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초보인 제 경헝을 몇자 적습니다
찌맞춤 정확히 하는것도 중요한데 멋진 찌올림을 보고싶을때 유의할 점은 물밑 바닥 상태인듯합니다
바늘이 평평한 바닥층에 잘 안착되었는지 , 경사진곳에 입수되었는지에따라 찌올림 틀리더라구요
그래서 낚시대 편성전 바닥상태 확인은 필수인듯합니다^^
찌 맞춤과 미끼 등 여러가지 찌올림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고 하지만
진정한 찌 올림은 4짜이상의 대물이 예신과 본신을 확실히 보여줄때.
진정한 찌맛을 볼 수 있는 거 같습니다.
꼬물거리는 1분정도의 예신을 두번 정도 보여주고, 2단의 숨막히게 저속으로
올려주는 본신으로 등줄기와 뒤통수가 짜릿짜릿한 순간을
느낄 수 있는 찌맛에 이은 챔질 후 밑걸림 처럼 묵직한 손맛과 몸맛
이것이 진정한 낚시의 목적이 아닐런지요...
붕어의 습성은 예나 지그이 같을겁니다.
태고적에도 붕어는 있었고, 지금도 붕어는 늘 그곳에 있지요. (인간의 욕심이 문제지여)
제가 드리고자 하는 예기는 사람이 변하고 있다는 예기죠.3.0대친 옆조사 께서 낚아내면 3.2-3.5대를피고 두대르피면 세대를피고
ㅋㅋ
속공에서 잘낚으면 띄워서 잡고 표층을하고 머 이런 식 아닐까여???
멋진 찌올림을 원하신다면 옛 방식 찌맞춤에 (기본 -- 쩜 무거운 찌맞춤 ) 원하시는 낚시대 한대만 드리우세여 3-5시간에 한번쯤은 시원한 찌올림을 보실수있을듯 남보다 더 잡고 십고 남 보다. 더 손맛을 보기위해 10-12대씩 다대 편성을 하시기보다 한대에 올-인 하신다면 분명 시원한 3맛( 눈 맛- 찌올림 .손맛-걸었을때의 느낌. 글구 마지막. 입맛 -매운탕 인데 요즘은 ㅋㅋㅋ)
을 충분히 느끼실수 있을듯 합니다.
바늘빼고 케미고무 하단에 찌맞춤 했을때
가장 이뿌게 올린적이 많았던것 같네요,,,,,
바늘만 빼고 나머지 채비에서 조금 무겁게 찌맞춤합니다.
\
제일 좋은 찌 맞춤이라고 생각합니다.
상황에따른 찌맞춤이 아닐까요?
중후한 찌올림은 부력이 다소 무거운 맞춤이
방정맞고 까불지 않아 졶아요
물밑 사정을 알기엔 좀무디도 찌올림은 약간무거운 부력
찌맞춤 정확히 하는것도 중요한데 멋진 찌올림을 보고싶을때 유의할 점은 물밑 바닥 상태인듯합니다
바늘이 평평한 바닥층에 잘 안착되었는지 , 경사진곳에 입수되었는지에따라 찌올림 틀리더라구요
그래서 낚시대 편성전 바닥상태 확인은 필수인듯합니다^^
낚시 당일의 상황에 따른 채비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좀 막연한 대답이죠..ㅎㅎ
그런데 어쩔 수 없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저수온기의 아주 예민한 상황에서,
멋진 찌올림을 보겠다고 무겁게 채비를 한다면 찌올림은 커녕 입질 조차 못받을 수도 있겠고,
반대로 활성도가 좋을 때 좀 가볍게 채비를 한다면, 잔챙이의 성화때문에 힘들어 질 수도 있는 거구요~
그 날 상황에 따라서 바늘, 찌 등의 선택.. 글고 좀 더 복잡시립게 한다면 봉돌을 분활해서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겠구요~
뭐.. 이렇습니다..ㅋㅋ
아무래도 이물감을 줄이는것이 낚시인이 할수 있는 최선인듯한데..
