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합사줄에 비해 카본줄과 모노줄이 더 빳빳하죠! 따라서 붕어가 이물감도 더 느끼게 되어 조과에도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허나 이역시 상황에 따라 접근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초지역이라면 채비 안착이 제일 우선시 되기에 이런 경우엔 부드러운 합사줄 보다는 보다 뻣뻣한 카본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허나 양어장과 같은 유료터에서의 대체적으로 짧은 입질을 보이는 붕어들에게는 부드러운 합사줄이 유리할 테고요...
결국 낚시라는게 목줄이든 원줄이든 낚시대가 경질이든 연질이든 간에... 상황에 따라 본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적용해서 보다 확률을 높여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장의 조과에 연연하기 보다는 이것저것 실험도 하시고, 경험도 쌓아 가시면서 보다 멀리 내다보시다 보면 어느샌가 그날 상황에 최적화된 자신만의 채비를 하게 될 수 있으실 겁니다. 그러면서 좋은 조과에 얼굴엔 미소를 머금게 될테구요^^
부디 긍정적으로 고민하시고, 안출하시어 498하시길 기대해 보겠습니다^^
아 제 경우를 말씀 안 드렸네요 ;;
수초지역이나 바닥이 깨끗하지 못한 곳에서는 채비손상을 줄이기 위해 원줄보다 한 두호수 낮은 같은 제품의 카본이나 모노줄을 목줄로 사용하면서 안정적인 채비안착과 미끼가 함몰되지 않도록 운용하고 있으며,
장애물이 없고 바닥이 깨끗하다면, 합사중에서도 더욱 부드러운 당줄(양어장 2호, 자연지 3호 정도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 당줄이 부드러우나 순간적인 힘에 약하여 종종 터지기도 하니 부드러운 챔질이 필요합니다.
참고 되셨으면 좋겠네요^^
목줄이 부드럽고 길면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할때 이물감을 젤 적게 느끼는데...부드러운 합사 목줄을 길게 하는것이 가장 이물감을 덜 느낄 것 입니다.
그러나 합사목줄을 길게 하다보면 목줄 엉킴이 심해져서 피곤한 낚시가 됩니다. 그래서 원줄보다 한두호수 낮은 모노나 카본 목줄을 좀더 길게 하여 이물감을 덜 느끼게 사용합니다.
바닥이 뻘이나 퇴적물로 인해 지저분 하다면 짧은 합사 목줄은 미끼가 바닥에 함몰되어 입질 받을 확률이 떨어지니 모노나 카본사로 목줄을 좀더 길게하여
미끼 함몰을 예방 할 수 있으며, 바닥이 마사토등으로 깨끗하다면 부드러운 합사 목줄의 입질이 깨끗하고 부드럽습니다.
허나 양어장과 같은 유료터에서의 대체적으로 짧은 입질을 보이는 붕어들에게는 부드러운 합사줄이 유리할 테고요...
결국 낚시라는게 목줄이든 원줄이든 낚시대가 경질이든 연질이든 간에... 상황에 따라 본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적용해서 보다 확률을 높여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장의 조과에 연연하기 보다는 이것저것 실험도 하시고, 경험도 쌓아 가시면서 보다 멀리 내다보시다 보면 어느샌가 그날 상황에 최적화된 자신만의 채비를 하게 될 수 있으실 겁니다. 그러면서 좋은 조과에 얼굴엔 미소를 머금게 될테구요^^
부디 긍정적으로 고민하시고, 안출하시어 498하시길 기대해 보겠습니다^^
수초지역이나 바닥이 깨끗하지 못한 곳에서는 채비손상을 줄이기 위해 원줄보다 한 두호수 낮은 같은 제품의 카본이나 모노줄을 목줄로 사용하면서 안정적인 채비안착과 미끼가 함몰되지 않도록 운용하고 있으며,
장애물이 없고 바닥이 깨끗하다면, 합사중에서도 더욱 부드러운 당줄(양어장 2호, 자연지 3호 정도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 당줄이 부드러우나 순간적인 힘에 약하여 종종 터지기도 하니 부드러운 챔질이 필요합니다.
참고 되셨으면 좋겠네요^^
그러나 합사목줄을 길게 하다보면 목줄 엉킴이 심해져서 피곤한 낚시가 됩니다. 그래서 원줄보다 한두호수 낮은 모노나 카본 목줄을 좀더 길게 하여 이물감을 덜 느끼게 사용합니다.
바닥이 뻘이나 퇴적물로 인해 지저분 하다면 짧은 합사 목줄은 미끼가 바닥에 함몰되어 입질 받을 확률이 떨어지니 모노나 카본사로 목줄을 좀더 길게하여
미끼 함몰을 예방 할 수 있으며, 바닥이 마사토등으로 깨끗하다면 부드러운 합사 목줄의 입질이 깨끗하고 부드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