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낚시를 하며 7대를 펴서 낚시를 쭉 해왔는데
낚시대 많이 편다고 조과가 좋은것도 아니고 여러개의 찌를 봐야하니 집중도 잘안되고
입질을 놓쳐 챔질타이밍을 놓칠때도 많더군요
어제 3대를 펴서 낚시를 했는데 조과는 좋앗습니다.
찌도 한눈에 들어오고 집중도 잘되어 찌의 예민한 움직임에도 즉각 반응이 되더군요
떡밥낚시 낚시대 몇대가 가장 효율적이면서 다대편성에 뒤지지 않을 까요?
떡밥낚시 낚시대 몇대가 가장 효율적일까요?
-
- Hit : 1184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40
많이 잡히면 한대
조금 덜 잡히면 두대
아무리 안잡혀도 3대 이상은 의미 없을듯합니다.
개인적으로 상포로 집어한다면 10대펴서 하는사람하고 경쟁해도
마리수 조과에 뒤지지 않을꺼라 생각합니다.
여러대를 펼쳤다가 집어 후 집중적으로 입질오는 칸수 위주로 2~3대 펴심이 집중력있고 좋지요.
결국 여러대를 준비하셔야 상황에 맞게 쌍포는 삼포든 펴게 됩니다.(노지 기준 입니다)
양방이야...머....거의 2.9 ~ 3.2 라고 보심이...
일반적인 떡밥낚시에서는 3대를 넘어서면 ....
힘듭니다...
밥질하기도 힘들고...찌보기도 힘들고...
제경우 떡밥낚시는 순간적인 찌오름 놓치면 생미끼처럼 다시 올려주지 않는경우가 허다해....단번의 찬스를 잡아내야하는바...
전 대의 찌가 한눈에 들어오는 범위내에 있어야할거같네요....
3~4대가 가장 적당하고 봐집니다... (노지기준)
말씀하신대로 그냥 떡밥 낚시일때 다대의 경우 오히려 역효과를 낼수있을듯합니다...
모든지 넘치면 모자란만 못한것이겠지요~~ ^^
쌍포도 좋고, 29. 32 혹은 25, 29, 또 16, 20 이런식으로 2대를 폄니다.
떡밥은 하나만 개서 6대에 쓰기도 하고, 시험해보고 싶으시거나, 여러가지 해보시고 싶으시면 마음가는데로 하시면 되구요.
일단 우후죽순 막올라 온다 싶으면 바쁘지만 막 잡아내구요. 잡으시다보면 분명 어느한곳에서 조금 입질타이밍이 짧게 들어오는게 경험상 느껴집니다. 그럼 같은 짝 한대를 찌와찌사이 거리 30cm 내외로 붙여서 거기에만 집중합니다.
나머지 대에서 붕어가 걸리면 붕어만 빼고 떡밥만 달아놓고 투척하지 않고 거치만 시켜놓구요.
그러다 입질이 뜸하면(시간대가 지났다던지 하면) 다시 6대 편안하게 떡밥달고 기다립니다. ^^;
때로는 깊은 수싶은28 32 36 40 4대를쓰기도 하고요
짬낚시는 주로 쌍포로 갑니다
낚시대는 떡밥낚시용으로 10대를 가지고 다니며 장소여건에 맞게 우선3대를 먼져 펴고 시작합니다.
입질이 많이 붙으면 1대를 접고 2대로 주로 합니다.
떡밥은 주로 쌍포로 운용을 많이 하며
여건에따라 틀리겠지만 주로29대나32대를 많이 사용합니다.
안출하세요~!!
여건에 따라서 혹은 꾼의 능력에 따라서 다르겠지요..
지금까지 2~3대로 하는 친구와 조과에서 큰차이 없었습니다.
꽝인 날은 같이 꽝,잡으면 비슷
칸수는 항상에 맞게 피고요
보통 2대기준합니다.
떡밥대물글루텐 낚시는 대다편성해도 됩니다~
보통 쌍포 두대
재미 볼려면 외대 주로 사용 합니다.
도착하면 무조건 5대 폅니다. (받침틀이 5단이어서...)
입질이 오는대로 2대나 3대를 선택 합니다.
경험상 5대에서 골고루 입질 들어오는 경우 극히 드뭅니다.
28대 3대와 32대 2개 사용합니다
30이하 잔붕어입질많은곳이라면 3대이하가..
배스탕이라면 글루텐이나생미끼사용하면서5대이상이 좋을듯합니다
장소상황에맞춰 대편성늘여가며 줄여가며 편한낚시하세요^^
3-4대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개인차에 따라 다르겠지만 ...
전 3대 까지는 타이밍 놓치지 않고 챔질이 되더군요 4대가 넘어가면 놓치는 일이 많더군요.
26, 30, 34 세대를 펴고 한두시간 떡밥질 후
입질 많이오는 칸수를 제외한 두대를 접고
입질온 칸수를 한대 더펴서 쌍포로 즐기고 있습니다.^^
여러번 집어하다가 집중적으로
입질오는 대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그냥 거치만 합니다
그렇다 보니
대부분 3-4대정도입니다 ^^
그러나 쌍포가 제일 다루기 좋고 무난 하더군요.
우측대에 입질받아 챔질했는데 좌측대에 입질이 동시에 들어 올때는 왼손으로 바로 챔질하면 크게 무리없이 끌어 낼수있지요.
욕심부려서 여러대 편다고 절대 고기 많이 잡는다는 보장없고 오히려 더 불편하더군요.
관리형저수지에는 쌍포만 운영하구요..
일반 노지에서는 보통 21,23,25,29,32 5대로 하다가 입질 별로 없으면 그대로 하구요, 입질이 오면 자주오는 칸수로 해서 3대정도 운영하죠...
입질빈도수 높은 칸수중 2-3대만 떡밥질하고 나머지대는 옥수수 매달아 놓고 그냥 나둡니다.
2대에서 max 4대에서 좌우합니다..
4대까지는 사실 잘안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