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붕어는 무엇에 제일민감할까요.?

이것을안다면 아무래도 조심하게될것이고 조과에도 도움이되지않을까싶어서 올려봅니다. 사람마다 생각하는게 다르겠지요. 예를들자면은......쉬운예로 강풍이부는날..혹은 눈이오는날 비가많이오는날 흐린날 햇볕이강한날 보름달이뜬날 . 아니면... 낚시터물색이맑을때 청벙이면서 물소리가날때 옆에서나는소음 또는 발자욱소리로인한진동등 여러가지가있겠지요. 이것외에도 많이있을것같은데 붕어가 입질을하는데있어서 최대한 주의해야할것이무엇일까요. 낚시하면서 이것만큼은 주의해라 라고조언을해주신다면... 많은낚시인들에게 큰도움이되지않을까 십습니다. 고맙습니다................^.^

저 또한 진동에 가장 민감하다고 생각합니다

뛰어다닌다던가 차문닫을때 쎄개 닫는다던가

의자에 앉아서 발을 동동 구르다던가 등등
불을 비추면 잠깐 흩어졌다 다시 모이지만

진동은 끝장 입니다

과학적 근거는 아니구요 경험상 입니다^^*
수온요.
수온만 일년 내내 16~22도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면 우리네 꾼들이 붕어들 때문에 이렇게까지 몸이 달지 않아도 되는데 말씀입죠.ㅋㅋ
아주 깊은 산속 아니구서는 약한 소리나 불빛은
그나마 경계심이 좀 떨어지나 약한 진동에서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 합니다
작년 일본의 지진 해일때 붕순이 얼굴 보기가
힘들었죠^^
인위적인것은 진동 불빛 소음등등... 자연적으로는 온도에 젤민감하지 않을까요???
저도 진동이 젤민감하다고 생각드는데요?
쓰레기라고 생각이 드는 이유는...?

저는 물속에 불빛비추거나 시끄러운 소음...

이것만 주의하시면 ㅎ
진동과 빛 수위 요 새가지요 사람 목소리는 잘 모르겠어요 옆에 펴놓고 떠들어도 입질은 하니 말이죠 ㅋㅋ
한밤중에 의자에서 갑자기 일어나니까 채비 넣은 포인트 뒤쪽의 부들이 흔들리며 물살이 일더군요, 아마 붕어가 빠져 나간듯 보였습니다.
뭐 경헝담이지만... 작년 여름 낚시를 하던중 입질이 없어 저수지 한바퀴를 돌기위해 랜턴을
들고 점빵을 나섰습니다 옆자리에 가서 보니 포인트가 훨씬 좋았고 아! 여기 앉을걸 이라는 생각으로 이리저리 둘러 보던 중 제 낚시대에서 찌가 쑤~~~~ 욱 올라 와서 반사적으로 가지고 있던 렌턴으로 비췄습니다 근데 렌턴으로 계속 비추고 있어도 찌는
몸통까지 올라오고 챔질을 위해 막 뛰어 가니까 발소리 때문인지 놀라 도망을 가더군여 ... 불빛도 최대란 안빛추는
것이 좋김 하지만 붕어는 불빛보다는 진동/소음에 더 예민한것 같더군여 ㅋ
요즘 절실히 느끼는데 수온같네요... 뭔넘의 날씨가 이리도 오락가락하는지 잘 먹는 미끼도 바람 불거나 추워지면 먹질 않으니 ㅡㅡ;;; 아무리 조용히 앉아있고 불빛없이 있어도 도무지 먹질 않네요 ㅡㅡ;; 밥상이 시원찬은지 ㅠㅠ
예전에 피싱캠으로 촬영한 영상을 본적이 있습니다.
불빛과 소리에는 잠깐 놀라서 흩어졌다 다시 모이지만
진동에는 얄짤 없습니다.
글쎄요 저는 환경이 바뀌는것이 아닐까요?

깊은산속의 소류지와는 다르게 큰길가의 저수지에서는 진동이나 불빛,

소음같은것에는 덜 민감할것같고, 환한 가로등이 켜있는 저수지에서는

불빛에 덜민감할것같고, 오랫동안공사를하는 공사장(예를들면 산을깍는 곳)옆 저수지에서는

진동에둔감하지 않을까요?

