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바닥낚시할때 보통 몇대를 피시나요

이젠 낚시2년차에 접어들지만 아직도 매우초보인 청년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한대를 펴서 거기에만 집중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한달전쯤에 욕심이 생겨 평소처럼 3칸대를 하나피고 1.5칸대를 추가적으로 더 폈습니 다. 계속 잔챙이만 잡히고 있다 간만에 묵직한게 물어서 힘겨루기를 하면서 물가 까지 끓어왔는데 옆에 있는 1,5칸대 낚시대의 원줄이랑 엉키고 그 여파 로 수초에까지 줄이 영켰습니다. 1.5대 원줄날아가고 간만에 잡았던 붕어?도 노쳤습니다.......ㅠ 다행히 3칸대 채비는 엉키기만 하여 어찌하여 살렸습 니다. (솔직히 얕은 수심에도 불구하고 강제진압할때 물안으로 계속 파고들어 무슨 고기인지는 파악하지 못하였습니다.)다른 조사님들은 바닥낚시할때 보 통 몇대를 피시고 후킹이 되었을때 다른 낚시대의 원줄과 엉키지 않는 요령을 알고 싶습니다 ~

바닥낚시에도 수초대를 공략하는지 맹탕에서 하는지에 따라서

그리고 미끼를 새우나 참붕어 등 대물미끼를 쓰는지 떡밥류를 쓰는지에 따라서 대편성수가 달라집니다

저는 보통 수초대 낚시는 6대~8대를 편성하구요 맹탕이나 수초가 듬성한 곳에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4대~6대를 편성합니다
전8~10대 피는데 일단 초기 제압이 중요할꺼구여 제압이 잘 안되는 경우 다른 한손으로 옆 낚시대를 들어주는 쎈스!!
걸린 고기의 제압이 숙달되기 전까지는 낚시대의 간격을 적당히 벌려주는것도 요령이 됩니다
일단수초대지역에서는 초기제압과 원줄을 짧게하시는것도 랜딩하시는데도움이될껍니다.
그리구 웬만하면 뜰체를사용하세요..
저는 최소 3대를 핌니다
처음 가보는 저수지나 소류지는 5대정도
낚시를 하다보면 입질이 자주들어 오는
낚시대만 나두고 전 부 철수 하지요
저는 짬낚은 3대
밤낚시는 던질곳이 많으면 10대~12대 물론 바닥채비
적어도 8대는 편성 합니다...
3대에서 5대가 보편적으로 피곤하지않은 낚시지만 미끼가 무었이냐에따라서 10대까지 폅니다 생미끼나 곡물을 사용할때는 다대편성 떡밥낚시경우 5대이상은 아무리 젊고 힘 있어도 다음날을생각할때 좀무리가있을듯 사네요 물론 다대편성시 초기 진압이가장 중요하죠 아니면 조력있는분도 줄엉켜서 그날낚시는...상상만해도 끔찍자체 입니다
떡밥 낚시를 주로하는 1인 이구요..

아주큰 제약사항이 없는한 기본 6대 폅니다. 수초 언저리 붙힐때나 바닥지형이 둔덕 2/3 지점을

노릴때 아닌 이상 보통 찌간격이 1.2m~1.5m 정도 됩니다..

기분 좋을때는 -2대를 하고 기분 나쁠때는 +2대까지 하기도 합니다.

엄청난 떡밥을 쏟아붙는 공포의 쌍포를 운용하지 않는 이상 집어의 계념을 두지 않기에 다대를 편성합니다.

아울러 고기 제압은 챔질과 동시에 공기먹이는것이 젤 중요합니다. 그리고 뜰채는 필히 구비하시는것이 좋구요

낚시전 뜰채부터 펴 놓으시고 낚시대를 피시길 바랍니다.

저도 아직 버릇이 완전 들지 않아서 더러 후회를 하긴합니다..

