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어낚시 잘하는법 고수님들 한수 부탁드립니다. 찌맞춤법.공략수심층, 미끼,고패질등 노하우좀 전수해주세요.
검색목록 목록 이전 다음 빙어낚시 잘하는법 사짜남아이디로 검색13-01-07Hit : 7689 본문+댓글추천 : 0댓글 3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월척지식/전통바닥낚시/빙어낚시-잘하는법 URL 복사 빙어낚시 잘하는법 고수님들 한수 부탁드립니다. 찌맞춤법.공략수심층, 미끼,고패질등 노하우좀 전수해주세요. 추천 0 년수만꾼아이디로 검색 13-01-08 18:26 잘잡히는데 가면 됩니다 막 올라옵니다 삼천원짜리 견지대로 100여수 했습니다 추천 0 신고 잘잡히는데 가면 됩니다 막 올라옵니다 삼천원짜리 견지대로 100여수 했습니다 사짜남아이디로 검색 13-01-09 00:46 답변주신 고수님들 감사합니다. 추천 0 신고 답변주신 고수님들 감사합니다. 곡부아이디로 검색 13-01-12 06:09 저는 절대 고수가 아니고요. 걍 생각하는 내용입니다. 장소- 제일 중요하다 생각하며 강계이냐? 저수지이냐?에 따라 순서가 달라질 것도 같습니다만 먼저 지형을 파악하고 유속, 온도, 예민성 등을 파악하시는 것이 어떠할까?합니다. 찌- 찌가 필요한가? 수심이 1~3m이고 견지대나 릴 낚시대면 필요 없고 대낚시대라면 필요할 것 같고요. 수심이 5m 넘어가면 대낚시대로는 잘하시는 분은 극복하겠지만 힘들 것 같고 수심 측정용 면사 매듭이나 찌가 필요할 것 같네요. 훅킹은 붕어낚시처럼 바늘이 빨려들어가야하는 문제인데 찌는 저부력, 낚시대는 낭창거려야 좋겠지요. 더불어 고기가 물었는지 여부는 아무나 견지대로도 아주 잘 느낄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찌에서 찌 톱이 길은 것과 짤은 것이 있는데요 긴 것을 사용하신다면 빙어가 찌 톱을 물고 들어가는데 전부 노출이 좋겠고 짧은 것이라면 찌가 얼음 구멍 속에 들어갔다 나올 수 있는데 별로 상관 없을 것도 같네요 활성도 높은 때는 봉돌이 깊은 수심 층에 채비를 끌고 빨리 내려가야 하니 오히려 약간 고부력 찌가 좋겠고 상황을 고려하여 낚시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공략수심- 빙어는 "0'C~18'C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류고 수온이 섭씨 20도 이상에서는 죽는다"고 하는데요. 고기 있는 곳을 찾아야하고 유량과 유속있는 곳에서 너무 차갑지 않을 때 피라미가 몰려 있을만한 곳에서 낚시하는 것을 저는 생각합니다. 몇 일간의 날씨를 보아서 빙어가 적응하고 할 것인데 요즘 한파가 었었는데 좀 많이 추위가 계속될 때에는 깊은 곳 아침 저녘에는 바닦 층 낯에 따뜻해지면 부상한다하는데..... 미끼는 대세가 구데기 같습니다. 밑밥으로는 구데기 갈은 것이나 윽깬 것, 각종 곡물 및 어분 떡박, 새우젓 갈은 것이나 곤쟁이, 크릴 갈은 것, 우유, 막걸리 등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고패질-3~5초 간격을 두고 한번씩... 자리 이동- 3~10분간 입질이 없으면 이동하다라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추천 0 신고 저는 절대 고수가 아니고요. 걍 생각하는 내용입니다. 장소- 제일 중요하다 생각하며 강계이냐? 저수지이냐?에 따라 순서가 달라질 것도 같습니다만 먼저 지형을 파악하고 유속, 온도, 예민성 등을 파악하시는 것이 어떠할까?합니다. 찌- 찌가 필요한가? 수심이 1~3m이고 견지대나 릴 낚시대면 필요 없고 대낚시대라면 필요할 것 같고요. 수심이 5m 넘어가면 대낚시대로는 잘하시는 분은 극복하겠지만 힘들 것 같고 수심 측정용 면사 매듭이나 찌가 필요할 것 같네요. 훅킹은 붕어낚시처럼 바늘이 빨려들어가야하는 문제인데 찌는 저부력, 낚시대는 낭창거려야 좋겠지요. 더불어 고기가 물었는지 여부는 아무나 견지대로도 아주 잘 느낄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찌에서 찌 톱이 길은 것과 짤은 것이 있는데요 긴 것을 사용하신다면 빙어가 찌 톱을 물고 들어가는데 전부 노출이 좋겠고 짧은 것이라면 찌가 얼음 구멍 속에 들어갔다 나올 수 있는데 별로 상관 없을 것도 같네요 활성도 높은 때는 봉돌이 깊은 수심 층에 채비를 끌고 빨리 내려가야 하니 오히려 약간 고부력 찌가 좋겠고 상황을 고려하여 낚시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공략수심- 빙어는 "0'C~18'C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류고 수온이 섭씨 20도 이상에서는 죽는다"고 하는데요. 고기 있는 곳을 찾아야하고 유량과 유속있는 곳에서 너무 차갑지 않을 때 피라미가 몰려 있을만한 곳에서 낚시하는 것을 저는 생각합니다. 몇 일간의 날씨를 보아서 빙어가 적응하고 할 것인데 요즘 한파가 었었는데 좀 많이 추위가 계속될 때에는 깊은 곳 아침 저녘에는 바닦 층 낯에 따뜻해지면 부상한다하는데..... 