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가마가츠 은침 쓰고 있습니다. 보통 노지떡밥낚시 같은경우 계절에 따라 좀 다르게 쓰는편입니다.
가을에서부터 겨울까지는 보통 5호정도를 쓰구요 그외에 계절에는 6호에서 8호까지 씁니다.
배스터 블루길터에서는 건탄식으로 쓸때에는 보통 감성돔바늘 1호에서 4호까지 외바늘로 씁니다.
추운날 감기조심하십시오 ㅎㅎ
저도 노지 떡밥낚시를 합니다. 저수지나 수로...
처음 낚시를 배운게 친구들한테 떡밥낚시를 배웠구요. 더욱 심도 있게 배운건 군계일학 동영상이요...^^
그 동영상에서 성재현사장님이 떡밥낚시는 5,6,7호를 사용한다고 해서 처음에 3종류를 사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실력이 점점 늘어나는 건지 줄어드는건지 큰놈들이 물기 시작하는데 7호 바늘로도 그날 하루 3번이나 바늘털이를 당했습니다.
제가 찌맞춤을 잘못한건지 챔짐타이밍이 빨랐거나 늦었던 건지는 바늘털이 당했습니다.
그 뒤로 사사메 8호바늘로 바꾸고 바늘털이 당한적 없습니다.
일반 붕어 바늘 6호보다 조금 작습니다
일년내 노지 떡밥낚시를 합니다.
7, 8호두 사용해 봤는데 6호사용했을때가가장 조황이 좋더군요...!
떡밥낚시엔 작은바늘을 쓰는군요
잘 배워갑니다.
거의 생미끼라......
지금처럼 활성도가 좀 떨어진다 생각 될땐 지누4~5호
봄 산란전엔 7~9호
흐~으~
떡밥낚시도하지만 가끔 새우나 옥수수도 사용하기에 붕어바늘 8호 무미늘 외바늘로 쓰고요 잔챙이도 걸리고 월도 나오고 잉어 향어도 걸립디다...
메주콩 새우등 생미끼에는 감생이바늘 4.5.6호사용해서
느굿하개 기다리는 낚시합니다
떡밥, 생미끼 겸용 하실거면 6호에서 8호정도...
생미끼 낚시는 감성돔 2호에서 4호정도...
제 기준 입니다. ㅋㅋ
수초대물은 4~5호 정도 쓰고있지요
가을에서부터 겨울까지는 보통 5호정도를 쓰구요 그외에 계절에는 6호에서 8호까지 씁니다.
배스터 블루길터에서는 건탄식으로 쓸때에는 보통 감성돔바늘 1호에서 4호까지 외바늘로 씁니다.
추운날 감기조심하십시오 ㅎㅎ
붕어/향어, 양어장/노지 관계 없이 사용합니다
비시즌에는 붕어바늘 5호,
입질 최악이면 4호 씁니다.
감생 2호쓰다가 4호씁니다 ㅎ
생미끼 겸용입니다.
떡밥낚시에 미늘은 솔직히 욕심인것 같습니다. ^^
전 항상 6호~~~
무 미늘 바늘사용을 습관화하면 실보다 득이 더 많습니다.
하우스라면 4호~5호. 수초지대 생미끼라면 지누3호 사용합니다.
“진정한 ‘꾼’의 자존심은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습니다.”
저는 주로 6호씁니다
옥수수낚시할때도 6호로 씁니다
생미끼 겸용으로 사용 했었지요..^^
올해 부터는 이세형 9 ~ 10호로 가 볼까 생각 중입니다..^^
좋은정보들 감사드립니다 ㅎㅎ
즐거운 주말 되세요 ㅎ
붕어 떡밥용 바늘은 작고 강하고 가벼운 바늘을 써라! 였습니다.
지금도 그 팁을 고수중 2~3호 무미늘 바늘을 줄겨 쓰고 있지요.
바늘이 작을 수록 입질시 부담없이 한입에 쏘옥 빨려 들어 가겠지요.
지극히 일리가 있는 팁 이였습니다.
미늘 모두 제거 후 두고두고 사용 합니다.
벵에돔 6 7 8 호 외바늘 씁니다
노지 떡밥낚시 하시면 다나고 6호 전천후로 쓰셔도 됩니다.
