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목줄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질문 좀 드리려 합니다.

 

28대 카본 2호와 30대, 32대 카본 3호 쓰고있습니다.

카본 3호에 목줄을 당줄 2호를 사용하는데 노지 괜찮을까요?

당줄 2호 인장도는 10lbs 입니다. 

 

이번에 양어장 28대에 원봉돌채비 원줄 카본 2호와 목줄 당줄 2호와 무미늘 7호를 묶어쓰려 합니다. 

그리고 혹시 노지에서 무미늘 쓰시는분들 걸어서 빠지는 경우가 많을까요? 생미끼 보다는 대부분 떡밥 사용합니다.

많은 조언과 정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출하시고 비오는데 감기 조심하세요!


세미2.5호 당줄2호 무미늘(붕어7호)크기로 쭉 써왔습니다
챔질이 강하지 않으면 충분합니다
그야
어떤 유형의 포인트 &
어떤 유형의 낚시 스타일 &
어느 정도의 사이즈의 물고기를 목표(얼마나 만나기 힘든 희소가치가 있는 물고기를 대상어로 하는 지)로 낚시 하시느냐?에
따라 다르죠.

노지 낚시를 직접 해보시고, 추구하시는 낚시스타일에 맞춰서 유연하게 채비를 바꿔가시면 됩니다.

흔한 낚시방송만 봐도
30cm짜리 붕어만 잡아도, 계측자 가져와서 계측하면서
무려 월척씩이나 잡았다며 환호하며, 방송 분량을 사골 우려내듯 최대한 뽑는 진행자도 있고,
45cm가 넘어가는 누군가에게는 평생의 인생붕어급 붕어를 잡아도,
원하던 붕어가 아니라며 계측도 안하고,
오히려 시청자에게 "사이즈 대충 아시겠죠?" 이정도 멘트만 하고...
간단한 소감 이야기만 하고 물속으로 도로 보내주는 진행자도 있잖아요.

낚시는 지향하는 바와 추구하는 스타일이 전부 같은 게 아니니
남의 말은 그냥 참고만 하는 게 좋습니다.
탠션 유지해주면 무비늘도 빠지지 않습니다
낚시하다 바지같은데 걸려서 짜증난적이 많아
무비늘만 사용하는데
노지던 양어장이던 정흡이라면 랜딩중 빠진적 없습니다
지렁이 쓸때만 미늘바늘 쓰는데
빠질놈은 미늘 있어도 빠지더라구요
카본 3호에 목줄 당줄 2호는 노지에서 떡밥 낚시 시 충분히 사용 가능하며, 무미늘 사용 시에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카본 2호줄에 당줄 2호 쓰는데 부사호 낚시중
70~80 정도되는 잉어가 잡혔는데 당줄 터지지
않고 버텨 주더군요
1. 무미늘 바늘은 걸어서 랜딩중에 빠지는 경우는 잘 없고 고기에게 상처를 덜 주는 장점이 있지만 자동빵이 안 되며 수초등에 걸려 탠션이 끊기면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미늘이 있는 바늘보다는 강도가 조금 약합니다. 낚시하시는 곳이 양어장과 비슷한 환경이라면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으나 그렇지 않은 곳이 더 많으니 미늘이 없는 바늘보다는 미늘이 있는 바늘을 좀 더 추천드립니다.
2. 카본2호 줄과 당줄 2호면 자연지에서 충분합니다. 잉어도 제압합니다. 다만 수초낚시는 지양해주시고 채비 관리만 잘해주시면 됩니다.
3년전 부터 무미늘 바늘을 사용하면서 느낀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장점
1. 붕어에게 최소한의 상처만을 줄 수 있다.
2. 옷걸림과 낚시 바늘에 의한 부상의 정도를 줄일 수 있다.
3. 밑걸림에서도 용의하게 탈출할 수 있다.(주관적 견해)
4. 채비 회수 시 바늘에 딸려 나오는 청태, 말풀, 기타 이물질들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단점
1. 간혹 빠질 수도 있다. but 빠진 고기는 인연이 아니라고 생각하면 맘 편하고 손맛터에서 빠진 고기는 미늘이 없어서라기 보다는 아마도 설걸림이 주된 이유가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2. 종류가 다양하지 않아 원하는유형의 무미늘 바늘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
-> 기존 미늘 바늘의 미늘이 롱노즈 플라이어로 쉽게 제거되거 되므로 자신이 필요한 바늘 구입 후
제거하면 될 거라고 생각함.
3. 생미끼 운영 시 미끼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 옥수수의 경우는 이탈이 우려할 만큼을 아니라는 것을 필드에게 체감하였으나 지렁이 등의 살아 있는
미끼의 경우 아직 운영해 보지 않아 단정짓기 힘드나, 미끼 꿰는 방법에 따라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추측함.(나중에 실사용하게 되면 후기 올리겠습니다.)

