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봉돌무게 어느정도 되는찌 쓰세요?

32대 봉돌몇호정도 되는 찌 쓰시나요? 봄여름가을겨울 노지관리지하우스 다 다르게 쓰시겠죠?

제 경험을 빗대어 말씀드리자면..
낚시가 어려워지는 시기일 수록 가벼운찌를 사용하는것이 아무래도 유리하겠지요..하지만 노지 낚시의 경우 3.2칸 운용시 너무 가벼우면 바람이나 대류등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하여 3.2칸 노지낚시의 경우 6~7호의 봉돌을 사용하는 찌가 무난하리라 사료됩니다..
전 7호로 통일해서 씁니다 찌길이도 통일하구요

7호 찌 낮케미 달고 예민하게 찌맞춤하고

밤에는 전자케미 달면 약간은 무거워 지더군요

제일 편합니다
전 낚시대 길이에 따라 찌길이 및 봉돌호수를 다르게 씁니다.
3.2칸의 경우 약 5호 정도의 찌를 사용합니다.
전 낚시대 길이 상관없이 장르별로 봉돌 중량이 틀립니다
대물채비는 1.4g(6호),낮낚시용은 3g~4.1g(3~4호),떡밥이나 옥내림 1g~2g(1호이하)
3.2칸까지는 3푼찌로 옥내림하는데 앞치기 이상 없는데 3.6칸부터는 1.1g옥내림찌로 앞치기 힘에 부쳐서 서서 투척해야되더군요
32대는 평균 7푼 이하...
32대 아래로는 5푼 정도.
저는 통일해서씁니다7호봉돌 1년내내씁니다 약간만무겁게맞춰서사용합니다
답은 찌에 맞춰 쓴다! 아닙니까? ^^
저는 계절과 장소에따라(노지,양어장) 찌를 달리 합니다.
찌에 따라 봉돌은 무게가 다르겠죠...
장찌경우 7호,8호 짧은찌는 2호정도 사용합니다. 뭐 찌에따라 다다릅니다. 찌살때 대략 마춰주세요 하면 마춰줍니다. 어짜피 현장가서 다시 찌맞춰야하니... 낚시 가는길에 매장에서 찌맞추는 시간도 아깝더라구요ㅋ
수심에 따라 깊은곳은 6호정도 찌길이 60정도 얕은곳은 4호 길이 40정도 수초속 8호 찌길이 30정도 뭐 이렇게 씁니다.
대물낚시용은 모두 7호,떡밥낚시용은 모두4호,하우스용은 2호씁니다.낚시대 구분 안하고 모두 통일시킵니다.
저는여름철엔6-7호정도사용하고요,,초봄늦가을엔3ㅡ4호일괄사용합니다...
저는32대 떡밥기준으로 4호봉돌 이상은 않씁니다 3호~4호사이 봉돌 즐겨씁니다
낚시대가 길어질수록 봉돌호수는올라갑니다 ㅎㅎ

32대기준 4호5호봉돌씁니다 25대기준 3호정도? 떡밥합니다

양어장하우스 2~3호씁니다

낚시대는길어질수록 봉돌호수는올라갑니다 그래야편합니다
아무래도 채비는 조사님의 마음에 믿음이 가는 채비를 운용해서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을것 같습니다.
봉돌은 찌에 따라 틀려지니... 어떤찌를 사용하냐는 질문이신것 같습니다.

보통 저는 채비에 따라 틀려집니다만, 대부분 3~5호 봉돌을 선호하고, 4칸 이상도 6호봉돌 이상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전에 사용하던 연질대 40칸에 생미끼 낚시할때는 케스팅이 어려워 7~8호 까지도 사용했는데요

요즘은 경질 초경질 사용하다보니, 장대도 꼭 높은 호수 봉돌이 필요하지가 않습니다. 떡밥이건, 생미끼이건

떡밥에서는 초기 집어시 집어제 좀 크게 달면 오히려 너무 무거워서 앉아서 케스팅이 어려운경우가 많아... 계속 봉돌이 작아지고 있네요
너무 무거워도 제자리 투척이 어렵죠.

주력 3.2칸에 3~5호 사용하는데
지를 정상적을 맞춰 놓고
3호는 떡밥을 좀 크게. 5호는 좀 작게 해서 한목정도 나오게 합니다.
찌를 하늘이 모자라서 더 못 올려줍니다....^^
추의 무게가 무거울 수록 고기가 뱉어버리기 쉬운건 사실입니다
찌 맞춤을 했어도 찌의 무게만큼 봉돌을 들어올려야 하니까요
제 사견으로는 6~7호 이상은 넘무겁지않나 싶습니다
낚시대의 성향에따라 봉돌크기가 달라집니다

연질대면 떡밥달았을때의 무게감까지 포함해 투척이 편한정도 보통 2~3호정도

경질대면 떡밥달았을때의 무게감까지 5~6호정도? 찌길이는 대부분 70~80사이만 씁니다 수심이 어쩔수업는 곳만빼고
3,6칸 이하 해동 뽕돌 기준 3호.
이상대는 4호 사용합니다...
더이상,더 이하로 내려가야할 이유가 없어 오랫동안 사용중입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