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척 선배님들 안녕하십니까?
궁금한점이 있어 이렇게 글로 질문 드립니다.
얼마전에 붕어 대물터에 낚시를 갔었습니다. 열심히 낚시중인데 지나 가시던 한 조사님께서
저의 채비를 보고 한마디 하시고 갑니다 목줄이 너무 짧아 대물잡기 어렵겠다고하면서요.
저는 시간적인 여유가 많지 않아서 월 2~3회 정도 집과 가까운 곳으로 출조 합니다.
참고로 낚시점에서 판매하는 묶음바늘 (무미늘) 사용하며 떡밥위주로 낚시합니다.
항상 안출 하시고 어복 충만 하십시요!
목줄 길이에따른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 Hit : 2397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39
원줄 굵기든, 목줄 길이든
본인 스타일에 맞게 하는것이지.
남의 채비 가지고 이렇네 저렇네
목줄 길이가 아니고 그분의 혀 길이가 문제인것 같습니다.
목줄이 짧으면(저수온기,흔히3~5cm)사각 지대를 줄이는
만큼, 그만큼 봉돌에 대한 이물감을 빨리 느낄것이고,
목줄이 길면 길수록
(활성도좋을때5~10cm,긴목줄채비~25cm)
사각지대가 커지지만 이물감은 한템포 더 느려 집니다.
목줄이 합사 줄이 아닌한, 긴 목줄이 인장강도가 더 좋습니다.어떤 채비든 미끼든 본인이 편하신대로
가장 낫다고 생각 하시는 대로 채비하십쇼.그게답입니다.
정확한 답을 찾아 낚시를 한다는 것은,
아마 평생 풀수 없는 숙제와도 같다고 봅니다.
슈퍼프로님께서 현재 쓰고 있는 채비로 조과가 좋으시다면 그대로 쓰시고 입질이 없고 조과가 안 좋다면 길게도 써보시고 스스로 해보시면서 적용하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바늘없이 낚시님 말씀처럼 답은 없습니다. 남의 채비 가지고 왈부왈부 하시는 분들 치고 제대로 된 조사님 못 봤습니다. 자신만의 경험과 노하우로 채비에 믿음을 가지세요!
붕어가 채비를 보고 미끼를 물까요 아니면 목줄길이를 보고 미끼를 물까요. 아니겠죠.
떡밥낚시의 특성상 부드럽고 잘 풀리기에 긴 목줄은 오히려 바늘등의 이물감을 느끼고 뱉어내는 시간을 찌에 표현하는 시간이 짧을 수밖에 없는데요.
묶음바늘 기성품이 과연 아무 생각없이 그정도 목줄을 쓰는 건 아니고 오랜 검증을 통해 소비자가 요구하는 수준으로 맞춰나오는 거겠죠.
대물붕어는 대물있는 곳에서 낚시하면 대물붕어 나오죠. 미끼를 생미끼나 옥수수를 써서 흡입시간이 길거나 과감한 입질을 유도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긴목줄은 오히려 득보다 실이 많은 거죠.
미끼의 종류에 따라 목줄길이를 조정할 수는 있지만 긴목줄이 무조건 유리한 건 아니라고 봅니다. 안출하세요.
몇가지 길이별로 묶어서 갖고 다니다가 현장 상황에 따라 교체해서 씁니다.
활성도가 좋고 바닥이 깨끗할 때는 아무거나 쓰고,
그렇지 않을 때는 긴 목줄 중에 선택해서 씁니다.
제 개인적인 기준이니 정답이라곤 할수 없습니다.
낚시하시다가 답답할 때 참고하십시오.
저는긴목줄선호합니다
40~60까지씁니다
바닥낚시든옥내림ᆞ올림
미끼상관없이목줄은같이쓰네요
조과는제일좋은편입니다
항상 안출하시고 기쁨 가득하시길 소원합니다.
저렇게도 해보고
나의 스타일을 찾야서 하시면 됩니다
남들이 한다고 다 맞지도 틀리지도 않는게 낚시입니다
채비에 변형을 주어서 해보고 시행착오도 겪고 하는 즐거움은 낚시를100배 즐겁개 할 것입니다~~^^
채비를 바꾸면서 줄메고 준비하는 그 시간이 얼마나
설레이고 좋은지 그 자체가 힐링입니다.
초보인 나만 그런가
그지나가는 사람이 님에 미끼를 물어주는게 아니고
미끼는 붕어가 물어줍니다
붕어가 긴목줄 써라 짧은줄써라 하지않을때에는
자신에 채비를 믿고 쓰세요^^
기록은 옥내림46.5cm입니다
옥내림하시면 나이 지긋하신 조사님들오셔서
옥내림이 예민하고 고기는 잘잡는대
대물은 못잡어 바닥해야 대물이 나오지 하십니다
무슨 근거인지..피식하며 웃고 넘깁니다
쪼매 안다고 훈수합니다
수심 낮출때 멈춤 고무를
위에서 부터 내려서
수심 맞추라 고집 합니다
그렇게 할려면 저나하지
낚시를 하다보면 깊은곳 에서
할때도 있고 수심이 낮은데서도
할때가 있는데 말 입니다
그사람도 오지랍이 많은
사람인것 같습니다
제주위에 있는 어떤 사람처럼요 ㅎㅎ
얇으면 스트레스만 늘지요.
낚시인의 금기어
1. 남의 채비에 주둥이질
2. 많이 잡으세요.- 이말 듣는 날 손맛 본적이 없습니다.-그냥 안전출조하세요 가 좋겠다.
