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겨울이라 할것도없고 맨날 잡다한생각만하네요.
월척을보면서 문득 생각이난건데요. 저는 떡밥낚시가 좋아서
거의 떡밥낚시만하고 대물은 활성도 좋을때나 가끔하는데요.
떡밥하다가 대물하려면 채비교체하는게 너무 귀찮더라고요.
그래서 생각난건데..지금 쓰는찌가 나루* 녹수찌인데요.
이걸로 수초근처나 맹탕지역에 써도 되지않을까 생각드는데.
써보신분 계시나요??혹 다른떡밥찌로라도 써보신분 조언을
듣고싶네요 ㅎ
떡밥찌로 대물낚시 가능할까요?
-
- Hit : 709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7
다만 조심조심 다뤄주세요...일반적인 떡밥찌는 비교적 길기때문에 쉬 부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력이 약한편이므로 봉돌을 조금 무겁게 쓰심이 유리합니다~~~~
입질이 예민한 겨울철 낚시에는 유리한 면이 많습니다.
떡밥 낚시를 하다가 목줄에 B봉돌 하나 달면 되는데..
길이도 25Cm~40Cm 전후로 적당한 부력으로 사용하시면 입질이 까다로운 시기에 안성맞춤입니다.
물론 활성도가 좋은 시기에는 대물찌로 그냥 쓰셔도 무방하구요...^^
전 3호정도 먹는 부력에 27Cm 떡밥찌를 자주 쓴답니다...^^*
수초 직공때만 고부력 수초찌 씁니다
그외엔 대물이든 뭐든 모두 떡밥찌에 생미끼
뭐가 뭐라고...못하는것은 아닙니다
맹탕,수초 언저리에 대물낚시로 가능함니다.
요즘 대물찌가 날씬하고 길어졌죠.
듬성듬성한 마름은 수초제거기로 걷어내놓고 40~50cm 짜리 떡밥찌 써도 충분히 됩니다만
밀생지역 수초작업 구녕에 넣기는 좀 어렵겠지요.
부력을조금무겁께해서썹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
어느정도의 부력이 초대에 맞는가..
한마디 더 가라앉히는게 왜 중요한가..
찌다리의 길이는 왜 중요한가..
똘삐채비는 왜 필요한가...
목줄길이는 왜 조정이 필요한가..
찌통 재질은 왜 따지는가...
그외 다수..
터득하실겁니다.
만약 일반 저부력 떡밥찌로 모든 포인트의 공략이 가능하실때가 된다면,
다음은 찌끝을 보시게 될겁니다.
저도 낚시를 기본부터 다시 배우려고 시작 합니다..
고기를 낚기 이전에 인성 부분 부터요..^^
저부력 생미끼 대물 낚시라...
올해 제가 TEST 해보려고 하는 테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는 부분 입니다...
(봉돌 호수 2 ~ 3호 정도를 기준에 찌 길이는 50 전,후를 기준으로 세팅 완료 해놨네요..^^)
기존에는 참고로 봉돌 5 ~ 6호 정도에 찌 길이 30 전,후를 기준으로 세팅 해서 사용했었거든요..^^
다만 용도에 적합한 편리성등이 나을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채비도 마이너스 찌 맞춤에 가깝게하여 사용하며, 생미끼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 모임회원은 모두 그렇게 사용하여도 대물월척 많이 낚고 있습니다.
꼭, 대물채비 고집할 필요 있을까요?
표준맞춤에 좁쌀 2b정도 하나 물려서 쓰시면 충분할거 같습니다..
수초가 많은 곳에선 피하시구요..
전혀 지장 없었습니다. 오히려 중후한 찌올림도 그만이였구요.
요즘도 극도의 저수심 외에는 대체로 긴 찌를 선호합니다.
나는 대물찌라곤 행낚의대물찌여러가지하고
서찬수씨 찌박에사용안햇는데
자작찌로 고리봉돌4~6호까지 찌길이는35~50까지사용하고있는데 아무불편 없읍니다
저같은경우 고리봉돌4호정두먹는 떡밥찌로(길이40센티정두)정부력마추어서 떡밥낚시 합니다.
조우회정출때는 위에채비로 바늘생미끼바늘루 바꾸고 본봉돌바로밑에2b좁쌀추하나더달아서 무겁게 맟추어서 대물낚시합니다... 참고로 원줄카본3호와 목줄케블러3호로 씁니다... 그리구좁쌀추는 절대목줄중간에 안물립니다...
보통대물낚시하시는분들이( 일명돌삐채비 쓰시는분들)채비가 가벼워서 잔챙이가 찌를만이 들엇다낫다한다구 하지만 그렇치안습니다...
오히려 잔챙이가물어두 돌삐채비보다 찌올림이 더좋읍니다 물론 큰눔이물면 지올림은 더환상이구여...
수초에두 왠만하면 채비안착이 다됍니다 완전 쩔엇는대가 아니면요...
지금두 저는 그채비로 조우회정출 가서 2년연속 일등 했읍니다 (계측은 25센치부터 합니다)
찌톱이길면 챔질 타이밍 잡기두 더 수월하더라구요 저같은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