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의 수명은 9~10년쯤이라고 이야기 들었네요... 수명보다 더 중요한건 역시 유전적인 영향과 환경적인 영향이 크지 않을까요?
사람도 이봉걸이란 씨름선수처럼 거인도 있죠.... 최홍만이도 거인이고^^ 정상적인 사람들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잖아요
붕어도 마찬가지겠지요... 환경적으로 많이 자라는 요인도 있겠지만 유전적인 영향두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4짜가 되는것도 정확히 표현하기 힘든 부분일테지요 5년생도 4짜가 될수 잇을테고 10년생도 3짜가 되지 못하는 것도 생길꺼라 유추해 봅니다^^
보인다고 합니다.
그래도 4짜까지 크려면 10년 이상은 커야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보통 3CM 자라는데 1년 걸린다고 하는데 최소 10여년 이상은 커야 된다고 봅니다
평상시라면 6~7년이면 월척될것 같습니다... 만구 제 생각입니다.. 근거같은건 없습니다.
5짜..
이 모두 성장한 나이는 대략 6-8년생 전후인 경우가 많습니다.
어류학자들이 4짜와 5짜를 비늘과 몸체를 감정하여 나온 결론입니다.
저도 처음엔 5짜가 6-8년생??
이해가 가지 않았지만..
배스터에서 육안으로 보기 힘든 플랭크톤을 직접 눈으로 실감했으며
새우,참붕어등이 섭취해야 할 이 고 영양소 플랭크톤을 붕어가 직접 섭취해 거대한 몸을 키운다는 사실을 이젠 의심치 않습니다.
즉 저수지 환경과 물에 따라 붕어의 최고 크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좀 넓게 잡으면 6~7년도 가능하겠지요. ^^
붕어들이빨리큰다고들하던데요맞는말인지.....
붕어의 성장은 서식지역의 기본환경(염분많은 해안가,산간 계곡지,내륙 평지지등)과
먹이사슬의 형태(새우,참붕어자생 유무)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붕어성장이 1년에 3cm정도라는 설과 월척붕어가 되는데 10년이 걸린다는 설이 지배적이었으나
윗분 말씀처럼 비늘의 나이테를 분석해본 결과
4짜붕어보다 30중반의 붕어가 추정연령이 더 많은 경우도 있어
오래살았다고 무조건 더 큰다고 하기에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합니다.
결론적으로 월척붕어가 되는데는 평균 4 - 5년 걸리고
붕어의 성장은 지역과 서식환경에 따라 편차가 많다는 사실입니다.
연구용(그물)이나 낚시로 잡은 4짜붕어의 나이를 보면 대부분 6~8년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붕어의 성장은 부화에서 치어로 성장하는 1년동안에는 10~15cm정도가 자라고, 그이후에는 성장할수록 성장속도나 길이가 작아집니다.
보통 5~7년정도면 거의 다 자랐다고 볼수 있습니다.
윗분들이 언급하였듯이
서식환경이 좋은곳, 배스가 유입된곳, 대물이 서식하는곳에서는 성장속도가 빨라 6~8년정도(?)면 4짜/5짜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붕어의 나이는 비늘의 나이테나 이석에 의해 측정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4짜, 5짜 붕어는 저수지의 이무기라고 몇십년을 산다고 알려졌지만,
최근의 자료를 보면 붕어의 수명이 10년 전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댐, 대형 호수의 경우에는 10년이상의 노성어가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즐낙안낙 하세요!!
8년 전후로 나이가 측정되고 있구요.
또한, 4짜 5짜는 사람도 키가 160인사람이있고 2m 가 넘어가는 거인이 있듯이 저수지마다
붕어의 유전에 따라 날때부터 더크게 자랄수있는 붕어가 있어서 같은 성장시기를 거쳐도
더커진다는 내용을 봤습니다.. 도서관에서 붕어관련된책을 찾아 좀 읽었던 것이 몇년되다보니
어렴풋이 기억나는 걸 몇자적어봅니다 ^^
토교지에서 잡흰 6짜붕어 나이는 7세였다고 하고요 성장하는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건 분명한거 같습니다.
사람도 이봉걸이란 씨름선수처럼 거인도 있죠.... 최홍만이도 거인이고^^ 정상적인 사람들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잖아요
붕어도 마찬가지겠지요... 환경적으로 많이 자라는 요인도 있겠지만 유전적인 영향두 작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4짜가 되는것도 정확히 표현하기 힘든 부분일테지요 5년생도 4짜가 될수 잇을테고 10년생도 3짜가 되지 못하는 것도 생길꺼라 유추해 봅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가요 `!`
치어 붕어 끝까지 방생하여 6짜까지 키워 보겠습니다.ㅋ
그래도 10년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