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밸런스 문의합니다.

목줄 PE합사 0.6를 썼을때 원줄 카본기준으로 몇호를 써야하나요? 전 카본2호를 쓸려고하는데 괜찮은가요? 그리고 pe합사는 미끄러워서 무매듭으로 하면 빠진다고 하는데 그럼 그냥 8자매듭을해서 묶어도 인장강도 괜찮을가요?

카본2호면 표준강도가 8LB(1LB=0.45kg)이고
PE라인은 종류가 엄청 많아서 강도도 종류에 따라 강도가 5배정도는 차이가 날정도로 제품마다 강도가 매우 다릅니다
호수별 강도가 표기된 제품군에서 취향에 맞는것으로 골라 쓰시면 될듯합니다
버클리사나 스파이더사의 합사를 추천합니다
미세한 여러가닥을 꼬아서 만든 합사는 한가닥짜리 원통형인 모노라인군의 라인들에 비해 매듭부분에서 비교적 적응성이 좋고 무난한 편입니다
물리적으로 설명드리자면 괜히 머리만 아프니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것들 중에 철근(모노라인)의 경우 매듭지어서 쓰지 않지만 와이어줄(합사)는 구부리거나 꼬아서 쓰거나 매듭지어서 연결해서 쓰거나 하는 식으로 생산된 본 형상에서 형상변형을 자유롭게해서 익히 사용되는 모습들을 많이 접하셨을겁니다
낚시용 합사또한 그와같이 매듭짓는것에 대해 적용성이 강합니다
적어도 합사는 매듭짓는 방법에 깊이 고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매듭결속이 매우 강해서 풀리지 않는 매듭법으로 선택하는것이 좋다고 봐야죠
줄의 인장강도가 종류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므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보통 카본 2호면 인장강도가 4kg 정도 되고, 합사 0.3~0.6호가 3~6kg 정도 되니까

사용하고져하시는 줄의 제원을 확실히 아시고, 비교하여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줄의 강도만을 고려한다면 윗분들의 댓글이 정확하겠지만
실제 사용상 여러가지 변수가 뒤따를수 있습니다
원줄은 길고 목줄은 짧습니다
같은 구간이라면 당연히 윗분들 말씀처럼 되겠지만
때로는 팽팽한 상태에서 고기와 사람과의 힘겨루기 한판이 있을수도 있고
잉어라도 걸었다면 갑자기 돌변해서 머리를 180도 돌릴수도 있습니다.
또한 대를 접고 감을때 주변 나무나 풀 등 장애물에 줄이 걸렸는데 그냥 잡아 당겨서 원줄에 스크래치가 있을수도 있겠고
여러가지 변수들이 있을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해 볼때 원줄의 강도와 목줄의 강도는 1:1/2이 적합합니다
즉, 원줄의 강도가 1이라고 봤을때 목줄의 강도는 원줄 강도의 1/2이 적당하다는 말이죠

바닥걸림이 있을때 그냥 잡아당길 수 밖에 없다면 당연히 원줄보다는 목줄이 터져나가는 것이 이익이니까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