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목줄 색깔과 조과 영향이 있을까요???

시중에 나오는 합사 목줄을 보면 거의가 밤색이고 pe합사나 당줄보면 여러가지 색상이 있습니다.... 전에도 이곳 월척에 올라왔던 질문이긴 하나 다시한번 궁금증에 질문 드립니다... 바닥 낚시에선 목줄이 바닥에 완전히 눕게 되는데 과연 목줄 색깔에 붕어가 반응을 할까요??? 솔직히 당줄을 동생것까지 구입했는데 완전 무지개 색상으로 와버렸습니다 ㅜ.ㅜ

그냥 제...경험으로만 말씀드립니다...저는 별루 상관 없던대요^^*

혹....다른분들은 어떠실찌.....!!!
물속의 바닥을 상상해 보면 짐작이 가겠는데요.
수초 침전물 ,물의 탁도....줄 색깔은 붕어가 구분이 어려워
조과와 무관하다 생각합니다.
군계일학 좁살채비를 보면 색상이 다 틀지지만
조과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무관하다 라고생각됩니다. 추측으로는 색맹에다가 명암만 구분하지 않을까싶내요. 글루텐 빠른입질 보면 아무래도 붕어가 바닥에서 잘찾는듯한 느낌이랄까.
군계일학 성사장님이 예전에 올리셨던 좋은 자료가 있어 첨부로 대신합니다.^^

붕어는 밤중에도 목줄의 색상과 굵기를 구별할 수 있는가?
답은 YES인것 같습니다^^
붕어는 색맹이므로 인간과 같이 총천연색으로 보지는 못하지만
명암으로 낮에는 색상과 굵기를 모두 감지하고,
밤에는 색상은 몰라도 측선으로 굵기는 감지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전에도 답변드렸던 몇가지 관련 실험을 인용해 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험1. 떡붕어의 색상 구분 실험(일본 마르큐 떡밥연구소)

(실험방법)떡붕어가 들어 있는 어항에 노랑, 빨강, 파랑색 떡밥그릇을 넣되,
노란색 그릇에만 먹이를 담고 매번 넣을 때마다 그릇의 놓는 위치(순서)를 바꾸었습니다.

약 3개월 후 붕어의 경계심이 거의 없어진 상태에서
아무것도 담지 않은 세개의 떡밥그릇을 넣고 붕어의 반응을 관찰하였습니다.

(실험결과)세 그릇 모두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떡붕어들은 평소 먹이가 담겨져 있던 노란색 떡밥그릇 주위에 모두 모여 들었습니다.
세 그릇의 위치(순서)를 바꾸어 보아도 결과는 동일 하였습니다.

이 실험을 통하여
떡붕어는 색상을 구별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험2. 토종과 중국붕어 대상 색상구분 실험(군계일학 연구소)

당사의 대형어항에 토종과 중국붕어 10여 마리를 넣어 놓고 약 7년 동안
갖가지 실험을 해 보았는데,
그 중 하나가 색상의 구분 및 좋아하는 색상에 대한 실험이었습니다.

(실험방법) 나무젓가락 7개의 끝을 '빨주노초파남보'로 각각 칠하고
어항의 밖에서 유리에 대어 보며 붕어의 반응을 관찰하였습니다.

(실험결과) 일곱가지 색상의 젓가락을 하나씩 유리에 대어 보면
빨주노 색상의 젓가락에는 붕어들이 접근하여 먹으려고 입을 벌리는데,
초파남보 색상에는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 실험을 통하여
붕어는 나름대로 색상을 구분하고(볼수 있는 색상과 볼 수 없는 색상이 있는 것 같고)
특히, 빨강색 계열을 확실히 인식하며 강항 공격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실험 이후에 저는 낮에는 꼭 빨강색 계열의 딸기글루텐을 사용합니다^-^)


실험3. 떡붕어 대상 낚싯줄 인식 실험(일본 마르큐 떡밥연구소)

(실험방법) 떡붕어가 들어있는 수족관을 깜깜한 방에 놓고
수족관에 "건드림 감지장치"를 세팅한 낚싯줄을 분산시켜 장치한 다음
바닥에 떡밥을 놓아 둔 채 밤새도록 낚싯줄을 건드리는 횟수를 세어 보았습니다.

(실험결과) 다음날 확인해 보니 떡밥은 모두 없어졌지만 낚싯줄은 전혀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이 실험을 통하여
붕어는 캄캄한 상황에서도 장애물(낚싯줄)을 피해가며 교묘히 먹이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붕어와 잉어등 잉어과의 물고기들은 측선이라 불리는 옆줄이 있는데,
측선은 장애물을 감지하고 수압, 진동, 조류 등 외부변화를 감지하는
고성능 센서역할을 합니다.

이상의 실험을 종합 해 보면
잉어과의 물고기는 비록 흑백일지라도 색상을 나름대로 구별할 수 있고
특히 빨강색 계열에 빠른 반응을 보이며,
1호이하의 가는 줄도 시각과 측선을 통하여 감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람의 눈에는 아주 가늘게 보이는 바닥낚시 목줄도 붕어의 눈에는 동아줄과 같이
굵은 줄로 보이지 않을까요^-^

내림낚시나 중층낚시에서 붕어의 활성도가 떨어지는 한겨울에는
목줄 끊김이나 잦은 트러블을 감수하고서도 0.5~0.6호 원줄에, 0.2~0.3호의 가는 목줄을
사용하는 이유도 한번쯤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당줄을 즐겨 사용하고 있는데요..
경험상..조과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듯 합니다..걱정 뚝!!^^
색상을 구분할줄 안다해도 투명이나 황토색만 먹는것은 아니지않나 싶습니다.
먹잇감 보고 먹겠지 설마 실 색깔보고 먹을까요?
낚시줄...
1. 모줄의 색상은 아무련 상관이 없습니다.
2. 색상 구분없이 선호하는 색상을 사용하십시요.
붕어가 색상을 구분할수있다는것에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목줄, 봉돌, 바늘등을 구별할수 있을정도로
머리가 좋지는 않습니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좋을듯합니다.
컬러를 정확하게 다 구분하는 동물은 지구상에 몇 안됩니다

한두가지색을 구분못하는 색맹이거나 명암만 구분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목줄의 두께는 상관이 조금있겠지만....색갈은 별로..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붕어는 흑백으로만 보이니까요. 걱정마세요.
사용해본결과 색깔은 별로 중요치않고여 굵기만 좀 차이가나는건 확실합니다^^대신 장단점이 있겠져 너무가늘면 잘터진다는 ㅎㅎ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