미끼는 대세가 구데기 같습니다. 밑밥으로는 구데기 갈은 것이나 윽깬 것, 각종 곡물 및 어분 떡박, 새우젓 갈은 것이나 곤쟁이, 크릴 갈은 것, 우유, 막걸리 등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고패질-3~5초 간격을 두고 한번씩... 자리 이동- 3~10분간 입질이 없으면 이동하다라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검색목록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곡부아이디로 검색 13-01-12 06:09 저는 절대 고수가 아니고요. 걍 생각하는 내용입니다. 장소- 제일 중요하다 생각하며 강계이냐? 저수지이냐?에 따라 순서가 달라질 것도 같습니다만 먼저 지형을 파악하고 유속, 온도, 예민성 등을 파악하시는 것이 어떠할까?합니다. 찌- 찌가 필요한가? 수심이 1~3m이고 견지대나 릴 낚시대면 필요 없고 대낚시대라면 필요할 것 같고요. 수심이 5m 넘어가면 대낚시대로는 잘하시는 분은 극복하겠지만 힘들 것 같고 수심 측정용 면사 매듭이나 찌가 필요할 것 같네요. 훅킹은 붕어낚시처럼 바늘이 빨려들어가야하는 문제인데 찌는 저부력, 낚시대는 낭창거려야 좋겠지요. 더불어 고기가 물었는지 여부는 아무나 견지대로도 아주 잘 느낄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찌에서 찌 톱이 길은 것과 짤은 것이 있는데요 긴 것을 사용하신다면 빙어가 찌 톱을 물고 들어가는데 전부 노출이 좋겠고 짧은 것이라면 찌가 얼음 구멍 속에 들어갔다 나올 수 있는데 별로 상관 없을 것도 같네요 활성도 높은 때는 봉돌이 깊은 수심 층에 채비를 끌고 빨리 내려가야 하니 오히려 약간 고부력 찌가 좋겠고 상황을 고려하여 낚시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공략수심- 빙어는 "0'C~18'C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류고 수온이 섭씨 20도 이상에서는 죽는다"고 하는데요. 고기 있는 곳을 찾아야하고 유량과 유속있는 곳에서 너무 차갑지 않을 때 피라미가 몰려 있을만한 곳에서 낚시하는 것을 저는 생각합니다. 몇 일간의 날씨를 보아서 빙어가 적응하고 할 것인데 요즘 한파가 었었는데 좀 많이 추위가 계속될 때에는 깊은 곳 아침 저녘에는 바닦 층 낯에 따뜻해지면 부상한다하는데..... 미끼는 대세가 구데기 같습니다. 밑밥으로는 구데기 갈은 것이나 윽깬 것, 각종 곡물 및 어분 떡박, 새우젓 갈은 것이나 곤쟁이, 크릴 갈은 것, 우유, 막걸리 등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고패질-3~5초 간격을 두고 한번씩... 자리 이동- 3~10분간 입질이 없으면 이동하다라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장소- 제일 중요하다 생각하며 강계이냐? 저수지이냐?에 따라 순서가 달라질 것도 같습니다만
먼저 지형을 파악하고 유속, 온도, 예민성 등을 파악하시는 것이 어떠할까?합니다.
찌- 찌가 필요한가?
수심이 1~3m이고 견지대나 릴 낚시대면 필요 없고 대낚시대라면 필요할 것 같고요.
수심이 5m 넘어가면 대낚시대로는 잘하시는 분은 극복하겠지만 힘들 것 같고 수심 측정용 면사 매듭이나 찌가 필요할 것 같네요.
훅킹은 붕어낚시처럼 바늘이 빨려들어가야하는 문제인데 찌는 저부력, 낚시대는 낭창거려야 좋겠지요.
더불어 고기가 물었는지 여부는 아무나 견지대로도 아주 잘 느낄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찌에서 찌 톱이 길은 것과 짤은 것이 있는데요 긴 것을 사용하신다면 빙어가 찌 톱을 물고 들어가는데 전부 노출이 좋겠고
짧은 것이라면 찌가 얼음 구멍 속에 들어갔다 나올 수 있는데 별로 상관 없을 것도 같네요
활성도 높은 때는 봉돌이 깊은 수심 층에 채비를 끌고 빨리 내려가야 하니 오히려 약간 고부력 찌가 좋겠고
상황을 고려하여 낚시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공략수심-
빙어는 "0'C~18'C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류고 수온이 섭씨 20도 이상에서는 죽는다"고 하는데요.
고기 있는 곳을 찾아야하고
유량과 유속있는 곳에서 너무 차갑지 않을 때 피라미가 몰려 있을만한 곳에서 낚시하는 것을 저는 생각합니다.
몇 일간의 날씨를 보아서 빙어가 적응하고 할 것인데
요즘 한파가 었었는데 좀 많이 추위가 계속될 때에는 깊은 곳
아침 저녘에는 바닦 층 낯에 따뜻해지면 부상한다하는데.....
미끼는 대세가 구데기 같습니다.
밑밥으로는 구데기 갈은 것이나 윽깬 것, 각종 곡물 및 어분 떡박, 새우젓 갈은 것이나 곤쟁이, 크릴 갈은 것, 우유, 막걸리 등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고패질-3~5초 간격을 두고 한번씩...
자리 이동- 3~10분간 입질이 없으면 이동하다라는 내용을 보았습니다.