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초보이자 고수분들께 질문있습니다
글재주가 없는관계로 양의 바랍니다.
찌맞춤할때 캐미달고 바늘달고 맞춥니다.
봉돌깍고 맞추고 던졌을때 천천히 내려가다가 4마디정도 뜹니다.
그때 오링 껴서 캐미만 나올정도로 맞춥니다.
여기서 수심 맞추고 던졌을때 바닥에 봉돌이 어떤 상태정도?
대략 아시는 고수님들 답변해주세요~
초 예민한 맞춤이라고들 하는데요~ 아니면 고수님들 괜찮은 방법정도 알려주세요~
참고로 양어장에서 합니다.
바닥채비 찌맞춤 문의 있습니다.
-
- Hit : 623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2
보통 찌맞춤기준 한목내지 두목정도 더 내어놓으시면 봉돌이 바닥에 닫아 있는상태가 됩니다..
예민한 찌맞춤은 줄에 따라서도 틀려지니 각설하고요....... 현장 찌맞춤입니다.
1. 먼저 봉돌을 깎기전(찌가 잠수하것지요)...찌를 올려서 한목정도가 나오게 수심을 먼저 찾습니다.(위 스토퍼가 2개가 있으면 좋습니다.)
2. 수심을 찾았으면 다시 스토퍼를 조정하여 봉돌쪽으로 20센티정도 찌를 내립니다.(던져보면 찌가 꼬로록 하겠지요?)
3. 지금부터 봉돌을 깎아나갑니다. 말로는 어렵습니다만 깎고 던지고 자꾸하다보시면.어느순간에 한두마디 남았을때 내려가는 속도가 갑자기 줄어 듭니다. 조금씩 깎아나가다가보면. 한마디 남았을때쯤 안내려가나? 너무 많이 깎았나?하고 생각할때 나머지 한마디가 딸깍하고 수면에 잡혀지는 순간이 옵니다. 여기까지가 찌맞춤의 끝입니다.
4. 이제 다시 찌스토퍼를 원래 위치로 돌려봅니다.(아까 맞추기전 한마디에 수심확인했습니다.ㅎㅎㅎㅎ)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아마 1마디에서 3마디까지 나올겁니다.(이제 봉돌이 완전히 바닥에 닿은겁니다.)
5. 찌스토퍼를 조절해서 한목을 내놓든 반목을 내놓든 낚시하기 편한 목수를 내놓습니다.
6. 이제서야 바늘을 답니다.
7. 밥을 달고 던져보면 바늘달기전 한목에 맞췄다면 아마 한목이 안나올겁니다......사선때문에 그렇습니다. 밥을 작게 해서 던져보세요.......반목이상은 나올겁니다......
8. 핵심은 찌맞춤후 정확히 봉돌이 바닥에 닿아야 하는겁니다. 그래야 올림 입질을 볼수 있습니다.
이정도만 해도 노지에서 기본채비는 될것으로 압니다.
수심에 따라 추가 바닥에 살싹 닿거나~~아주 미세흐게 뜰수도 잇는데~~
양어장이면 수심이 있기에, 원줄 무게로 봉돌이 바닥에 99%이상 닿게 됩니다~~
그렇케 낚시하시다가, 목줄길이가 길다면 (25~35) 오링을 빼가면서~
볼동이 뜨게끔 하여 내림 슬로프 낚시도 가능하니~~
상황에따른 양어장 채비론 갠찮을거 같네요~~
카본줄은 찌탑 정밀 찌맞춤 시 원줄 당김 현상으로 가볍게 찌맞춤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구지 카본줄로 하셔야 할 경우 찌탑이 아닌 케미를 기준으로 맞혀야 안정적인 체비 운영이 가능합니다 너무 가벼운 찌맞춤은 무거운 찌맞춤에 비해 단점이 더 많아요
완존 강추^^
근데 왜 맨날빈손 이래유^~~^
그리고 정밀 찌맞춤은 세미플로팅이나. 모노 필라멘트사에 해당될듯하고요..
카본사는 줄무게 때문에 부력변화가 생깁니다
도움이 됐을것으로 보입니다
양어장낚시 기법은 일반노지와는
조금 다르다 라고 생각합니다
질문처럼 하시던 채비대로 찌맞춤은 하시고
수면에 찌가 드러누웠다가 봉돌이 안착할때
입수하는 찌맞춤이 양어장에서는 유리 하답니다
즉 찌가 벌러덩 누웠다가
한참후에 똑바로 서서 입수하는 시점
바닦채비 끝점과 내림채비 시작점을 찾는게
제가 드리고 싶은 찌맞춤인데요?
글루텐무게로 조절을 하기에 난위도가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터득만 하시다면...
낚시 하시는데에 많은 도움이 될거라고
보구요..
낚시는 알면 쉽다 라고 생각합니다
현장에서 정밀 찌맞춤이 가능가요?
물에 밀도 온도에 따라 차이난다고하는데
수조통에서 실험해보세요 차이없습니다
그리고 자꾸 왜 봉돌이 무거워서 입질이 없다고
생각을하시는지요 바닦채비는
기본적으로 가벼운 채비보다는 조금 무거운채비가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