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만 주라님이 옳습니다.
원래 칸이란 전통 가옥을 지을 때 기둥 사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게 늘 일정한 것은 아니므로 국가에서 표준을 정하게 됐고 그 표준이 약 180cm 정도가 된거죠.
과거 영양상태가 좋지 못했을 때 성인 남자의키가 160 정도 됐었답니다. 그 키를 기준 삼아 편안히 누울 수 있는 길이를 잡은 거죠.
단칸방이란 것도 그 정도 크기의 작은 방을 말하는 것이고 평이란 단위도 단칸방의 넓이를 단위로 삼아 표시를 한거죠.
낚싯대에서의 길이도 동일합니다.
동서양 같이 사람들의 편균 신체를 이용한 단위는 흔합니다.
홉 되 말 이런단위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손에 담을 수 있는 양이 한 홉인데 사람마다 선의 크기가 다르니까 표준화한 양이 약 180ml가 표준이 된거죠.
일반적으로 한옥, 한국의 전통건축물은 그 규모를 이야기 할 때 몇칸(間)집 이라는 말을 씁니다. 또 평면 구성을 이야기 할 때도 전면에서 보았을 때와 측면에서 보았을 때를 합하여 정면 몇 칸, 측면 몇 칸 이라고 이야기 하죠.
그래서 대개 '칸'이라는 것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하신 분께서는 하나만 언급하셨더군요. 기둥 사이를 칸 이라고 합니다. 이 때 '칸'은 길이의 개념이지요. 그러나 몇 칸 집이라고 할 때는 넓이의 개념입니다. 같은 '칸' 이라도 면적의 개념인 것이지요.
대개 길이 개념의 '칸'은 기둥과 기둥 사이 7-10자 정도의 기둥 사이거리를 1칸 이라고 합니다. 퇴칸과 같이 그 길이가 반정도 되어 반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면 5칸에 측면 1칸 반이라고 하면 정면에 기둥이 여섯 개 있어서 다섯칸을 이루고, 측면에 기둥이 세 개가 있되 한 칸이 다른 칸의 반 밖에 되지 않은 건물을 말하지요.
마지막으로, 면적 개념으로서의 '1칸'은 정면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1칸으로 구성된 단위 면적을 말합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정면 3칸, 측면 2칸인 집은 3x2=6, 여섯칸 집이 되는 것이지요
두칸을 4
세칸을 6
..... 8 x 90 하면 미터길이가나옵니다
칸수 곱하기 18을하면 쎈티길가나옵니다
1.2 x 18 =216쎈티
방을내놓을때 1칸방있습니다라는표현들하시죠
바로 그길이입니다
한칸방길이가 1미터80이란뜻이죠
뭘알고 댓글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한칸방이란 길이 개념이 아니고
기둥과 기둥사이를 한칸이라 합니다
그래서 한칸방이란 한변의 길이가 180cm이라는것 하고는 거리가 먼니다
기둥이 4개로 둘러 쌓인 공간을 1칸방이라 합니다
한칸이라는의미를
알고말씀하시는것인지요?
기둥과기둥사이가 얼마인지 알고말씀하시는것인지요?
저도건축을하는사람으로써
우리가말하는한평이란개념을 모르고 댓글을달았을까요
한평이란것은 가로세로1.8미터의넓이를말하는것입니다
공교롭게도 땅의한평넓이와 낚시대의 한칸길이가 같다는것이죠
그리고 우리가한평이라고일컫는것은
사람이방에서자는길이에서 유래되엇다고알고있습니다
천매님!!!
천매님께서말씀하시는기둥과기둥사이는얼마라고생각하시는지요?
답변궁금하네요
제가답변드린것은 그러한근거를두고 말씀드린것인데
무엇이잘못되었는지 말씀해주시면 잘못된것에대해서는 사과글을 따로올리겠습니다
1.반칸: 90cm
2.1칸: 1m 80cm
3.2칸: 3m 60cm
1. 낚시대길이등..길이를 말할때 1칸(간;정확한 명칭) 이란 약180cm을 가르킵니다.
2.한칸방이란 개념에서의 한칸이란 기둥과 기둥사이를 말하고 각자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길이로 표현할수 없다는 말입니다( 1.5m도 될수 있고 4.2m도 될수 있어요)
차라리 1필지 이런게 방 1칸의 의미와 같은거 아닐까 합니다...
여튼 낚시대 1칸의 길이는 1.8m(자잘한 소숫점은 빼고)가 맞습니다...
1척 = 30.3cm
원래 칸이란 전통 가옥을 지을 때 기둥 사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게 늘 일정한 것은 아니므로 국가에서 표준을 정하게 됐고 그 표준이 약 180cm 정도가 된거죠.