밑으로 파고들었다면 거의 붕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는 5대 폅니다. (받침틀이 5단이라서...)
대부분 실제 사용은 2~3대가 되는데 (모든대에서 입질 받는 경우는 드뭄)
가능한한 대 사이를 벌리고
초기 제압에 신경을 많이 써서 끌어내다가
필요하면 옆의대를 치우는 방식으로 합니다.
7~10대 초기제압하면 엉키는일 수초에감기는일 없었습니다.
챔질과 동시에 그냥 날립니다.
저는 두대정도(떡밥낚시) 피고 입질이 많아지면 한대로 합니다.
저는 떡밥낚시 하구요.
쌍포로 펴고 기분좋으면 3대까지 펴고 합니다.
엄청난 집어로 주위를 초토화 시켜버리는 낚시 합니다.
하루 밤낚시 하면 어분 2봉 보리 2봉 글루텐 2봉 정도 씁니다.
저도 2대....로 하다 고기 붙으면 한대로 줄입니다...

정말 안되는 곳도 3대까지가 한계입니다만...

3대는 큰 맘먹어야 가능합니다..
저도 최대 3대 많이 피면 귀찮음 ㅋㅋ 1~2대가 좋아요~
2대 쌍포로 집어 낚시 합니다 밤잠 안자면 떡밥좀 들어갑니다
유료터에서 잡아서 가져갈때 이렇게 합니다.
하지만 노지 나가면 3대나4대 쌍포 못치고 입질오는데에
집중합니다
배스터등에서 생미끼할때는 8대에서 10대
떡밥낚시의 경우 유료터에서는 쌍포위주 (쌍포의 간격은 30센티이상 벌어지지 않습니다)
일반노지의 떡밥낚시는 3~5대정도 입니다.
입질보고 고기잡고등 잉어라 파단되면 양쪽의 낚시터 다 재껴 버립니다 꼬임 방지 차원에서요..
유료터에서는 보통 2대나 혹은 3대피며 가급적 초기에 집어에 신경쓰고 낚시를 합니다.
똑같이 붕어가 아닌 다른어종이라 판단되면 역시나 한쪽낚시대 재껴서 미리 꼬임 방지합니다.
저는바닥만합니다
기본10대에서12대구요
쪼매더깔면18대까지요
모두들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baedoi 님 . 답변 다는거 보소
떡밥 2~3대,생미끼 8~12대... 그 외의 분들은 특히하신 조사님들...^^
윗분 18대 편성하신다는데.. 그럼 6단받침들 3대를 펼치신다는 말씀??
저도 떡밥으로 주로 하는데요...처음에는 2대 피고 하다가 한쪽에 폭풍입질 오면 다른 1대는 접습니다ㅋㅋㅋ
음.. 3대 이하로 하시는 분들도 많으시군요..ㅋㅋ
많이피시는분이 잘낚으시는분이라 생각했는데 그런 생각이 편견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ㅋ
이젠 옆 조사님들이 대를 많이 피실때 조급해지는것을 어느정도 해소할수 있겠네요 ㅋ
떡밥과 지렁이 조합일때 5대정도고요

주로 32대 쌍포이고요 입질빈도수가 높으면

외대합니다. 초기 집어겸 입질받기위해 쌍포로

합니다
한적한 곳이나 자리 옆에 계신분 낚시 하시는데 지장 없거나 자리 넓으면 부채꼴로 여러대 펴구요. 쫌 거시기 하거나
마땅 하게 여러대 칠 여건이 되질 않는 상황 이면 조금 펴고 그렇습니다.^^
많이 피는것 자기 만족이라 생각합니다. 떡 밥은 3대가 전 리미트 인것 같습니다.
많이 피는 이유는 흠.. 갠적인 생각에 처음 가는 곳 포인트를 모를때 그러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도 5대 펴놓고 입질 안들어 오는 대는 접고 2~3대로 만 합니다.
강가에서는 2대로 떡 밥하기에도 벅찹니다. 입질 계속 와서요 ㅎㅎ
그냥 놓고 싶으신대로 하시는게 젤 좋습니다... 자신만의 낚시대 갯수를 찾으실 수 있을실듯 해요 ㅎ
밤낚시이면 여덟대이상
낮낚시이면 짬낚시이니
두서너대 일듯하네요~
미끼는 어떤거를 하던 상관없이
보통 3~4대 정도 펴고 마지막엔 1~2대로 줄어듭니다.
그래서 조과가 별롭니다. -.,=
떡밥낚시 하면 2~3대가 적당한것 같네요.다들 비슷한것 같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