물론 수온이 바뀌는것도 가장 큰(체감하는)환경이 바뀌는것 이겠지요^^*
수온과 , 물 빠짐 ,, 아닐까요??

이상하게 오름수위에는 낚시가 되지만,,

내림수위에는 말뚝,, ㅠ
수온.

극격한..수위변화..

인위적인.. 위기감(진동.등 사람의그림자..인기척 )

그 외에는.. 그래도 덜하고요.

안출하이소.
자연적인 요소는 수온

인위적인 요소는 진동
큰고기잘잡으시는분들은 밤새워낚시하시면서 꼼짝도안하시는 앉은자리풀도 안날정도로 조용히앉아계시는걸 느꼅습니다 자동빵도 조용히잠들었을때가능한거같구요 그래서저는소음입니다 차문닫는소리랑 큰소리로떠드는소리인거같습니다
어떤 물고기 측선은 100m 밖에서 1mm의 진동을 감지한다고 합니다 .
붕어가 평소와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구별할수있고 ,경계심이 높아진다는것은 꾼들의 경험으로 충분히 증명되죠.
1번 진동 2번 사람그림자 입니다.
-제 경험상
1번 : 35 월척이 대를 끌고 가길래 살살 갔더니 온 저수지를 도망다니더군요. 아무리 천천히 가도 대략 20-30미터 내면 감지합니다.
2번 : 뽕치기를 하려고 낚시대를 위에서 살짝 놓으려고 하면 후다닥 도망가기 일쑤고 제가 몇일전 봉주로 낚시방 수족관에 잡아놓은 34짜리 붕어도 손으로 휘저으면 기겁하고 돌아서더군요.
## 결론 : 대물급을 잡으려면 절대 진동에는 절대 주의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진동과 배수

그리고 지나친 소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달때도 영향이 있더라구요.
제일첫번째는 자연환경으로 고기압에서 저기압들어설때(저기압이 2일이상 지속될땐 상관없음)
두번째는 현장에서의 정숙(약간의 불빛,작은소리는 큰지장없으나 물고기가느끼는 진동-잡다가놓친 고기의 분탕질도 당분간 입질없음)
자연적인 부분에서는 수온과 수위

인위적인 부분에서는 진동이라 생각합니다.
수온이라 생각합니다.
연 이틀동안 세찬 바람에 수온이 급강하!
입질이 없었습니다.
물트림님, 꾼의집념님 의견에 한표요~~
저도 진동에 한표드립니다.
어제 일요일밤에에서 여성분들이 낚시하는데 이갑철 팀장님도 진동을 조심하라고 하더군요. 김태우프로님도 나오고...
첫번째가 진동이구,배수,수온 이렇게가 저도 민감하게 느낍니다...^^
전에 어디서 시험했는데... 소리지르고 불빛 막 비쳐도 붕어 별로 놀라지는 않더군요..
진동에는 상당한 반응이... 진동이 답일듯 합니다.. 담이 후각!
수온이 정확하답니다,

바다의 수온 1도가 올라갈때

고기가 느끼는 체감온도는,

우리 인간이 느끼는 온도로 말하면 10도가 올라가는거하고 똑같다고 그래요,,
대물만 나오는 배스터에서 대여섯번 출조만에 멋진 찌올림을 봤는데요 하필이면 그순간에 제가 의자에 앉아있지않고 이삼미터정도 위쪽에 있었습니다 놀래서 아래쪽으로 발을 내딛는순간 찌가 그냥 툭 떨어지는데...걍 찌올림이나 구경하다 자동빵이나 기다릴껄하면서 밤새도록 후회했슴다~~
실험 결과로서 제 기억엔 진동에 가장 민감한 걸로 나왔던 기억이...

그다 음이 불빛이었구요..게중에 가장 둔감했던게 소음이었던 것 같습니다...
진동에 한표
봄 가을
뻥치기할때
거의
포복해서 갑니다
^^;
진동에 가장 민감할것 같은데요 경험상
수족관이 거실에 있습니다

한밤중 물마시러 나와 거실불을 키면

붕어는 가만히있지요...

가까이가서 손바닥으로 툭~ 치기만해도 놀래 도망갑니다 .

