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분활봉돌채비시 본봉돌과 아랫봉돌 사이의 거리 질문 드립니다.

월척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분활봉돌채비 사용하면서 궁금한점 문의 드립니다. 본봉돌과 아랫봉돌 사이의 길이의 개념을 정확히 하고 싶은데요. 자연지는 몇센티 손맛터는 몇센티 이것보다는 현장 상황에 맞는 운영이 필요해서요. 만약 본봉돌이 찌고무 가까이까지 갔다면 붕어가 이물감을 덜 느끼게 될까요? 본봉돌과 아랫봉돌까지의 길이에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와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또 한가지는 아랫봉돌 크기는 이론적으로 찌탑의 부력을 상쇠시키는 무게라 알고있습니다. 이론적으로만 본다면 이때 만약 케미고무 하단으로 찌 맞춤을 했다고 가정을 하면 아랫봉돌 무게는 수면아래 찌탑의 무게가 되나요? 아님 수면위 부분의 케미고무와 케미를 포함한 무게인가요? 참고로 손맛터경우 저는 마릿수 보다는 최대한의 찌올림을 감상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어서 이것 저것 궁금증이 많이 생기네요. 날씨가 많이 더워졌네요 수고하세요 ^^

찌톱은 부력이 없습니다(튜브톱은 있습니다)
찌톱의 부력보다는 분할채비시에 정상적인 찌올림을 보기위해선
최하단 봉돌만 들어올려도 찌톱이 다 드러날 정도라야
입질에 좁쌀이 뜨면 찌가 같이 뜨게 됩니다
만약 분할봉돌이 너무 작아서 제거해도 찌톱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신다면 입질은 내림입질이 들어오거나 본봉돌까지 들릴정도로
크게 움직여야 올림입질이 나오겠죠
이렇게 해도 붕어는 잡힙니다 오히려 자동빵은 더 잘됩니다
분할봉돌의 간격은 5센티만 넘어가도 굳이 채비를 분할시킨
의도를 수행합니다
물론 간격을 더 벌릴 수록 이물감은 줄어들겠지만 큰 간격에는
그만큼 큰 부력과 큰 침력이 필요합니다
간격은 1미터가 넘는데 분할봉돌의 침력비율이 아주 작으면
역시 엄청난 사각지대를 형성하는 채비가 되버립니다
분할채비 참 힘든낚시죠?
분할채비만 3년째...
제 생각은 모노줄 1.2호 이하, 카본줄 2호이하 이렇게 나눠집니다!
지금은 카본 1.5호로 쓰네요ㅋㅋ
유동 편납홀더가 쓰기에 좋고 유동폭을 그날 입질에따라 유동폭을 조종할수 있으니 첨 시작을 20cm에서 시작해 최대 80cm까지?
찌 올림이 너무 빠른경우 유동폭을 위로 1cm씩 올리고 최대80cm까지 줬는데 찌가 천천히 올라오는데 챔질하면 입걸림이 안될경우는 다시 아래로 1cm씩 내리며 최적의 찌올림을 찿으면 그날 양방 붕어는 다~~~님꺼ㅋㅋ
참 분할채비시 아랫봉돌 롤링스위벨,일학스위벨 등등등... 하단봉돌은 10~15%를 가장선호합니다!
저도 양방3년차 이지만 자주가는 곳에서 잘잡는 분에게 커피한잔 들고가서 배우는게 최고죠!
한가지더 떡밥 응용술? 요거이 최고 중요한데 요걸 빼먹었네요?
떡밥응용술은 고수님께 패스합니다...^^
분할채비 사용하는 1인입니다.
저번주 토요일 내림하시는분 제외하고 올림하시는분들 중에 제가 아마 비교적 많은 입질을 본것 같습니다.
그만큼 분할채비는 예민한 채비인듯 합니다.(또 모릅니다 순전히 자리운이 좋아서였을지도..)
다른분들 깔짝~~ 깔짝~~일때 저는 비교적 1마디이상은 올리더이다..
일딴 참고로 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사용하는 채비는 관통형편납홀더를 이용하여 위아래 멈침고무로 고정 봉돌간 간격을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게 사용합니다.
저는 양어장의 경우 평균 10~15cm 정도, 노지의 경우 7~10cm정도 간격을 둡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예민할때는 간격을 더 주는 편입니다.
봉돌의 간격은 그때 마다 조금씩 변화를 주는편입니다.
그 이유는 "몇cm 입니다" 라고는 말씀드리기 뭣한게 윗분의 말씀처럼 그날 붕어의 심리상태에 따라 약간씩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ㅎㅎ(어렵습니다.. ㅎㅎ)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