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찌로 저부력을 좋아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일반적으로 노지용이면 말씀하신 찌도 괜찮다고 봅니다.
노지용 아니더라도 크게는 상관없고 낚시대가 세칸 이상이라면 봉돌 무게가 오히려 적당한 정도이겠네요.
찌맞춤은 무조건 가벼운 것보다 자신의 스타일에 따라 적당히 맞추는 게 좋겠죠.
원래 떡밥낚시는 길고 중후한 찌올림을 즐기는 낚시는 아니라고 봅니다.
좀 예민하게 맞추고 짧은 찌올림에서 챔질에 들어가는 게 기본이라 짧은 찌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저처럼 떡밥낚시에 60cm 이상의 찌를 사용하면서 긴 찌올림에만 반응하는 무대책도 많으니 이 역시 개취인가 봅니다.
떡밥낚시에서 글루텐은 필수가 된 지 오래죠.
하지만 밑밥효과가 적어서 거친 떡밥을 병행하는 것이 조과에 도움이 됩니다.
제 경우 이봉에 글루텐과 떡밥을 각각 달아서 해보면 약 7:3 정도로 글루텐 쪽 입질이 많습니다.
잘 풀리는 보리계열을 합봉으로 헛챔질 대여섯번 하고 이봉 각각 글루텐, 보리계열 달아서 가끔씩 갈아주다가 입질오면 글루텐 합봉이나 외봉으로 가는 분들도 있어요.
전 각각 달아서 계속 가는 편이고요.
장단점은 보리계열이나 신장은 잘풀리니 집어에 유리하겠고요.
글루텐은 풀려도 바늘에서 이탈하지 않고 오래 가서 좋겠지요.
저같은 게으름뱅이는 초반엔 떡밥낚시로 가다가 슬슬 농땡이 피면서 결국 대물낚시나 마찬가지가 돼버리는데 이럴 때 글루텐이 효과를 발휘합니다.
안 갈아줘도 몇시간쯤은 기본으로 버텨주는 게 글루텐이니...
노지용 아니더라도 크게는 상관없고 낚시대가 세칸 이상이라면 봉돌 무게가 오히려 적당한 정도이겠네요.
찌맞춤은 무조건 가벼운 것보다 자신의 스타일에 따라 적당히 맞추는 게 좋겠죠.
원래 떡밥낚시는 길고 중후한 찌올림을 즐기는 낚시는 아니라고 봅니다.
좀 예민하게 맞추고 짧은 찌올림에서 챔질에 들어가는 게 기본이라 짧은 찌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저처럼 떡밥낚시에 60cm 이상의 찌를 사용하면서 긴 찌올림에만 반응하는 무대책도 많으니 이 역시 개취인가 봅니다.
떡밥낚시에서 글루텐은 필수가 된 지 오래죠.
하지만 밑밥효과가 적어서 거친 떡밥을 병행하는 것이 조과에 도움이 됩니다.
제 경우 이봉에 글루텐과 떡밥을 각각 달아서 해보면 약 7:3 정도로 글루텐 쪽 입질이 많습니다.
잘 풀리는 보리계열을 합봉으로 헛챔질 대여섯번 하고 이봉 각각 글루텐, 보리계열 달아서 가끔씩 갈아주다가 입질오면 글루텐 합봉이나 외봉으로 가는 분들도 있어요.
전 각각 달아서 계속 가는 편이고요.
장단점은 보리계열이나 신장은 잘풀리니 집어에 유리하겠고요.
글루텐은 풀려도 바늘에서 이탈하지 않고 오래 가서 좋겠지요.
저같은 게으름뱅이는 초반엔 떡밥낚시로 가다가 슬슬 농땡이 피면서 결국 대물낚시나 마찬가지가 돼버리는데 이럴 때 글루텐이 효과를 발휘합니다.
안 갈아줘도 몇시간쯤은 기본으로 버텨주는 게 글루텐이니...
이상, 답변이 없길래 초보적이고 당연한 말씀 올렸습니다.
지금은 귀차니즘과 글루텐과 비교 했을시에
조과에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해 지금은 글루텐에 한가지
정도만 섞어서 사용합니다.
찌는 2~4그램 정도를 낚시대 칸수에 비례해서 사용하는걸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