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떡밥의 무르기, 집어떡밥에 대해 질문요

제가 떡밥을 만들어서 물에 던져넣어봤어요 1. 떡밥을 푸석하게 해서 단단하게 단다. 5분지나면 떡밥이 풀린 상태로 바닥에 쌓인다. 2. 구루텐을 무르게 하여 단다. 몇분 지나면 역시 풀린상태로 바닥에 쌓인다. 3. 집어제를 단다. 빠르게 풀려 바닥에 쌓인다. 궁금증 1. 모든 경우가 떡밥이 풀려 바닥에 쌓입니다. 떡밥이 무르면 고기가 잘 문다고 하는데 풀린 상태로 바닥에 쌓이게 되면 똑같은거 아닌가요? 미끼를 던지자마자 입질이 오는게 아닌이상 똑같아 보입니다. 2. 집어제 또한 던져놓으면 옆으로 퍼지는게 아니고 그냥 떡밥과 같이 바닥에 쌓이던데 어떻게 집어가 된다는건지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초보조사입니다.실험까지 해보시고 열정이 대단하심니다.(저도 해바야겠어요)
1.바늘에 달아보신건가요? 글루텐은 바늘에 오랫동안 붙어있는걸로 알고 있었거든요.
저는 초보라 떡밥이 너무 무르면 투척시 포인트말고 엉뚱한테 빠져버릴수있어서 단단하게 크게 달아서 포인트정확히 던져지면 헛챔질로 대여섯번해서 일부러 떨군뒤 작게 팥알,콩알만하게 지렁이랑 같이 짝밥씁니다.글루텐 지렁이 짝밥도 쓰고요.
2.바닥에 쌓이고 고기가 회유하다 오던 냄새맡고 오던 먹으러 왔으면 집어가 된거 아닐까요?
예은이 아빠님 지난번 하천, 강에서 유속이 심할때 찌맞춤하는 코멘트 감사합니다. 지난 금요일 부터 오늘까지
진위천 백봉수로에서 활용잘하였습니다.

떡밥을 무르게쓰면 물속에서 풀리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물고기가 와서 바닥에 흩어져있는 떡밥과 집어제등을
흡입할때 살짝숨겨져 있던 바늘이 같이 입속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글루텐역시 물속에서는 걸죽한 섬유질의 젤처럼
형태를 가지고 있어 같은원리로 물고기가 먹이를 먹는것입니다. 사람이 보는 입장에서 먹는것이지 물고기는 먹이와 바늘을
같이 입속으로 흡입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떡밥을 확산성 집어제나 보리계열의 집어제와 같이 사용하는것도 떡밥의 풀림을 빨리 하기위해서 인듯합니다.
또한 집어제와 섞어 부슬부슬하게 하여서 바늘에 살짝만 뭉쳐 캐스팅을 하면 물에 떨어짐과 함께 떡밥이 풀어지기
때문에 먹이를 투척한 지역일대로 집어제와 떡밥이 넓게 확산되는이유로 근처의 물고기 집어가 잘되는 까닭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대편성후 집어제의 비율을 높게하여 수차례(낚시대당 9~10회)밥질을 하고 그 이후에 글루텐계열의 떡밥또는
지렁이등의 짝밥낚시를 하는방법을 하고있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