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떡밥낚시 초보질문입니다.

떡밥낚시할때에 목줄은 합사를 써야 좋은가요? 당줄이라고 있다는데 당줄은 어떤줄입니까? 떡밥낚시도하고 지렁이도 가끔쓰러면 기초채비라던가 특히 목줄과 바늘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떡밥낚시를 많이 안해봤고, 강(수로)낚시도 거의 해본적이 없는데 이번에 떡밥낚시와 더불어 강낚시,수로낚시도 도전해볼까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검색해 보시면 회원님들이 자세히 설명한 게시물이 있을 겁니다.
간단히 말씀 드리면 붕어 낚시 채비는 기본적인 정렬이 필요합니다.
떡밥 낚시 하신다고 하니 제 기준으로 말씀 드리면(초릿대 -> 원줄 -> 클립도래 -> 원봉돌 -> 첫번째 목물 -> 스위벨 5호 -> 두번째 목줄 -> 바늘) 원줄은 카본 2호 첫번째 목줄은 당줄3호 그리고 스위벨 아래 바늘에 묶는 두번째 목줄은 당줄 2호 그리고 바늘은 붕어바늘 6~8호를 사용합니다.

바늘은 미늘이 있는 바늘을 사용하고 (지렁이를 전혀 않쓰실 경우 미늘없는 바늘을 추천 합니다. 미늘이 없으면 지렁이를 사용하는 경우 지렁이가 바늘에서 너무 잘 빠집니다.) 초봄에는 6호에서 여름으로 갈수로 점점 크게 8호까지 사용합니다.

생미끼 대물 낚시 (새우, 참붕어, 메주콩등)인 경우 감성돔 바늘 3~5호로 사용하고요. 이경우는 원줄과 목줄의 강도도 1호수 정도 높여서 사용합니다.

바늘이 바닦걸림이 생길 경우 낚시대를 지긋이 당겨 뽑을때 위와 같은 채비 정렬을 하면 바늘이 펴지면서 나오거나 또는 바늘을 묶고 있는 목줄이 터지면서 채비가 회수 됩니다. 이 경우 바늘만 바꿔주면 바로 낚시가 가능 하겠지요.

만약 원줄보다 강한 목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원줄이 터지겠죠. 밤에 이런 경우가 발생되면 원줄부터 모든 채비를 다시 묶고 찌맞춤 하느라 풍덩풍덩 하면 열심히 집어해서 모아놨던 괘기들이 도망가겠죠.

도움이 좀 되셨나 모르겠네요.
즐거운 낚시 하시고 돌아오실때 내 쓰레기는 꼭 가져 오셔요.
저도 떡밥과 지렁이 쓰고있으며 가끔 옥수수씁니다
저는 원줄 모노1.7호 초보이시면 2~2.5호정도 떡밥낚시는 너무굵으면 불편함(1.5~2호는 떡밥 2~3호는 다용도 3~4호는 대물)
목줄 합사1.5호 초보이시면 떡밥은 모노목줄보다 합사줄이 낳을거라봅니다 2호정도
바늘 붕어6~7호 초보이시면 떡밥도 쓰시면 붕어바늘 7호정도 다용도로 좋을듯 (6~8호는 다용도 9~10호이상은 대물)
찌 봉돌 4~6푼 과 적용찌 초보이시면 떡밥하시면 5~7푼 수로도 겸하시면 조금 둔하게 저수지면 예민하게
합사줄이 더 좋을때도 있고, 모노줄과 같은 줄이 더 좋을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합사줄은 쓰시려면 되도록이면 얇은거 쓰심이 좋겠네요. 얇아도 강해서 끊어지지
않죠. 너무 호수를 높은거(원줄과 많은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쓰시면 바늘이 휘거나 부러지지
않는다면 잘못하면 원줄 날아갑니다.
뭐...합사가 불편할 때도 있고, 좋을 때도 있구요 ㅎ
지렁이 쓴다고 꼭 미늘있는 바늘 쓸 필요없구요. 미늘 있는 바늘 쓰는 것보다는 불편하긴 합니다만.
미늘은 선택이니 넘기고.

바늘은 보통 6호정도가 가장 평균적이며, 입질 빈도수와 후킹시 헛챔질 상황등을 판단하여 바늘 호수를
높이던지 낮추던지 정하시면 됩니다. 일년내내 똑같은 바늘을 쓰시는건 안좋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