강도가 걱정이 되시면 다이찌 이두메지나or머스타드 이두메지나 8호정도 쓰시면 다나고 6호랑 규격이 비슷합니다..
지금시기(저수온기에는 제가 말한 바늘보다 1-2호수 낮춰서 쓰셔도 괜찮을듯 합니다..^^)
양어장 6호 이하 씁니다. 짜장은 주둥이가 작아서인지, 작을 수록 유리하더군요.
하지만 바늘은 쭈욱~~ 7호 사용 합니다~~ ㅎㅎ
양어장 감성돔 1호
감성돔 2호 사용합니다.
8호 바늘로도 가물치 50정도는 무난 하더라구요
잉어/향어까지 무난합니다..단 좋은 바늘/목줄 구입해야겠죠?
혹,, 무미늘 한번써봐야겠습니다.
행여 바늘털이 할까봐서 ,,
못쓰고있었지만,,
이번기회에 붕어도생각할꼄..
무미늘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헛챔질 거의 없지요.
헛챔질 나오면 찌 잘못일 확률이 높고 무미늘의 바늘털이와 자동빵에도 유리합니다.
가끔 감성돔5호 미늘 갈아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약하더군요. 크게 바꿔서인지 찌가 깔딱 깔딱 합니다. 하지만 물면 100% 입질 굿~
지금시기엔 5호~6호정도... 새우쓸때는 감성돔 2호를 쓰고요 전 큰바늘을 애용하지 않습니다.
꼬옥 떡밥을 써야할때는 있는 채비에 달아봅니다.
12~13호 바늘에요...
깔딱 깔딱하는 입질이지만 그래두 7치정도 되는놈은
확실한 입질을 보이더군요..
양어장요 6~7호
잉어,향어잡탕 9~10호
장대6칸이상 12호이상
떡밥낚시/생미끼 : 무미늘 헤라스레 5호~7호, 원줄 1.5~2호, 목줄(합사) 0.8호 (새우는 까서, 지렁이는 한마리 꼬아서)
대물낚시 : 미늘 有 감성돔바늘 5호~6호, 원줄 3호, 목줄(합사) 1호
F1(향어+잉어 교잡종) : 미늘 有 다이스프라임 8호, 원줄 4~5호, 목줄(합사) 2호~2.5호
바늘 클수록 장점보단 단점이 더많고 이물감이 적은홋수를 사용합니다...^^
하절기는 6호 잠깐사용하구요...
처음 낚시를 배운게 친구들한테 떡밥낚시를 배웠구요. 더욱 심도 있게 배운건 군계일학 동영상이요...^^
그 동영상에서 성재현사장님이 떡밥낚시는 5,6,7호를 사용한다고 해서 처음에 3종류를 사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실력이 점점 늘어나는 건지 줄어드는건지 큰놈들이 물기 시작하는데 7호 바늘로도 그날 하루 3번이나 바늘털이를 당했습니다.
제가 찌맞춤을 잘못한건지 챔짐타이밍이 빨랐거나 늦었던 건지는 바늘털이 당했습니다.
그 뒤로 사사메 8호바늘로 바꾸고 바늘털이 당한적 없습니다.
그리고 하우스에서는 무미늘 3,4호 사용합니다.
양어장에선 활성도 좋을땐 내림바늘7호 활성도 약할땐4호가
가장 적절 했던것 같습니다.
양어장에선 내림바늘 강력추천 합니다. 바늘이 가벼워서 킹왕짱!ㅎ
7호로써왔는데 노지라 잉어뭐 누치 가끔씩 걸려서 터져버리네요
대형급붕어일수도있구요 아오시가 잘안대고 설걸리면 7호도 터지네요
8호라해도 피라미나 붕어 3치 4치 잘걸려나옵니다 ㅎㅎ
5호 6호는 월척붕어 잡다 터트릴수도 있다고 보니까요
아싸리 여유롭게 크게 하시는게 터지는일도 별루없고 좋습니다
안터진다 안터진다 하는데 한두번터쳐봐야 아니까요 ㅎㅎ
잉어나 장대(6칸)는 9~10호씁니다 금침 무미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