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곳에서 자주 정보를 얻는 초보올림꾼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처음 수심-->부력을 맞추고 찌를 던지는데 찌가 잠겨서 몸쪽으로 당겨 다시 놓은니 처음 맞춘곳으로 돌아오는 현상 or 더 떠오르거
나 미세한 차이 때문인데요!!
무거워서 수직이 되기전에 사선이 져서 그런건가요?? 찌맞추고 낚시대 던지면 자주 이런 경우를 경험합니다.
그래서 자주 처음 수심 측정한 곳을 여러번 고치게 되네요!! 부탁드립니다.
채비는 분할 구슬 채비입니다.
무거운채비 or 사선=둘다 일까요??
-
- Hit : 469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댓글 달다가.....
키보드 잘못 눌러서 다 날아가 버림......... 제겔슨....
1. 가벼운 채비
2. 찌 맞춤 실패
3. 조류의 영향
이렇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번의 경우 수조 찌 맞춤과 현장 찌 맞춤인지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 검색하면 다 나옴 -
2번의 경우 찌 맞춤시 캐미를 달았느냐 달지 않았느냐의 차이인데....
캐미를 안 달고 찌 맞춤을 하고 난 다음 캐미를 달면 상부쪽에 부력이 증가되어(캐미를 부착시)
찌가 조금 더 상승합니다. (올림낚시 상태)
3번의 경우 조류의 흐룸에 의해서 볼돌이 움직이는 경우 입니다.
특이사항으로 수조 맞춤일 경우 미끼의 무게에 따라 올림낚시가 되는냐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사항은 패스~~~~~~
맞춰지는게 보편적이구요 . 경사진 바닥상태에서 그런모습을 보일수있고 ,
당겼을때 그런모습을 보인다면 예민한 채비 가벼운 채비에서 떡밥을 크게 달아서가 아닌가 생각을 해보네요 .
찌부력이 찌아래채비들 미끼까지 다해서 수직선선상으로 채비가 정렬되기전에 무거운 떡밥무게로인해
사선으로 먼저 안착이 되는경우입니다. 예방법은 미끼를 작게 다는경우와
또는 투척할때 조금 부족하게 앞치기로 투척하시거나 투척후 낚시인쪽으로 당겨놨다가
놓는방법입니다 .
우선 1. 현장찌 맞춤을 합니다.
2. 캐미/바늘 다달고 or 바늘만 빼고
3. 아직 조류는 잘모르겠구요 수심이 2-3M권입니다.
전주조사님 말씀대로 제 체비가 분할이다보니 채비가 가볍워 떡밥에 또 신경을 안썼네요..!!
요즘 집어에 신경쓰다보니 처음 쌍바늘에 엄지만하게 달고 외바늘로 바꾸는데요..다시 떡밥 크기만 바꿔 던져봐야겠네요!!
초보도 왕초보인 저는 어떻게 해야할지.ㅋㅋㅋ
현장에서 자세히 배워야만 확실 합니다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 합시다
붕순이는 나랑 놀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