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비의 문제가 아니라 그날 붕어의 활성도가 그러한걸로 보입니다
이놈이 취한후 올라올때, 평으로 이동시, 제자리 멈춤..... 등등 그놈의 선택사항입니다
그런 현상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쌍포 거치시) 한대는 목줄을 길게, 한대는 그반대로 운영해보시면 설명이 될것같습니다
항상 채비는 정답이 없습니다.
여기 댓글설명도 모두 각각이죠. 경험상으로 말씀을 하는 것이니....
알면 알수록 머리 쥐나는게 낚시입니다
어느정도 경험이 생기면 초심으로 돌아가 무던하게 ..........하는 것도 즐기는 방법......입니다
저는 초보때 사자하고 그이후론 .... ㅋㅋㅋ
기본적으로 봉돌이 가벼워서 그런 현상이 일어납니다 한바늘 채비라면 바늘 위로7~8센티 위치에
좁쌀(b3) 정도 채워주시고 두 바늘 채비라면 윗바늘 바로 밑 1 쎈티 위치에 좁쌀 채워 주시고 두 세목 올려 놓고 하시면 아주 부드럽고 천천히 오려주는 입질을 맛 볼수 있을 겁니다 찌맞춤은 찌고무가 수면 위로 보이게 맟추세요
빨리는 입질은 바닥 상황에 따라 가끔 나타 날수 있으나 자주 또는 매번 빠는 입질이 나온다면 그것은 채비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찌맞춤을 하실때 바늘 없이 캐미 수면 일치 또는 약간 노출 정도로 정통 찌맞춤을 하되 반드시 먼저 3~4목이 나오게 맞춘뒤 링을 가감하여 찌를 맞추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고 바로 캐미를 맞추면 표면 장력때문에 찌가 너무 무겁거나 가볍게 맞춰 줄수 있음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저는 바닥 상황이나 미끼의 강도에 따라 목줄을 30~40CM 가량을 쓸때가 있는데 그때는 옥내림 채비로 찌를 맞춘후 링을 가감하여 캐미 수면일치 또는 약간 노출로
사용하구요 입질시 90% 이상 찌를 끝까지 올려 줍니다. 님의 채비가 빨림 현상이 잦다면 옥내림 채비처럼 가벼울 가능성이 많을것으로 짐작되니 참고바랍니다.
바닥에 봉돌이 안착됐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여러가지 이유가있을테지만 우선확인해보세요
긴목줄이 입질이 더 좋아요
바닥채비를 슬로프 형식으로 하셔도 빨고 들어가죠
좁쌀봉돌을 중간쯤에 달아두니 한두마디는 올라왔다가 빨리더군요
이놈이 취한후 올라올때, 평으로 이동시, 제자리 멈춤..... 등등 그놈의 선택사항입니다
그런 현상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쌍포 거치시) 한대는 목줄을 길게, 한대는 그반대로 운영해보시면 설명이 될것같습니다
항상 채비는 정답이 없습니다.
여기 댓글설명도 모두 각각이죠. 경험상으로 말씀을 하는 것이니....
알면 알수록 머리 쥐나는게 낚시입니다
어느정도 경험이 생기면 초심으로 돌아가 무던하게 ..........하는 것도 즐기는 방법......입니다
저는 초보때 사자하고 그이후론 .... ㅋㅋㅋ
빨릴때 봉돌이유동하면서 올리는 표현이 잘나와요
좁쌀(b3) 정도 채워주시고 두 바늘 채비라면 윗바늘 바로 밑 1 쎈티 위치에 좁쌀 채워 주시고 두 세목 올려 놓고 하시면 아주 부드럽고 천천히 오려주는 입질을 맛 볼수 있을 겁니다 찌맞춤은 찌고무가 수면 위로 보이게 맟추세요
찌맞춤을 하실때 바늘 없이 캐미 수면 일치 또는 약간 노출 정도로 정통 찌맞춤을 하되 반드시 먼저 3~4목이 나오게 맞춘뒤 링을 가감하여 찌를 맞추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고 바로 캐미를 맞추면 표면 장력때문에 찌가 너무 무겁거나 가볍게 맞춰 줄수 있음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저는 바닥 상황이나 미끼의 강도에 따라 목줄을 30~40CM 가량을 쓸때가 있는데 그때는 옥내림 채비로 찌를 맞춘후 링을 가감하여 캐미 수면일치 또는 약간 노출로
사용하구요 입질시 90% 이상 찌를 끝까지 올려 줍니다. 님의 채비가 빨림 현상이 잦다면 옥내림 채비처럼 가벼울 가능성이 많을것으로 짐작되니 참고바랍니다.
입질이 빨리거나 옆으로 끌고가죠
이런 저런 이유야 많겠지만 응답하라님 말씀처럼
봉돌이 떠있는게 아닐까요??
아마 봉돌이 바닦에 안착이 안된듯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