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프리챌입니다.
저희 동네에 조그마한 평지형 소류지가 (약 500평 규모)있습니다.
이 소류지는 화성에 흐르는 황구지천물을 작은 소류지에 받았다가 농번기때 퍼올리는
양수형 저수지입니다. 바닥은 모래와 자갈로 되어있지만 물이 마른적은 없습니다.
이 소류지에 당연히 황구지천물을 그대로 받아 들이므로 배스가 살고 있을거라고 추측은 하지만.. 루어꾼들이 낚시는하데
배스를 잡는것은 한번도 본적이 없으며 이 곳에서 낚시를 하다보면 어쩌다가 한번씩 잡히는 붕어들은 거의 3치-5치입니다.
그런데 지렁이, 다이와삼합 글루텐, 옥수수, 새우, 메주콩 이것 저것 다 써봐도 배스터에서 월척 올리기 만큼
3치 5치 녀석들도 입질 받기가 하늘에 별따기입니다.
주위에 사시는 분들의 낚시 하시는 모습을 보니 지렁이를 토막내어서 아주 작게 바늘에만 끼워서 사용하여 2치 3치짜리를 잡으시더군요.
어르신들께 이 소류지에 물이 마른적이 혹시 있나 여쭈어보니 여기는 지금껏 물이 마른적이 한번도 없다고 하시더군요.
그려면서 하시는 말씀이 잔챙이 들만 나온다며.. 큰녀석들을 잡는걸 한번도 본적이 없다고하시더군요.
근데 참 신기한게 어떻게 5치 이상 큰 붕어들이 안나오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 작은 소류지만 지금껏 40회 이상 나가 보았지만 딱한번 60센티 정도 되는 잉어 1수 해본게 전부이고 붕어는 모두 5치 이하입니다.
미끼를 바꾸어도 보고 밤낚시 낮낚시를 다해봐도 마찬가지이고...얼음낚시를 해봐도.. 잡혀 올라오는건 5치 이하입니다.
날씨 따뜻한날 소류지를 걷다 보면.. 무슨 새끼들인지 어린 물고기 새끼들이 가득하다가 인기척에 놀라 도망 다니곤 합니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1. 이런 소류지에 정말 배스가 살까요? 배스가 산다면 확인 방법이 멀까요?
(지금껏 이 소류지에 낚시로 잡아본 어종은 붕어와 가물치가 전부입니다. - 지렁이 낚시에도 배스는 올라오지 않았습니다.)
2. 만약 배스가 산다면 어찌하여 작은 물고기들만 잡힐까요?
3. 이 런곳은 도대체 어떻게 공략하여야 할까요?
선배님들의 가르침 부탁 드립니다.
병점 인근에 사시는 분들은 거의 알고 있을듯 하여 해당 소류지의 주소를 올려 봅니다.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71-35
문제가 되면 자삭 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의]동네 무명 소류지 낚시 방법 문의
-
- Hit : 3190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대물은있을껍니다 ^^
헝태적분류, 계곡형, 평지형같은.....
크기에 따른 분류, 잔챙이터, 대물터, 사짜터 등...
그런곳을. 씨알이 좋은곳, 반대로 씨알이 잔곳이라고도. 하지요
몇년전에 6치 위주로 나왔다면
지금 기준으로 보면 그 것들이 성장해. 월척급 이상으로 많이 잡 혀야 이론상 맞지만
여전히 그런곳은 지금도 6치 위주의 잔쳉이 터일 뿐이죠
프리챌님의 둠벙도
영원히 잔챙이터로 남을 확률이 높다고 여겨 집니다
그 원인으로
모래와 자갈의 바닥 상황도 안죻고
크기도 작을 뿐더러 꾼의 손도 많이 타고
모르게 그물질, 밧테리질 가끔 당하고,
작은관로 형태의 펌핑도 대물고기유입에 좋지 않고...
아묺튼 여러가지 요인이야 있겠지요
둠벙이 작더라도 뻘이나 수초가 좋거나
유입통로가 이어지거나, 크거나
아님 강물이 범람 하는 곳 같은데가
씨알 좋은곳이 많 은데,..
배스도. 큰 영향을 주는데
그 둠벙은 아직 큰 배스가 귀한 모양 입니다
건투를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