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물 속으로 들어가 보고 싶은 심정

이런 경우들 경험해 보셨나요? 찌를 두 세마디 딱 올려 놓고 내려가지도~~~ 올라 가지도~~ 마냥 기다리기도~~ 이건 왜 그런 건가요? 갑자기 무중력 상태가 된 것도 아닐 것이고.... 챔질하면 백발백중 헛챔질인데... 무슨 이유로 찌가 떠서 버티고 있는지 정말 궁금합니다... 설마 붕어가 머리로 봉돌을 이고 받치고 것은 아닐 텐데... 아ㅜ~~ 궁금해..@#$%^*&

사선입수 상태에서 잔챙이가 건들이면서 사선입수 풀린거 아닐까요?^^
월이오겐님...ㅎㅎ
예 그럴까봐 최대한 수직입수 시켜도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데

어떨 때는 손가락 만한 빠가사리 걸려있을 때도 있었내요^^
저부력찌를 너무 가볍게 맞추고 낚시하다 무엇인가 건드리면 올라 왔다 내려 가지 않는 경우는 당해 봤습니다.
물속은 대리석처럼 1mm의 오차도 없이 반반(평평)하지 않습니다.
원래 떨어졌던 바닥보다 3~5cm 높은 곳으로, 물속 생명체가 끌고 가다가 미끼를 버렸다는 결론이 되지 않겠습니까.
입질후 봉돌 위치가 바뀌면서 수심이 미세하게 변한것입니다.
물속은 맨땅처럼 평평하지가 못하자나요?ㅎㅎ
떡밥시 풀려서 치고 올라오는 경우도 있구요 잡어가 건들여서 봉돌위치가 변하여 수심차가 변하는 것도 있습니다..

가만히 올려놓고 있는다고 하는거 보니..

이런경우도 있습니다. 투척시에 침강 속도가 있으니 캐미까지 박혓다가 캐미와 표면장력에 의하여 못치오 올라오다 캐미 대가리에 물기가 마르니 저런 평형 상태가 깨지면서 실제 수심 맞춤한 만큼 기여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말 아다리가 잘 맞아야 나오는 현상이긴 한데요 초저부력 찌면 가능성이 있습니다..

찌톱 2 ,3 마디 차이로 고기의 입질을 파악하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낚시는 세세한것 하나까지 고민하기 시작하면 답없습니다..

믿음을 가지고 기다리면 올려줍니다.
수심이 좀 있는곳에서 사선입수 된후 집어제가 풀려서 올라 온건 아닌지요??^^
안착후 낚시줄의 하중이 걸렷던게 풀리던지 바닥상태에 따라 다른것 같습니다....
당진에 대물터라 불리는 모 저수지.

때는 10월.

미끼는 글루텐

수심 60센티

밤까지 바람이 불던 날.

1.7칸 맥스 향어대로 부들속에 던져 놓고 4-5시간이 지난 후

바람으로 인한 물결때문에 케미가 잠겨있었는데...언젠가 모르지만 두어마디 올라 와 있습니다.

'어라, 저게 언제 올라왔지'하다가...아차, 순간적으로 챔질을 합니다.

엄청난 물결이 일어 나면서 끌려 나오는데(4호 원줄, 3호 목줄)...그 짧은 대가

그렇게 다루기 힘들다는 느낌이 듭니다.

결국, 발앞 물속에서 남아있던 부들에 걸리면서 핑~~~~~~잠시 멍 때립니다...

스스로 위로합니다. 에이...떡붕어일거야...맞아....작년 이 맘때 그 형님이 잡은 43짜리는 아닐거야..ㅎㅎ
떡밥시 풀려서 치고 올라오는 경우도 있구요 잡어가 건들여서 봉돌위치가 변하여 수심차가 변하는 것도 있습니다..

가만히 올려놓고 있는다고 하는거 보니..

이런경우도 있습니다. 투척시에 침강 속도가 있으니 캐미까지 박혓다가 캐미와 표면장력에 의하여 못치오 올라오다 캐미 대가리에 물기가 마르니 저런 평형 상태가 깨지면서 실제 수심 맞춤한 만큼 기여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말 아다리가 잘 맞아야 나오는 현상이긴 한데요 초저부력 찌면 가능성이 있습니다..

찌톱 2 ,3 마디 차이로 고기의 입질을 파악하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

낚시는 세세한것 하나까지 고민하기 시작하면 답없습니다..

믿음을 가지고 기다리면 올려줍니다.
몇년전 오후 4시경에 그런경험이 있었읍니다
여기저기 문의해 보니 대류현상이라고 하더군요 해떨어지고나니 그런현상이 사라졌읍니다
무거운 찌맞춤을 권하고 싶네요
군위 비들지가 대류가 좀 심한편입니다.

떡밥달고 1~2분있으면 찌가 쪼금씩 올라옵니다.