진동에 한표겁니다~~!!!
이런 질문 몇번이나 올라와서 제가
시골에 붕어 잡아다가 아주 큰 다라이 즉 회색(과수원할때 아주큰 다라이 즉 물통?)에다 넣어서 몇번 실험 한적있죠^^근데 소음이라은 아무런 상관 자체가없심다! 간혹 소음이라고 하신분은 제가 당당히 말합니다..좀더 배우십시오.
그리고 진동 맞습니다! 한가지 다른 예를 더 들자면 붕어들 수면위로 물체가 보이면 흩어지는 현상이 많이보이더군요.혹시나해서 음악 크게틀고해도 붕어는 신경안쓰더군요.
아참!수온은 활동량을 나타납니다!
수온이 낮을수록 진동을 알아도 그러니 하면서 가만히 있습니다!
흠.. 혹시 세상에이런일이! 보셨던분이 계시면 이해가될듯합니다.
맨손으로 월척 4짜 잡던 그분실력ㅋ
붕어는 모르겠고 저는 귀볼이 제일
민감합니다^^~

조크입니다^^~
그리고 출조때 그믐달 이니 반달이니 최악의 보름달이니 하시는데 출조하셔도 조과는 비슷합니다.
다만! 물가근처로 그림자?보이지마십시오.
낮보다 더한게 물가에 비쳐진 자기 모습입니다
낚시꾼이 주의해야 할점이란? 질문에 배수,수온변화,,^ 어~허!
오구안오구는 진동 먹구안먹구는 수온입니다 그래두 가장큰거는 수온이지요
답은 진동같고 오답은 쌍마님의 귓볼 같습니다 ㅎ
수온이죠....
진동은 일시적인 지장을 주지만 수온은 계속적인 영향을 줍니다.
물고기의 회유도 수온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람.....
정확히 낚시하는 사람....
쓰레기 버리는 사람....
식사방해하는 사람.....
진동과 파장이요 고기들에겐 옆줄이란 것이 있는데 여기서 진동에 의한 파장을 느낀다고합니다. 돌맹이를 던지면 그파장으러 위치와 심지어 크기 까지 알수 있다고하네요!
붕어도 한달에 한번 그날엔 민감해집니다...^^
늦은저녁 한번 웃자고 올려봅니다..
아무래도 진동에 가장 민감하것 같습니다
의자에 앉아졸다 눈떠보면 찌가 둥둥
역시 자동빵은 무신경이 제일 좋은거 같아요
붕어 생활소음규제기준을 주간 50dB(A)이하, 야간 30dB(A) 이하
붕어 생활진동규제기준은 주간 20dB(V)이하, 야간 15dB(V) 이하라고 되어있습니다.
네이붕에 찾아보심 나와요 ~~ 잘~~찾아보세요..
여즘 범붕어협회에서 붕어일조권 조례를 입안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는것 같습니다.
진동이라 생각됩니다.. 소리는 별로 약간에 영향을 주겠지만...
그러니 차문닫는 소리에 너무 민감해 하실 필요는 없을듯.. 물론 메너상 조심은 해야겠지요
저두 진동에 한표 던져봅니다..
예로 남도권 수로에서 가만보면 조사님들 10분이상 종출하실때
40칸이상 쓰시는 분들의 조과나 사이즈가 훨씬 좋습니다...
남도권은 간혹 6칸대 쓰시는 분들 많습니다..
예전에 피싱캠에서서
실험을 한적이 있는데
불빛을 비치면 붕어가 도망을 않가고
발소리에는 도망가더군요
가끔 조황확인차 돌아다니다 보면
수초속에 있는 붕어들이
발자국소리에 달아나는것을 많이 봤습니다 ^^
낚시꾼 아닐까요? 저는 처음엔 소음,진동, 불빛 들일꺼라고 생각하다가....
옆자리에 있다가 예신이 있어서 살살낚시대옆으로 오더라도 기막히게 예신이 멈춤니다. 진동을 감지하는 능력이 대단합니다.
저수지에서 대 당그고 앉아 있는데 누가 차 문을 쾅 닫으면 촥! 소리와 함께 붕어가 놀라서
움직입니다 진동 소음 경계해야 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