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뜰채 어떨때 사용하세요??

저는 뜰채를 어지간해선 사용하지않습니다(실은 붕애만 잡아서...) 가끔 유료터가면 무식한 향잉어라도 걸려들면 뜰채를 사용하긴하는데요... 이게또 한번 사용하고나면 바늘이 뜰채그물이랑 이리저리 엉켜서 그거 푸는데 스트레스받고 시간버리고... 회원님들께선 어떨때 뜰채 사용하시나요?? 그리고 그물이랑 엉킨바늘 쉽게 푸는법이 있을까요??

뜰채는 큰고기가 혹여나 물어줄까하는 기대감에 펴는데요. 보통 새우채집용입니다 ㅜㅜ.
촘촘한 거머리망 같은거 쓰지마시고요. 요즘 물잘빠지고 부드럽고 촘촘하지않은 우레탄코팅 뜰채망이 많이 있으니까 그걸로 쓰시면 될듯합니다.
뜰채는 저의 물선중 최고로 아끼는 물건. 이놈을 먼저펴놓으면 입질없음. 그래서 안펴놓으면 입질옴ㅋㅋㅋㅋ 뜰채를 안꺼내놨기에... 줄잡고 대충들어야댐... ㅋㅋㅋ 결론은 이놈에 징크스 때문에 평생 꺼낼일 없는 아주 소중하게 간직만하는 물건입니다 ㅋㅋ
원줄 잡고 들어올리기 곤란한 급경사 같은 곳에서만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합니다.
뜰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붕어와 공정한 승부라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바늘은 외바늘만 사용하는지라 바늘엉킴은 없습니다.
들어 올리다 아무래도 목줄이 걱정이 되는 자리에
앉았을 때는 뜰채를 준비를 합니다.
허나 뜰채부터 펴놓진.않습니다.
펼쳐놓으면 용케도 내다보고 붕어가 오질 않더군요.
배스터 혹시라도 올줄 모르는 대물 붕순이 대비 해서
펴놓습니다. 물 속에 들어 가고 싶어 하는데 주인
잘못 만나서 항상 일광욕만 합니다
대물을 하겠다는 꾼의 의지 표현이죠ㅋ
물에 담구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목줄보호가 1차고
기대감이 높을때 사용하지요
뜰채 펴놔서 손해볼건 없으니까요
수초대를 주로 공략하다가 보니.. 뜰채보다는 수초제거기를 주로 챙겨둡니다. 붕어가 수초를 감을 경우 제거기로 짜르고 당기는게 좋거든요

발 앞에 떼장 수초가 광범위한 포인터는 긴 뜰채가 필수입니다. 경질대 경우 웬만한 사이즈들은 들어뽕으로 질질 끌려오기는 하지만, 떼짱 바로 앞에서 처박아버릴 경우, 뜰채가 없으면 거의 놓친다고 봐야합니다. 제거기도 있어야하고요.

저도 아직 뜰채를 사용할만큼 큰사이즈를 잡아보지 못해서 그런가..최대 사이즈인 39까지는 그냥 줄 잡아당겨 잡았습니다. 가끔 뜰채가 없는게 안타까운 경우도 있기는 한데.. 전반적으로 뜰채 펴 놓고 고기 잡아본적이 없어요.
뜰채를 펴지 않고 낚시 하면 왠지 불안 하고 오래도록 후회 할일 생길수 있습니다..
낚싯대 펴기 전 제일 먼저 뜰채를 펴고 낚싯대 걷고 제일 늦게 뜰채를
접습니다.
무넘이 콘크리트에 붙어있는 새우채집 할때 씁니다.
한번 지나가면 하루밤 쓸 새우가 채집됩니다.^^ 고기뜰채가 아니라 새우뜰채죠~~
가끔 좌대 앞이 높아 물과 거리가 있을 때도 사용합니다.
4짜한마리 발앞에서 떨구면
담부턴 자동으로 펴게되있어요^^
개인 최대어를 뜰채없이 제압하다가 떨구면 얼마나 안타까울까요?
만약을 위해 뜰채는 손이 닿는곳에 놓아둡니다^^
뜰채망에 바늘은 그냥 포셉같은걸로 강하게 당깁니다.
저도 징크스가 있지요
맨날 뜰채 말리고 그냥 옵니다
안피면 불안하고 피면 대물이 안오고
난감합니다
뜰채는 요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아닐런지요
개인적으로 촘촘한 그물보다 완전 얼기설기 엮여있는 그물망이
괜찮은거 같습니다
뜰채사용안합니다 붕어보기도마니봤고 놓친경우도손가락안에들기에 굳이안기지고다닙니다 빠져나가면 그냥 잘살라하고 미니붕어나오면 지렁이나먹여서보냅니다 ㅋㅋ
바가지 넣어서 물 뜰때 사용합니다
뜰채는 원래 새우잡을때 쓰는거 아닌가요?
붕어는 그냥 들어뽕~
모든 분들의 댓글이 내맘같은건 왜일까요!?
^^;
뜰채는 그냥 들고 다니는 물건인걸로~~~~
경사진 곳이나 4짜 허리급 노쳐보면 뜰채
폅니다 저는 한방터에서만 폅니다
대물낚시처럼 원줄 카본 4.5호 목줄 모노 3.4호 같이 튼튼하면 뜰채 필요 없습니다


떡밥.옥내올림 같이 채비가 약하면 뜰채가 꼭 필요 합니다
저도 가장 먼저 틀채펴고 가장 마지막에 틀채 접습니다..보험과 같은 이치죠..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