3. 어제는 많이 잡혔는데.
누구의 채비를 가지고 왈가왈부할 수 없는거죠~ 고기는 잡기만 하면 되는 겁니다.
대물.. 잘만잡았습니다 하구요 ㅋ
맞는지는 개인이 판단하세요
먹이와 봉돌이 짫으면 즉목줄이 짫으면 어신은 빨리오지만
예민한대물은 이물감 대문에 즉시 베터벌릴수있읍니다
너무짫은 목줄보다는 적당한목줄이 유리하지않을 까요
바닥이 지저분하면 길게 쓰고있습니다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무시하세요
낚시현장에서 답은 없어요
변수가 무한대이기에 우리가 그걸 일일이
맞추는것도 힘들어요
고수들은 많은경험을 통해 그변수에 조금이라도 가깝게 대응하는거 같습니다
님께서도 많은 시행착오와 실수에서 얻은 데이터로.자신만의 스타일 낚시를하세요
조언은 고맙지만 훈장이나 훈수 참견하는 사람중에
조과좋은 사람 못봤습니다
그 낚시터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일수도
있지 안을까요
바닦이 아주 지전분하면 보통 목줄을 좀
길게 쓰자나요 저도 외 길게 쓰는지 이유는
정확히 모르지만 ㅋ
우리 나라분들 낚시좀 한다힌면 장비좀 좋타하면
이렇다 저렇다 훈수왕이조 마치 낚시 통달한것
처럼
주어진 환경에따라 붕어들의 입질패턴이 다 다름니다
목줄을 짧게써야할데도있고 길게써야할데도 있느겁니다
채비도 예민한채비가 만사형통한것이 아니고
둔탁한채비가아니면 안통하는곳도 있듯이
붕어낚시는 지역에따라 계절에따라 그날일기에따라 채비방법이 다르듯이
교과서같이 답이없고 낚시하면서 항시 배워가는겁니다
항상 안출하시고 어복 충만 하세요!
바닥상태나 활성도등에 따라서 채비변환의 기준이랄까?
웃기죠? ㅎㅎ
편하신대로 하세요..
정답이있음 조구사에서 미치지 않고서여 짧은목줄을 만들겠습니까?
낚시뿐만이 아니라 인생이나 삶에 대해서도 ..
가르치려들지좀 맙시다
인생이고 낚시고 ... 정답없어요
자신의채비를믿고 낚시를하시다보면 고수가됩니다
흔적 없이 철수하시는분들이었습니다.
목줄이 짧으면 당연히 사각지대 줄어듭니다. 그리고 빨아들이고 나서 이동하기 전부터 찌의 움직임이 시작되고 그 후 붕어의 뜻대로 이물감이 있으면 뱉어내고 아니면 쭉 올리겠지요.
그래서 이 경우는 챔질 타임이 초반 아니면 후반 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바짝 찌를 주시하면서 다소 빠른 리액션을 필요로 하니까 낚시대 수가 많을수록 힘든거지요. 그래서 대물낚시에 부적합하다는 거구요. 목줄이 길면 초반 챔질타임은 없다고 보면 됩니다. 붕어가 고민 다하고 확실히 삽입해서 올린거니까 느긋하게 챔질타임이 후반에 주어집니다. 그래서 다대편성시는 이렇게 목줄이 긴 것이 현실적입니다. 10대를 피곤하게 쪼아볼수는 없는 거니까요. 이렇게 목줄이 길면 입질이나 활성도가 낮아진 경우나 수심이 많이 낮아서 고기의 상승운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는 분명히 입질은 있었는데 찌에는 안나타나는 사각지대를 감수해야합니다.
그래서 예신과 본신의 예민한 입질을 즐기는 6대 이하인 경우 목줄을 6-7cm 10대 이상의 다대편성시는 느긋하게 목줄 길게 사용합니다. 즉, 낚시 스타일과 관련이 많다고 봅니다.
그분이 왜 그런 말을 하였을까? 부터 생각해 볼것입니다
그분이 옆에서 채비가 어떻고 저떻고 간섭하여 설교도 한것도 아니고
그분 나름대로 보고 느낀것이 있어서 도움이 되라고 말해준것라고 생각합니다
또 만난다면 목줄 길이를 물어보고 싶네요
파는 2봉 바늘의 목줄은 대부분 좀 짧다는 나의 생각이며
오늘날까지 조금 길게 매서 사용 합니다
채비 준비도 낚시의 즐거움에 하나일 수도 있고요.
채비는 항상 고기가 잘 잡히면 믿음이 가는데,....
안잡힐때 특히...앞과 옆에서는 잡는데 나만 못 잡는다면...더욱
본인에 채비부터 의심을 하죠..^^
지나가는 꼴불견 조사님일수도 있고, 현지상황을 잘 아는 조사님일수도 있습니다.
채비는 항상 정답이 없기에 고기가 안잡힌다면, 현지에 잘 잡는 조사님들에 조언도 중요한 요소가 될수 있습니다.
미끼 채비 등등...정말 무시할수는 없습니다.
고기가 잘 잡힌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지금 내가 앉아있는곳에서 고기가 안잡힌다면,
고기가 없거나, 고기가 있는데, 내가 어복이 없어 못 잡거나, 실력부족일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채비 운용은 낚시를 즐기는 하나의 요소라 생각하신다면, 이것저것 바꿔보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