챔질할만큼의 찌올림도 아닙니다.

어느새 찌는 두세마디 올라와서는 가만히 멈추고있습니다.(베스가 많아서 잔챙이는 없어요)

사람 돌아버립니다.....

해지고 나면 요런 현상이 없어지네요.

모두들 대류현상이라고 하네요.
제가 그런 경험이 있었습니다. 대물낚시에 스위벨채비를 한답시고 했다가 6대중 1대만 그러더군요.지렁이와 떡밥으로 미끼를 썼구요. 밤새 그러다가 아침에 찌맞춤을 확인해보니 엄청 가볍더군요. 밤에 찌가 올라왔던만큼 찌톱이 나올정도로 가벼운 찌맞춤이었습니다. 약 2마디정도. 결론은 가벼운 찌맞춤과 사선입수였습니다.
찌맞춤이 문제인듯 합니다.
퐁당채비도 붕애들 잘올려줍니다.
징거미의 입질이 붕어입질과 비슷하다고 하나 저의 경우에는 말씀하신 경우와 같은 입질을 대류현상이 아닌 징거미에게서 받은 적이 있습니다.

대류현상이라면 동시에 모든 낚시대에서 거의 동시에 같은 현상이 일어나야하는게 맞는 것이겠지만, 8대의 낚시대가 시간 차이를 두고 그런

입질을 보인다면 대류현상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겠지요. 그 낚시대 언저리에 채집망을 던져보면 징거미가 여러마리 들어오더군요.
비슷한경험했는데요 소류지잘아는분이 그런입질에사짜올라왔어요
아 이런경험있는데....
이고이 정력이 부족한 붕애가 봉돌 무거워서 내리지도 올리지도 못하고 움직이믄 바늘때문에 아프고 해서 가만이 들고
그 상태에서 인상만 쓰는 중일거입니다.
헬스장에 가서 벤치프레스인가? 그거이 너무 무거운거 들고 원위치 하기도 그렇고 움직이믄 떨어 뜨릴거 같고 해서 사람이
운동하면서 인상 쓰는것처럼 ㅋㅋㅋ
새우 무조건새우입니다
저는찌몸통꺼정올리고30분간있는걸채험했습니다
처음엔사선입수가아닌가하고지식을총동원하여수직입수시켜보았으나실패평범한찌맟춤으론안되고
대물찌맟춤하면새우가올리지못함니다세치이상붕어는올림니다
이상대부도모낙시터경험 떡밥만한말?이상퍼부엇고 다음날아침 38,37두수대박났습니다
망원경을 써보시지요.
만약 물고있는것이라면, 아무래도 찌 움직임이 있지 않을까요?

바닥이 지저분하거나, 땅이 고르지않은상태에서 찌가 봉돌의 위치가 좀 높은곳으로 움직였다는 이야기가 되겠네요.
원줄을 카본이 아닌 모노줄이나 뜨는 줄을 사용하시면 대류나 바람에 의해 그렇게 될 수도 있습니다. 사선입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투척후 낚시대 손잡이를 30cm정도 들어 올려서 초릿대를 물에 잠기게 한 후 찌가 가라앉기 시작하면 뒷꽂이에 놓습니다. 그렇게 해보시고 않되면 바닥의 문제인 듯 합니다.
떡밥이 풀려서 그럴 수도 있고, 저부력이라 물속에서 아주 작은 무언가가 건드려도 그런현상이 종종 있다고 사료됩니다.~
입질시 봉돌의 위치변하가 제일 유력할듯합니다~~
그런경우 저도 가끔 생김니다. 한두번 그러다 자꾸 그러면 욕나오지요
낚시를 하다보면 입질이 들어오는데 톡톡치다가 쭉올려야 챔질을하는데 톡톡치다가 2~3마티 올리고 멈춘다는 말씀이신데..
제 생각에는 붕어가 나잡아봐라 하면서 사람가지고 노는걸로 보입니다. 한번은 올라와서 가만히 있을때 옆으로 확챔질을했더니
주둥이가 아닌 주둥이 바깥쪽에 걸려서 나오더라구요 .. 그런걸보면 붕어들이 나잡아봐라 하면서 장난치는거 확실하니까 챔질해서
붕어들에게 속으면 절대 안돼겠죠.한번속으면 이넘들 계속 장난친다니까요 ㅎ
스위벨채비를 모두 본봉돌 채비로 바꾸니 해결 되었네요.
본봉돌로 하니 좀 가벼워도, 좀 무거워도 입질 확실 해졌고.
그 후 두번 출조에 모두 30수 가량 해서 60여수 했습니다.(7치 이상 월이5수 포함)

다시 본봉돌로 가니 채비에 대한 믿음도 가고 찌맛과 손맛 다시 돌아 왔습니다.....^^

괜히 채비 값만 엄청 들어가고 재미 못 보고 다시 본봉돌로 돌아 왔네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