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물흐름이 오른쪽으로 흐른다는 가정하에 님들의 대편성은?

일례로 물의 흐름이 ~~~~> ~~~~~> ~~~> 오른쪽일때 수로폭은 42대 정도이고... ~~~~~> ~~~~> ~~~~> 예를 들어 28,30,32,34,38,40가 있다면 어떻게 대편성을 잡아야 이로울까요? 1. 28,30,32,34,38,40 순서로 아님 2. 40,38,34,32,30,28 순서로 아님 3. 28,30,40,38,34,32 순서로 아님 다른 어떤 좋은 대편성이 있나해서요?

물흐름에 채비가 떠내려가지 않더라도
가장 큰 영향을 받는게 원줄의 쓸림이라서
긴대의 긴 원줄의 포물선이 커지므로 짧은대 왼쪽 긴대 오른쪽(28~40)으로 하겠습니다.
또한
대 편성을 중앙를 12시 방향으로 하지말고 대각선(11시) 방향으로 하면 좀더 낫습니다.
저는 1번으로 하겠습니다.
짧은대에서 긴대 순서로 하겠습니다.
물흐름이있는 수로라서 1번 대편성이 이래저래 편하겠네요.
월척하세요.
저는 유속이 있는곳에선 낚시를 하지않지만 꼭해야 한다면 소밤 선배님처럼 짦은대부터 해서 하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저도 소밤님 말씀처럼~~하겠습니다~~~^^
소밤님의 말씀에 한표 올립니다

유속이 심한강에서 2번으로 해보니 물흐름이 가장 빠른곳으로 모이더군요

긴대는 줄이 길어서 엉키던지 챔질시 엉키더군요 .....
저라면 낚시대를 여섯대를 포기하고 3대에서 4대만 사용하겠습니다.

물흐름이 있는곳에서 여섯대는 무리일듯싶네요...그리고 저도 1번입니다...^^
예전에 낚시방송에서 설명을 해주는 시간이 있엇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소밤 선배님 과 반대로 알고있습니다.

~~~~~> 방향으로 물이 흐를시 40 ㅡ> 28 순으로 대를 편성 하는 것이 맞는걸로 압니다.

방송에서 당시 송귀섭 선생님 의 강의를 보앗구요...

이유는 ~~~~> 물이 흐를시 28~40 순으로 편성하면...

우측의 긴대 아래쪽으로 짧은대의 체비가 점점 포게 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긴대부터 40~28 순으로 편성하면 좌측 짧은대 앞쪽으로 체비가 편성 되서 포게?

지는 현상을 방지 할수있다고 배웟습니다.


할거없을대 인터넷 낚시강의만 계속 봐서 잊지 않고 있던 내용입니다.
저는 수로에서 주로 낚시를 합니다.

윗분들 말씀처럼 이쪽 저쪽 다 해보았지만 3대 이상 펴는 것을 고려해보시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전 최대 3대..)

또한 3대를 펴도 대물낚시처럼 간격을 둔다면 2대는 몰라도 3대 부터는 옆에 대와 엉키기 쉽습니다.(물론 넓게 잡으시면 되지만)

수로 고기들이 저수지 고기보다는 일단 힘들이 좋고, 챔질 후 옆으로 쏘는 고기들이 많았습니다.(컨트롤 부족인가..-_-a)

지금은 그저 2대로 만족하면서 사용 하고 있습니다. 2대는 거의 엉킬 확률이 현저히 낮거든요.
흐르는 방향으로 낮아 져야 당근 엉킴이 없겠죠..

많이 펴시면 곤란하겠죠.. 흐름의 속도도 많이 좌우되지만

유속에 따라 끝보기냐, 찌를 다냐도 중요한거 같습니다..
흐르는 물에서의 낚시는 물이 좌에서 우로 흐른다고 봤을때
좌측에 제일 짧은대 편성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긴대를 편성 해야함은
가장 기본인데,어찌 논란이 되는지?
반대로 긴대를 좌측에 편성하면 원줄이 우측으로 흘러 내려간 상태에서 짧은대를 투척하면
왼쪽 긴대의 흘러간 원줄 넘어로 투척이되서 짧은대 챔질시 긴대 원줄이 달려 나오는데
낚시가 어찌 가능하다는 것인지 제 짧은 소견으로는 이해가 잘 되질.....
되도록이면 물이흐르는 우측방향으로 돌아안자서 3대이하(2대가적당)로

왼쪽부터짧은대로 합니다.
1번 추천합니다..
실지로 물흐름이 있는곳에서
2번과 같이 대편성을 하였을때
긴대의 원줄이 물흐름을 타면서
포물선을 그리게 됩니다.
이경우 원줄의 길이가 길기때문에
포물선을 그리는 폭이 커지게 됩니다..

이럴경우 짧은대를 하류쪽으로 캐스팅
해보면 원줄엉킴이 자주 발생하므로

긴대를 하류쪽에 배치하여 원줄이
포물선을 그려도 엉킴이 덜합니다.
저는 2번을택하겠읍니다.
줄엉킴이 줄어드니까요.
메인화면 사진속 인물이~~~~~~~~~허걱!!!!!!!!!!!!!!!

나네!!!ㅎㅎㅎ

이 사진들은 복불복으로 렌덤으로 걸리는건가요???ㅋㅋㅋ
1번이 맞고요. 송귀섭님도 강의를 그렇게 했습니다.(끝보기 낚시는 반대) 낚시대수는 3대정도가 무난하리라 봅니다.
추가)
누가 뭐래도 스스로의 경험으로 찾은 방법이 좋습니다.
원줄의 굵기가 흐르는 물의 저항을 제일 많이 받고
그 다음이 찌인데 찌는 다루마형이 나은 편입니다.
흐르는 수로 등에서 직접 채비를 던져 낚시를 해 보시면 알게되는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보잘것 없는 경험이지만 출조의 9할이상이 유속이 좀 있는 수로라서 부족한 지식 공유 드려봅니다.
유속이 >>> 방향으로 흐른다면 왼쪽에 가장긴대 오른쪽에 짧은대 순으로 편성을 하곤 합니다.
그리하여야 채비가 흐른다 치더라도 원줄이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더라구요. 그리고 중요한것은 유속이 흐르는 방향쪽으로의
대편성이 제일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상대방이 목검으로 내리칠때 내가 목검으로 90도로 막는것보다
45도 방향으로 막아서 그 힘을 흘려 보내는것이 충격이 덜한것 처럼 물의 흐름에 따라 채비(원줄.찌 등..)가 받는 저항이
훨씬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유속이 >>> 이라면 저는 유속 정도에 따라 1시 혹은 2시방향으로 대편성을 합니다.
소밤선배님 말씀처럼 스스로 '경험을 통하여' '자신만의 해답'을 찾는것이 세상에서 가장 자신에게 정답인것 같습니다.
늘 안출하십시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