즉.. 찌맞춤과 목줄의 길이,미끼 등이 있겠죠^^
경험상...찌맞춤시 바늘을 달지않은 무바늘찌맞춤으로 찌탑한목에 찌맞춤하시고 2목이 나올때까지 수심을 찍고 그 후에 바늘을 달고 하면..(바람이 심하거나 대류,유속이 있다면 케미고무 바로밑에 찌맞춤하고 한목노출하세요^^)
입질이 들어올때.. 찌가 미세하게 조금 내려갑니다..대략 0.5cm~1cm(예신인듯합니다..)
조금후에 찌가 서서히 하늘로 쭈우우욱~~ 올라옵니다..
까부는 입질이 자주올경우.. 목줄을 조금더 길게 맵니다..
흡입시 이물감을 많이 느껴서 바로 뱉어버리는것같아서...(다분히 제 생각입니다..ㅇㅅㅇ;;)
미끼는.. 저의 경우 대부분이 떡밥낚시만 하는지라...ㅇㅅㅇ;;; 외바늘 콩알이 좋은듯하던데...
(선배님들 노하우 전수좀해주세요ㅠㅠ)
2. 무거운 찌맞춤을 한다. 캐미와 수면일치.
3. 외바늘에 콩알낚시
4. 단일봉돌 사용.
5. 8치급 이상 입질.
-다소 무거운 찌맞춤
-자중대비 부력이 낮은 찌(찌몸통 무게가 무거운 찌)
-부력중심이 하단에 있는 찌
-수심이 깊을 것
-단봉돌에 외바늘
-찌의 길이가 길 것
올해 멋진 찌올림 기원합니다.~~~
진정한 찌 올림은 4짜이상의 대물이 예신과 본신을 확실히 보여줄때.
진정한 찌맛을 볼 수 있는 거 같습니다.
꼬물거리는 1분정도의 예신을 두번 정도 보여주고, 2단의 숨막히게 저속으로
올려주는 본신으로 등줄기와 뒤통수가 짜릿짜릿한 순간을
느낄 수 있는 찌맛에 이은 챔질 후 밑걸림 처럼 묵직한 손맛과 몸맛
이것이 진정한 낚시의 목적이 아닐런지요...
특히 1M30cm 장돌찌 찌르가즘에 빠지면 못 헤어납니다..
태고적에도 붕어는 있었고, 지금도 붕어는 늘 그곳에 있지요. (인간의 욕심이 문제지여)
제가 드리고자 하는 예기는 사람이 변하고 있다는 예기죠.3.0대친 옆조사 께서 낚아내면 3.2-3.5대를피고 두대르피면 세대를피고
ㅋㅋ
속공에서 잘낚으면 띄워서 잡고 표층을하고 머 이런 식 아닐까여???
멋진 찌올림을 원하신다면 옛 방식 찌맞춤에 (기본 -- 쩜 무거운 찌맞춤 ) 원하시는 낚시대 한대만 드리우세여 3-5시간에 한번쯤은 시원한 찌올림을 보실수있을듯 남보다 더 잡고 십고 남 보다. 더 손맛을 보기위해 10-12대씩 다대 편성을 하시기보다 한대에 올-인 하신다면 분명 시원한 3맛( 눈 맛- 찌올림 .손맛-걸었을때의 느낌. 글구 마지막. 입맛 -매운탕 인데 요즘은 ㅋㅋㅋ)
을 충분히 느끼실수 있을듯 합니다.
새해 복 마니 받으시고 모든분 즈- ㄹ 낚 하시고여
498 하세염 . 안전이 최고.
줍기전에 버리지맙시다.
*^^*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활성도 좋을때 얘기고요
초봄이나 늦가을의 저수온기때 쓰면 입질파악시 어려움이 있을수 있습니다
찌맛을 우선으로하고 활성도 좋을땐 권장드립니다
중후한 찌맛을 보실수 있으실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