과거 영양상태가 좋지 못했을 때 성인 남자의키가 160 정도 됐었답니다. 그 키를 기준 삼아 편안히 누울 수 있는 길이를 잡은 거죠.
단칸방이란 것도 그 정도 크기의 작은 방을 말하는 것이고 평이란 단위도 단칸방의 넓이를 단위로 삼아 표시를 한거죠.
낚싯대에서의 길이도 동일합니다.
동서양 같이 사람들의 편균 신체를 이용한 단위는 흔합니다.
홉 되 말 이런단위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손에 담을 수 있는 양이 한 홉인데 사람마다 선의 크기가 다르니까 표준화한 양이 약 180ml가 표준이 된거죠.
힘찬붕어님 지송합니다
나름대로 열심히기사자격증을취득하기위해
공부하면서 듣고배운데로 제가알고있는
상식선에서 최선을다해 답글을올린것인데
월님들맘을 불편하게해드린것같아 지송합니다
알고나말씀하지요라는뜻의표현은
정말 맘이아프네요
취미생활이라고는 이십오년동안 함께해온낚시밖에없는데
낚시인생길이 이렇게
오늘따라 서글퍼지는까닭은
무엇일까요?
다시한번
제답글로인해 맘불편해하셨던분들께
사과말씀올림니다
진심
사과말씀올림니다
헷갈리게해드려서요
잘알지못한답글올린점
사과드림니다
죄송합니다
오지랍을떨어서
그런뜻으로 드린말씀이 아닌데....!!
속상하셨다연 제가 사과 드려야지요
다른 질문글에 여러분들이 잘못알고있는 지식을
마치 정답인양 댓글다시는걸 보고 성급한
댓글을 달았읍니다
너그럽게 이해하시고 기분 푸시길 바랍니다
건강 하시구요~~!!
한칸 두칸...의 칸은 사이間자를 칸이라 부르는데,
위의 댓글 내용에서 1.8m
반칸을 90cm....다 맞는 말입니다
정확하든 비슷하든
설사 틀린 댓글이 달려도
상호간에 예를 갖추는 월님들이 됩시다
아는것도 자랑이 아니요
모르는 것도 부끄러움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힘 내세요.
좋은 걸 배웠네요.
1간(칸)의 유래가 그런줄 모르고...
낚싯대 길이를 왜 간으로 쓰는지 궁금했는데
잘 배웠습니다.
낚시대 길이의 한칸은 180센치 정도 되는게 맞습니다만
주택에서 말하는 한칸은 척수로 8자(여덟자) 즉 2메타 40쎈치 정도입니다
이전 조선시대 궁궐을 제외한 정승대가들의 가옥의 크기를 국가에서 한계로
정해줄때 기둥과 기둥사이의 면적을 여덟자이내 아흔아홉칸만을 허용했습니다.
현재의 평수로 계산하면 170몇평쯤 됩니다만 보통 대감님들의 고전가옥을 보수나 해체등 해보면
이보다 크게 방들을 만들고 살고 그랬더군요.
여하튼 윗분 말씀도 일리가 있으시지만 한옥을 짓는 사람으로 한칸의 의미가 낚시대에서 칭하는 한칸과는 다르게
규정화 되어 있지 않다는걸 말씀드리고 싶네요
한옥에서의 한칸은 몇자도 될수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일반적으로 한옥, 한국의 전통건축물은 그 규모를 이야기 할 때 몇칸(間)집 이라는 말을 씁니다. 또 평면 구성을 이야기 할 때도 전면에서 보았을 때와 측면에서 보았을 때를 합하여 정면 몇 칸, 측면 몇 칸 이라고 이야기 하죠.
그래서 대개 '칸'이라는 것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하신 분께서는 하나만 언급하셨더군요. 기둥 사이를 칸 이라고 합니다. 이 때 '칸'은 길이의 개념이지요. 그러나 몇 칸 집이라고 할 때는 넓이의 개념입니다. 같은 '칸' 이라도 면적의 개념인 것이지요.
대개 길이 개념의 '칸'은 기둥과 기둥 사이 7-10자 정도의 기둥 사이거리를 1칸 이라고 합니다. 퇴칸과 같이 그 길이가 반정도 되어 반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면 5칸에 측면 1칸 반이라고 하면 정면에 기둥이 여섯 개 있어서 다섯칸을 이루고, 측면에 기둥이 세 개가 있되 한 칸이 다른 칸의 반 밖에 되지 않은 건물을 말하지요.
마지막으로, 면적 개념으로서의 '1칸'은 정면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1칸으로 구성된 단위 면적을 말합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정면 3칸, 측면 2칸인 집은 3x2=6, 여섯칸 집이 되는 것이지요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0^
10치=1자=30.3Cm
1칸=6자=181.8Cm
센 발음으로 칸이라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