서 방법들을 구경하다가..
고리봉돌 고리에 목줄을 연결할때.. 어느것이 좋은지 의견 여쭈어봅니다.
저는 바늘목줄에 원을하나 만들어서 고리봉돌에 연결후 바늘을 원안으로 빼서 연결하는 방법을 씁니다.
그런데 원을 만들어 넣는방법이 아니 직접연결하는 방식도 사용하더군요.
어느 방법이 입질에 더좋을까요????
1. 목줄에 원을만들어 고리봉돌 고리에 끼우고 원안으로 바늘을 넣어서 묶는방법을 쓴다.
2. 목줄에 원을만들지않고 고리봉돌 고리에 바로 연결한다.

저는 그냥 따로 따로 묶어서 써요 ㅋ
바닥걸림되도 바늘하나만 터지게요 ..ㅋ
만약 원을 크게 한다면 입질시 원 길이만큼 더 들어 올려야
찌가 올라 옵니다. 다만 2번 같은 경우 바늘을 갈아야 할 경우에는
끈어야 된다는 단점이 잇습니다.
2번 같은 경우의 연결시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바늘 을 하나씩 묶에 매듭하여 일번처럼 연결하여 쓰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다아시겠지만요~ㅎ
저는 쌍바늘사용시 외바늘 두개묶어 사용합니다 .
예전에는 전부1번으로 바늘을사용한것으로압니다
예민한 낚시기법이들어오면서 원줄이며 찌면 목줄이며
모든것이 예민하게예민하게 바뀌어 가는데 양어장에서
1번이나2번이나 별반 차이없더군요
본인에취향에 맏겠쓰시는것이 정신건강에 득입니다
너무 사소한것에 신경쓰면 낚시가더 복잡해저요
전체적인 목줄 길이에 차이라는것이죠 .그 원에 상단쪽과 하단쪽 모두 원줄 길이에 포함되는것입니다 .
물밖에선 사람에 손으로 원아래 목줄을 잡고 밀고 당기면 목줄에 원이 가로,세로로 반응을합니다만
물속에선 목줄 원에 반응하기보단 그게 봉돌에 전달됩니다 .
1번은 목줄을 길게 사용하는 예가 될것이고 2번은 목줄을 짧게쓰는 예가 되는것입니다 .
1번이 좋다 2번이 좋다 아무 의미가 없는것입니다 .낚시인이 매듭짓고 사용하기 편한방법이좋은것입니다 .
하긴 공부하고 연구하는 것도 즐겁다면야...
2번은 목줄길이 조정(단차)이 가능하겠죠
조과차이는...
이것이 코팅이 잘 되있어서 그런지
1번처럼 묶어서 사용을 하다가 고기 몇마리 잡고나면
2번처럼 되버립니다.
바늘 두개를 한개씩 잡고 당기면 매듭이 봉돌부분까지 가버려서요.
그러다가 바늘이 이상이 생겨서 교체를 하면 다시 1번처럼 됩니다.
그렇게 사용했는데 입질차이는 전혀 없었습니다.
그런거 신경쓰지 마시고 편한대로 하심 됩니다.
활성도만 있으면 두개의 채비가 별차이없을것 같네요
외바늘 두개 채비를 하시면 바늘 굵기를 다르게 해서 입질 상황 파악하실 수도 있겠고,
바늘 손상시 하나만 교체하여 나머지 한개를 살릴 수가 있겠죠..
짧은 생각이었습니다. ^^;
그 원인을 아래 그림으로 비교 해보았습니다
일전에 올린 사진을 다시 올려봅니다
활성도가 좋을때에도 찌가 오르다 주저앉는 모습이 보이면 그 원인중에 한가지가 1번의 방법때문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