결론
무미늘 바늘 운영하면서 우려했던 부분들이 사실과 다를 수 있다고 느꼈고 무미늘의 장점이 미늘 있는 바늘의 단점이라고 할 때 미늘있는 바늘의 단점은 대안이 없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장점이 우수한 무미늘 바늘을 붕어낚시에서 굳이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앞으로는 무미즐 바늘만 사용할 예정입니다.
당줄은 지긋한 힘에슨 잘견지는데 순간적인 힘에는 쥐약입니다. 저도 카본2~3호에 당줄을 쓰는데 챔질이 너무 강하거나 대물이 순간 째던가할때 잘터지구요. 바늘털이 할때도 조심해야 합니다. 2호로 70짜리 잉어도 잡아본적있지만 운빨도 약간은 있었고 불안한 느낌이 좀 있습니다. 3호정도 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카본이던 모노던 2호원줄에 당줄3호써도 원줄에 상처없으면 당줄이 먼저 나갑니다.
개인적으로는 당줄은 별로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저도 카본 3.5호에 당줄을 4호까지 써봤는데 실제 강도를 못내는것 같다는 느낌을 많이 받고 현재는 케블라줄로 넘어갔습니다. 다른 경험 많으신 분들도 계시지만 제가 느낀 당줄 단점이 순간챔질에 바늘귀 부분이 잘 터지구요(느낌도 없이 터져버리는 경우를 많이 경험했습니다) 그리고 물에 한번 들어갔다 나오면 고기를 걸지 않았음에도 다음에 낚시할때 다시 쓰면 많이 약해지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결국 저는 그냥 목줄 강하게 쓰자로 마인드 바꿨습니다. 목줄이 강하면 채비 손실이 걱정되지만 저는 고기를 택하고 채비를 포기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ㅎㅎ
저는 당줄을 사용한지 삼십년 이상 된것 같읍니다 40칸 이하는 원줄2.5호(그랜드맥스)에 기둥줄 4호 (당줄)목줄은 당줄2.5호를 사용합니다 줄을 자주 갈지 않는 게으름이 어쩔수 없이 이리 사용합니다 그리고 40칸이상은 카본원줄(그랜드맥스)3호를 기둥줄은 4호에 목줄은 2.5호 사용합니다 그래도 다른분들보다 조황은 조금더 낳은듯 합니다 처음에는 기둥줄도 3호를 사용했는데 조금사용하다 붕어 큰놈하나 걸면 기둥줄이 떨어저나가 홧김에 4호를 달았읍니다 밑걸림에 당겨보면 목줄 2.5호가 나갑니다 단한번도 원줄이 나간적 없었읍니다 그래서 카본줄을 선호 합니다 채비하기도 귀찬고 요즘 줄값도 만만치 아니하고 해서 무식한 채비를합니다 그래도 아직 남들보다 못잡거나 덜잡는경우 흔치 아니합니다 제채비는 좁쌀봉돌 채비 입니다 이채비는 다아시겠지만 밑바닥이 지저분한곳에서는 별로 이나 맨바닦에서는 최고의 채비 입니다 단 찌맞춤만 다소 가볍게 맞추면 찌올림폭 다른 여타 채비보다 월등 합니다 오래사용하다 보니 노하우도 생깁니다 제아들도 저와같은 채비 입니다 특히 합사줄로 기둥줄을해보았는데 원줄이 나갑니다 (기둥줄합사2호) 문제는 기둥줄 목줄을 당줄로 해보니 잘엉킵니다 나이가 많아 눈이 침침한데 한번엉키면 풀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어떤채비는 기둥줄은 모노필라멘트2.5호줄로 10센치를 만들어 사용하니 조금 덜엉키는것 같았읍니다 찌오림폭이 한두마디는 제눈에 보이지도 않읍니다 그런데 좁쌀채비는 찌올림폭이 많읍니다 올해는 경남사천의 어느저수지에갑니다 갈때마다 이박을하는데 10여수 이상씩은합니다 지난주는 이십수 이상한것 입니다 물론 대부분이 월척 입니다 그곳은 분석해보니 떡밥이 90프로 붕어의 입질을 좌우하더군요 붕어가 잘받아 먹는 떡밥이 따로 있읍니다 벌써 올해 그저수지를 7번째 출조 하는것 같읍니다 오늘도 출조해야 하는데 아들이 몸살로 누워 있어 이번주는 틀린것 같읍니다 해당저수지는 긴대가 잘나오더 군요 40칸이상 사용합니다 올해는 유난히 바람이 많이 불어 밤에도 힘든경우가 많았읍니다 이모든경우 제개인 사견입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