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분할채비시 봉돌 간격 문의 드립니다

분할채비시에 봉동 간격을 최대 얼마까지 주시는지 궁금해서요 10-30정도 많이 주시는거 같은데 봉돌 간격을 1m나 그 이상 길게 주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투척에 문제가 없다는 가정에서요

어떤형식으로 분할했는지 모르겠으나 비바붕어 들어가셔서 채비법 보시면 되시구요.
너무 많이 봉돌을 올리면 입질이 지져분하고 끌고 들어가는 입질이 발생한다고 알고있습니다.
입질이나 활성도가 약할시 간격을 많이 주는걸로 알고있는데요.
분할추 1그램~1.5그램 사이 사용..
수심50에선 5센티미터.
수심1미터에선 10센티미터.
그이상은 15~20센티미터 이내에서 가장 찌올림이 좋다고 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다음분께 패스~
분할채비 봉돌의 간격은 각자 취향이나 채비법이 다르겠지만 저같은 경우 찌톱의 길이 정도로 잡습니다.
그래야 바닥봉돌이 들리고 본봉돌이 들리기 전까지의 길이가 찌탑의 길이가 되어 찌올림을 맛본 후
챔질 하려고 이렇게 맞춥니다.
장찌의 경우는 찌톱 길이 만큼 간격을 주지않고 찌톱의 2/3 정도 길이로 맞추기도 합니다.
유동추사용하셔서 윗봉돌을 위아래로
조절해서 사용하는 방법도있습니다
간격 조정을 왜 해야 하는지 그 이유부터 생각해야 되지 않나요?

그저 무작정 이유도 없이 길이나 간격을 조정하나요? ㅎㅎㅎㅎㅎ

그건 아닌거 같네요


분할봉돌 이라고 질문하셨으니 그렇게 대답해야겠군요

근래에 와서는 분할봉돌 보다는 스위벨 채비를 더 많이 쓰고 있습니다.

분할봉돌을 쓰는 이유와 원봉돌과 좁쌀봉돌간의 간격 조정하는 이유를 먼저 생각해야 되겠죠

분할봉돌은 입질 표현을 좀더 크고 확실하게 하기 위한 조치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원봉돌을 고기가 들어올리는 것보다 좁쌀봉돌만을 들어올리게 하여

같은 크기의 입질을 보다 더 많이 표현되게 하려는 의도로 분할봉돌을 사용합니다.

바늘--(1차목줄)ㅡ좁쌀봉돌ㅡ(2차목줄)ㅡ원봉돌

위와 같이 연결되었다고 봤을때

2차목줄의 길이는 계절에 따라 수심에 따라 달리 조정합니다.

늦가을이나 초봄 등등 비교적 수온이 차가운 저수온기에는
물고기들의 활성도가 떨어지고 경계심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2차 목줄의 길이를 길게해 줌으로써
경계심을 최소화 시켜서 입질을 유도할 수 있게 됩니다.
대체적으로 저수온기에는 20~30Cm 가 적당합니다.

반대로 수심이 지나치게 얕은 곳이거나
활성도가 높은 계절이거나 할때에는
2차 목줄의 길이는 약 5~10Cm 정도로 짧게 해줘도 무방합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낚시라는게 알면 알수록 어렵네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